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학벌,파벌…. 모두 '패거리 벌(閥)'자가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들이다. 이처럼 '벌(閥)'은 어떤 무리 중에 부정적인 사회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집단에 주로 쓰이는 한자다. 그 부정적인 속성이란 자기들의 이해관계를 챙기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에게 불이익이 되는 배척활동을 하는 것 때문에 나타난다.

'파벌' 역시 그렇다. 사전적으로는 '개별적(個別的)인 이해관계(利害關係)를 따라 따로따로 갈라진 사람들의 집단(集團)'이라는 가치 중립적인 뜻이 담겨 있지만,그 속에는 자신의 세력권을 끊임없이 넓히려는 속성이 있음을 은연 중에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출신지역,출신학교,같은 성씨 등을 기반으로 뭉치려는 속성이 강하다. 해마다 봄철이 되면 동창회,향우회 등의 모임이 수도 없이 열린다. 공통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리를 지어 서로 돕는 것 자체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이 뭉쳐 '패거리'를 형성해,자기네들끼리 밀어주고 끌어주며 이권과 좋은 자리를 나눠 가지는 행태를 보이면 그때부터 그 집단은 사회적 해악이 된다.


기회 박탈하고 사회 전체의 경쟁력 해쳐

파벌주의의 해악은 '패거리'에 속하지 못한 다른 사람들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쇼트트랙 파벌 갈등에서도 드러났듯,파벌 간 다툼은 대표선수의 선발과 올림픽 종목별 출전 선수를 결정하는 데도 영향을 끼쳤다. 가장 뛰어난 경기력을 가진 선수를 선발하는 게 아니라 각 파벌이 모두 불만이 없게 적당히 안배하는 과정에서 500m 등 일부 종목에서는 실력이 뛰어난 선수의 출전길이 막히기도 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비단 스포츠계의 문제만이 아니다. 실제로 실력이 있으면서도 학벌이 딸려 취직을 못한다거나,능력은 되는 데도 '빽'이 없어 출세하지 못한다는 얘기가 아직도 들려오는 것은 우리 사회에 여전히 '패거리주의'의 문제점이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는 한 직장 내에서도 출신 학교별로 패거리를 형성해 승진?인사 등에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기 위해 시도하기도 한다. 이렇다보니 적당한 '패거리'에 들지 못하는 사람은 확실히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는 이상 직장에 들어와서도 승진 기회를 놓칠 수밖에 없다.

'패거리주의'는 전체 사회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도 문제다. 능력에 따라 취업?승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학벌이나 파벌 등 패거리의 영향력에 따라 결정되는 일이 반복되면 구성원들은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고,오로지 자신이 속한 패거리의 세력권 확대에만 몰두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올바로 쓰이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정치권의 예를 들어보면 이는 분명해진다. 정치가가 이념과 정책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른 무리를 지어 경쟁하는 것은 당연하다. 자신들의 이념과 정책을 펼쳐 보이기 위해 정권을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집단이 바로 정당이다.

하지만 한국의 정당은 이념이나 정책에 따라 패가 갈리는 것이 아니라 출신 지역별로 나뉘어져 있다. 각각의 지역 보스 밑에 해당 지역 출신 정치인들이 모여 있는 식이었다.

이렇다보니 나라 전체의 살림살이 향상을 위한 정책 대결은 뒷전이고,상대방의 약점을 잡아 공격하는 데만 몰두하는 정치풍토가 오래 지속됐다. 그 피해는 역시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왔다. 이처럼 사회의 중요 부분에서 패거리주의가 만연하면 사회에 득이 될 것이 하나도 없다.


집단의 목적은 '사회적 존경'이 돼야

그렇다고 이미 끈끈하게 형성돼 있는 사람들의 모임을 다 해체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인연과 교감을 형성하고 있는 수많은 집단이 각자 어떻게 사회를 위해 공헌할 것인지를 고민할 때 '패거리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자발적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결성된 '로터리클럽'이나 '라이온스클럽'이 그 대안적 모델이 될 수 있다.

타향에 나와 있는 같은 지역 사람들로 뭉친 향우회나 같은 학교를 나온 사람들로 구성된 동창회도 달라질 수 있다. 일단 본래의 목적에 맞게 집단 내부에서 구성원이 겪는 어려움을 정당한 방법을 통해 상부상조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비록 지금까지는 이런 모임들이 패거리주의의 온상으로 여겨졌을지라도,지금부터라도 집단의 세력권 확대에만 몰두하는 속성을 버리고 집단의 이름으로 사회적 공헌을 하려고 힘쓰면 된다. '이익'을 위해 움직이지 말고,'존경'을 받기 위해 뛰라는 것이다. 그러한 '존경'은 구성원에게 크나큰 자부심으로 돌아올 것이다.

차기현 한국경제신문 생활경제부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