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한국 역사계를 뜨겁게 달궜던 '동북공정(東北工程) 논란'이 3년이 지난 2006년 다시 점화됐다. 중국이 2002년 5월에 시작된 동북공정 결과물들을 최근 다시 공개했기 때문이다.
동북공정이란 중국 학계가 동원돼 벌이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의 역사 재조명 작업을 뜻하는 말. 고구려 등 고대 한국의 영토 중 일부분이 현재 중국에 속해 있으므로 고구려,발해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라는 주장이 동북공정의 핵심이다. 2004년 당시 한국과 중국 정부는 고구려사를 정치문제화하지 말고 민간 차원의 학술토론으로 풀어가자는 취지의 5개 항에 구두합의한 바 있다.
동북공정 논란이 재점화된 것은 동북공정 연구사업을 주관하는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중심이 최근 '고구려 민족과 국가의 형성 및 변천' '발해국사' '한·당 번속체제 연구' 등 동북변강연구총서 2차분 5권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변강사지연구중심은 2003년과 2004년에도 '중국 동북변강 연구' '중국 동북 고민족 발전사' '발해사론' 등 1차분 6권을 내놓은 후 한·중 간 역사분쟁이 벌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양국의 구두양해가 이뤄지면서 후속 성과물을 내놓지 않아왔다.
중국 사회과학원이 다음 달 출간할 예정인 '장백산(백두산의 중국식 명칭)의 역사상 귀속 문제'라는 논문의 내용이 공개되면서 동북공정 논란은 한층 더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이 논문은 중국 역사의 한 축이 백두산에서 시작됐으며 역사상 중국의 영토였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 작업에 대해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참석차 핀란드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10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정상회담 자리에서 중국 역사학계가 벌이고 있는 한국 고대사 왜곡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원자바오 총리는 2년 전 양국 간 합의 사항을 존중한다고 전제한 뒤 "(동북공정)연구가 한·중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잘 다루라고 지시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학술 목적의 연구는 손대기 어렵다"고 덧붙여 민간차원에서 시도되는 동북공정 작업은 앞으로도 중단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정부는 14일 제주도 서남쪽에 있는 이어도(수중 암초)가 한국 영토라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혀 또 다른 논란을 예고했다.
중국이 동북공정 작업을 벌이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이며 한국에 어떤 위협이 될까.
송형석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click@hankyung.com
동북공정이란 중국 학계가 동원돼 벌이고 있는 중국 동북지역의 역사 재조명 작업을 뜻하는 말. 고구려 등 고대 한국의 영토 중 일부분이 현재 중국에 속해 있으므로 고구려,발해의 역사는 중국의 역사라는 주장이 동북공정의 핵심이다. 2004년 당시 한국과 중국 정부는 고구려사를 정치문제화하지 말고 민간 차원의 학술토론으로 풀어가자는 취지의 5개 항에 구두합의한 바 있다.
동북공정 논란이 재점화된 것은 동북공정 연구사업을 주관하는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중심이 최근 '고구려 민족과 국가의 형성 및 변천' '발해국사' '한·당 번속체제 연구' 등 동북변강연구총서 2차분 5권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변강사지연구중심은 2003년과 2004년에도 '중국 동북변강 연구' '중국 동북 고민족 발전사' '발해사론' 등 1차분 6권을 내놓은 후 한·중 간 역사분쟁이 벌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양국의 구두양해가 이뤄지면서 후속 성과물을 내놓지 않아왔다.
중국 사회과학원이 다음 달 출간할 예정인 '장백산(백두산의 중국식 명칭)의 역사상 귀속 문제'라는 논문의 내용이 공개되면서 동북공정 논란은 한층 더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이 논문은 중국 역사의 한 축이 백두산에서 시작됐으며 역사상 중국의 영토였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 작업에 대해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참석차 핀란드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10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정상회담 자리에서 중국 역사학계가 벌이고 있는 한국 고대사 왜곡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원자바오 총리는 2년 전 양국 간 합의 사항을 존중한다고 전제한 뒤 "(동북공정)연구가 한·중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잘 다루라고 지시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학술 목적의 연구는 손대기 어렵다"고 덧붙여 민간차원에서 시도되는 동북공정 작업은 앞으로도 중단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설상가상으로 중국 정부는 14일 제주도 서남쪽에 있는 이어도(수중 암초)가 한국 영토라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혀 또 다른 논란을 예고했다.
중국이 동북공정 작업을 벌이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이며 한국에 어떤 위협이 될까.
송형석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