"외워 쓴 논술은 무조건 감점"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서강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들이 2008학년도 입시 수시2학기 전형 및 정시모집에서 논술비중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대학들이 제시한 새로운 논술의 개념도 학교마다 '통합교과형 논술''다면사고형 논술''수리논술''과학논술' 등으로 생소하게 느껴진다.

당장 2008학년도 입시를 치러야 할 현재 고교 2학년 학생들에서부터 미래 논술시험 대상자인 초·중등생과 학부모들의 관심은 지난 몇 년간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논술학원과 합쳐지면서 가히 폭발적인 '광풍(狂風)'을 만들어 낼 기세다.

특히 그동안 인문계 수험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술 걱정에서 자유로웠던 자연계 수험생들에겐 더 큰 충격이 몰려온다.

상당수 대학들이 자연계 논술을 신설하고, 실질적으로 논술고사가 당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2008학년도 대학별 논술고사의 비중확대는 수학능력시험과 생활기록부 교과성적(내신)이 원점수나 전체 석차 대신 등급별로만 나뉜다는 데 첫 번째 이유가 있다.

수능과 내신 이외에 강력한 변별력을 지닌 선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해 진 것이다.

특히 수능과 내신의 경우 점수대가 비슷한(또는 동점자인) 학생들이 많을 수밖에 없다. 무리하게 높거나 낮게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대학입장에서는 신입생 선발의 변별력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자 대학별 자체 고사(논술 및 면접·구술고사)의 비중을 높인 셈이다.

논술 강화는 오늘날 공교육과 대학교육이 원하는 인재상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대표적으로 서울 지역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지난해부터 서술·논술형 평가지표를 늘려왔다.

대학에서도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능력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 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통합교과형 논술은 여러 교과목의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가 영역을 넘나드는 통합적 이해가 창의력과 연결되는 과정을 측정하고자 한다.

전문가들은 논술에 '왕도(王道)'나 '정답'은 없다고 말한다.

족집게처럼 콕 집어서 공부하기도 어렵다는 것. 대신 대학 교수나 전문가들의 조언은 힘이 될 수 있다.

두려워하지 말고 '많이 읽고 스스로 사고를 확장하면서 직접 써보는 것'이 가장 좋은 해법이다.

문혜정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