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의 경제력이나 경제규모는 그 나라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명목 국민총소득(GNI)으로 비교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 또는 복지수준을 비교하는 데는 1인당 국민소득(GNI)이 더 적합하다.

국민총소득 규모가 같아도 인구 수에 따라 한 사람에게 돌아가는 몫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엔(UN)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GNI는 6061억달러로 스위스(3295억달러)의 약 2배다.

그러나 한국의 인구는 스위스의 6배이기 때문에 1인당 GNI는 1만2646달러로 스위스(4만5961달러)의 3분의 1 정도에 그치고 있다.

정부나 언론에서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얘기할 때는 1인당 GNI를 지칭하는 것이다.

그러나 1인당 GNI를 볼 때 몇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우선 1인당 GNI는 국제비교를 위해 미국 달러화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하락하면 한국의 1인당 GNI도 자연스레 늘어난다.

작년에 한국의 1인당 GNI는 1만4162달러였는데 올해 말에는 대략 1만6000달러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이는 GNI 자체가 늘었다기보다는 환율이 지난해보다 10%가량 낮아졌기 때문이다.

또 1인당 GNI는 명목지표이기 때문에 물가 상승률이 높아져도 자연스레 증가하게 돼 있다.

1인당 GNI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은 서비스(예컨대 가사노동)의 가치는 전혀 반영하지 않고,경제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환경 파괴와 같은 부작용은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국민의 복지수준을 나타내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