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논술특강] 40. 결론쓰기(1)

논술의 마무리에 해당하는 결론 쓰기는 바둑의 끝내기와 같은 것이다. 바둑 시합에서 다 이겨 놓은 바둑을 끝내기에서 마무리하지 못해 勝敗가 뒤집히곤 한다. 결론을 잘못 쓰게 되면 논술문 전체를 망칠 수도 있다.


결론은 글을 완성시키는 부분으로서 글쓴이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壓縮되어 제시된다. 일상생활에서 '有終의 미'가 자주 강조되는 것처럼 아무리 잘 된 글이라도 결말 부분에서 마무리가 잘 되지 않는다면 글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흐려지게 마련이다.


좋은 결론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본래의 내용이 마무리되기 전에 결말을 맺으면 안된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모두 서술하고도 重言復言하면서 마무리를 늦추는 식의 결말도 지양해야 한다. 결론은 적당한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앞서 말한 내용과 일관성이 있어야 하는데 앞의 내용과 연관 관계가 전혀 없거나 서로 상반되는 이야기를 한다면 글의 주제는 흐려지게 될 것이다. 글의 일관성은 주제 전달에서 매우 중요한 내용이니 각별히 유의하도록 하자.


셋째,본론은 기본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최종적으로 전달하는 단계이므로 강한 인상을 남겨주어야 한다. 강한 인상을 통해 자신의 주장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도록 해야 좋은 결론의 역할을 할 수가 있다.


넷째,결론의 내용을 무의식적으로 반복하거나 길게 늘여 쓰는 것은 좋지 않다. 전체 글의 5분의 1 정도의 분량이 적당할 것이다. 따라서 결론은 매우 簡潔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확실한 결론을 쓸 때만이 채점관에게 확실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다음의 유형으로 결론의 방식을 살펴보도록 하자.



1. 본문 내용을 요약해 정리하는 방식


본문의 내용을 정리해 요약하는 결론형은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이다. 본론에 필자의 주된 관점이 모두 포함돼 있기 때문에 다시 한번 강조하게 되면 읽는 사람이 본론의 내용을 잘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서론과 본론의 내용을 再活用하는 방식으로 해서는 안된다. 서론과 본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만 정리해서 제시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 어떤 사회를 막론하고 위에서 말한 어는 한 가지만이 사람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세 가지 가운데 어느 것이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가의 정도의 차이는 사회에 따라 다르다. 힘이 규제를 위한 주된 장치로 기능을 하는 사회도 있고,이목이나 자제력이 큰 힘으로 작용하는 사회도 있다. 윤리적 견지에서 볼 때 가장 이상적인 행위는 행위자의 自律에 따른 것이면서 사회적으로 보더라도 객관적인 타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이 진정 사회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이루어야 할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 미래의 일을 전망하는 방식


본문에서 언급했던 중심 내용에 대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여 결론을 맺는 방식이다. 본론의 論證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것을 전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본론의 이야기에서 자신이 주장한 내용에 대하여 확신을 심어주게 돼 독자를 설득하는 데 효과적이다.


예) 흔히 과학자들은 과학이 낳은 문제는 과학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일반 대중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본격적인 과학의 발전은 겨우 200여년,그리고 첨단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30여년밖에 안되었다. 이 짧은 기간에 태어난 과학 기술이 우리에게 떠넘기고 있는 골칫거리의 무게는 정확히 추정하기 어렵다. 개발하는 과학적 지식과 기술은 우리가 지니고 있지만,그 기술이 낳은 찌꺼기와 그에 따른 後遺症은 결국 미래 과학의 몫일 수밖에 없다. 문제 해결을 위해 많은 경비와 시간을 들이지만,적은 투자로 큰 이익을 내려는 현 사회 체제의 생리에 비추어 보면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나' 스스로가 과학 기술 발전의 물꼬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틀 수 있도록 좀더 과학 기술 발전의 본질을 이해하려 노력하며,이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런 노력이 모일 때 우리가 가는 길이 지금보다는 환해질 것이다.



3. 본론의 내용을 종합해 끝내는 일반적 진술 방식


본론에서 논의했던 내용을 종합해 결론을 이끌어 마무리 하는 방식이다. 앞서 언급한 요약과는 다른 점이 본론에서 논의한 주제에 대해 일정한 이해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한 요약형과는 다르게 종합적으로 이끌어 낸 결론은 대부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보다 인상적이고 논리적인 느낌을 준다.


예) 그러면 현대인의 '도덕성 회복'은 가능한가? 우선 현대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자본주의,상업주의적 경제체제를 폐기하고 새로운 복지 사회의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사회의 체제를 바꾸는 일은 사람들의 재정립된 世界觀을 전제로 한다. 한 인간의 도덕적 행위는 그의 세계관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덕적 회복'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세계관의 혁신적인 전환이다. 그것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또 나와 남의 관계에 대한 공동체적 인식을 요구한다. 즉,인간 중심적 세계관에서 생태주의적 세계관으로 코페르니쿠스적인 轉換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석록 원장 stonelee@megastudy.net


--------------------------------------------------------------------


■ 한자읽기


ㆍ勝敗(승패)

ㆍ壓縮(압축)

ㆍ有終(유종)

ㆍ重言復言(중언부언)

ㆍ簡潔(간결)

ㆍ再活用(재활용)

ㆍ自律(자율)

ㆍ論證(논증)

ㆍ後遺症(후유증)

ㆍ世界觀(새계관)

ㆍ轉換(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