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사회와 만나는 가장 손쉬운 통로는 신문이다.

지면을 통해 사람들은 사회 내 이슈를 접하고,그에 대한 해석과 판단을 내린다.

하지만 요즈음 신문은 통로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듯하다.

독자가 내릴 판단을 앞서 결정한 채 일방적인 통보를 하는 것처럼 보여서다.

얼마 전 학부모 앞에서 무릎을 꿇은 교사사건이 대서특필된 적이 있다.

많은 신문과 방송은 교권추락을 우려하는 기사를 앞다투어 내보냈다.

학부모와 교사의 갈등양상보다 교권침해만 부각시켜 보도했다.

기사를 읽은 대부분 사람들은 일방적으로 학부모들을 비판의 도마에 올렸다.

물론 대화와 타협으로 해결하지 못한 학부모들의 행동에 비판의 소지가 있겠지만 대다수 기사에는 학부모의 입장은 반영되지 않았다.

교사는 어린 초등학생들에게 15분 이내로 점심을 먹을 것을 요구하고,시간 내에 식사하지 못하면 반성문을 쓰게 했다.

결국 체하는 아이가 많아지고,미처 씹지 못하고 삼킨 마늘을 토해내는 아이를 본 학부모가 나선 것이었다.

비단 이 사건 뿐만아니라 대학 등록금 인상,한·미 FTA,평택기지 이전 등 찬반이 분명한 사건의 객관적사실을 독자들은 전달받기 힘들다.

신문사별로 논조가 극과 극이다보니 보수신문과 진보신문이라는 편가르기식 구분까지 등장하게 됐다.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두 신문을 읽으라고 권하는 것만 봐도 신문사별 논조의 격차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물론 신문사의 성격과 특색이 다른 것은 민주주의의 다양한 여론 수렴에 일조할 터다.

하지만 사설이 아닌 일반 보도 기사에서조차 신문사의 관점에 맞춘 사실만을 추려내는 것은 문제로 보인다.

찬·반 논란의 소지가 있는 사건은 찬·반 기사를 통해 양측의 논의를 대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가지 신문만 읽어도 사건의 양면을 독자들이 알 수 있었으면 한다.

오지혜 생글기자(오류고 3년) jiheay324@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