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 통계를 작성하는 한국은행은 최근 실질국민총소득(GNI) 증가율 정체가 국민들의 체감경기 회복 지연의 주범이라는 주장에 반론을 제기했다.
한은의 논리는 이렇다.
일반적으로 실질GNI 증가율이 실질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낮은 현상이 지속되면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는 커진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차원의 얘기일 뿐 최소한 올해 상황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GNI 증가율 정체가 국민들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지려면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이 최종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런데 올해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실질무역손실의 상당 부분은 기업에서 흡수했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원유 수입가격 상승으로 생산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이를 제품 가격 상승에 전부 반영시키진 않았다는 것이다.
한은은 그 근거로 상장·등록 법인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상반기 10.8%에서 올 상반기엔 8.0%로 떨어진 점을 들었다.
지난해와 비교할 때 기업들이 보다 적은 이익을 남기고 장사를 했다는 얘기다.
때문에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논리다.
한은은 실질GNI 증가율 정체에도 불구하고 최근 민간소비 증가율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도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무역 손실을 흡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또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는 고용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결국 실질GNI 증가율 정체는 국민들의 체감경기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한은의 논리는 이렇다.
일반적으로 실질GNI 증가율이 실질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낮은 현상이 지속되면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는 커진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차원의 얘기일 뿐 최소한 올해 상황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GNI 증가율 정체가 국민들의 구매력 감소로 이어지려면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이 최종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런데 올해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 실질무역손실의 상당 부분은 기업에서 흡수했다는 것이 한은의 분석이다.
원유 수입가격 상승으로 생산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이를 제품 가격 상승에 전부 반영시키진 않았다는 것이다.
한은은 그 근거로 상장·등록 법인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상반기 10.8%에서 올 상반기엔 8.0%로 떨어진 점을 들었다.
지난해와 비교할 때 기업들이 보다 적은 이익을 남기고 장사를 했다는 얘기다.
때문에 국민들의 실질구매력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논리다.
한은은 실질GNI 증가율 정체에도 불구하고 최근 민간소비 증가율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것도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교역조건 악화로 인한 실질무역 손실을 흡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또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는 고용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결국 실질GNI 증가율 정체는 국민들의 체감경기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