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에 이어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이 2007학년도까지 공과대학 입학정원을 12∼17%까지 줄인다.
이 같은 정원 감축이 공대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공대의 감축 폭이 다른 단과대에 비해 특히 크다는 점에서 향후 이공계 우수 인력 양성에 차질이 예상된다.
대학들이 최근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해 확정된 '구조개혁안'에 따르면 연세대는 2006학년도와 2007학년도 중 입학정원을 3930명(2004학년도 기준)에서 3537명으로 393명(10.0%) 줄이는 가운데 감축 정원의 절반이 넘는 201명을 공대에서 줄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공대 정원은 1129명에서 928명으로 17.8% 줄어든다.
반면 법대와 의예과,치의예과는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올해 신설한 국제학부는 정원을 69명까지 늘린다.
고려대도 2007학년도까지 총 정원을 398명(10.0%) 감축하는 가운데 공대와 정보통신대에서 112명(12.4%)을 줄인다.
의대,간호대,미술학부 정원은 그대로 유지하며 국제학부는 20명에서 50명으로 늘린다.
이에 앞서 서울대는 이미 2005학년도에 625명을 감축한 가운데 공대에서 170명을 축소했다.
총 정원은 16.1% 줄였지만 공대는 950명에서 780명으로 17.9% 감축했다.
유일하게 구조조정의 칼날을 비껴간 곳은 의예과와 법대로 정원을 1명도 줄이지 않았다.
홍준표 연세대 기획처장(신소재공학부 교수)은 "이공계 기피로 인해 우수 학생들이 많이 안 오는 사회적 수요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그는 "법대의 경우 로스쿨 유치를 위해 정원을 줄일 수 없고 의대는 정원이 묶여 있어 마음대로 줄이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이현청 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은 "대학 입장에서 공대는 사회적 수요는 높지 않은 대신 재정 수요는 많은 곳으로 우선적인 구조조정 대상이 되고 있다"며 "우수 대학들까지 사회적 수요에 민감하게 대응해 공대 정원을 줄이는 것은 국가 경제 발전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상위권 공대들이 '이공계 기피 현상'을 감안, 이처럼 대대적인 정원 감축에 나섬에 따라 다른 공대도 적잖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석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reallist@hankyung.com
이 같은 정원 감축이 공대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공대의 감축 폭이 다른 단과대에 비해 특히 크다는 점에서 향후 이공계 우수 인력 양성에 차질이 예상된다.
대학들이 최근 교육인적자원부에 제출해 확정된 '구조개혁안'에 따르면 연세대는 2006학년도와 2007학년도 중 입학정원을 3930명(2004학년도 기준)에서 3537명으로 393명(10.0%) 줄이는 가운데 감축 정원의 절반이 넘는 201명을 공대에서 줄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공대 정원은 1129명에서 928명으로 17.8% 줄어든다.
반면 법대와 의예과,치의예과는 전혀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올해 신설한 국제학부는 정원을 69명까지 늘린다.
고려대도 2007학년도까지 총 정원을 398명(10.0%) 감축하는 가운데 공대와 정보통신대에서 112명(12.4%)을 줄인다.
의대,간호대,미술학부 정원은 그대로 유지하며 국제학부는 20명에서 50명으로 늘린다.
이에 앞서 서울대는 이미 2005학년도에 625명을 감축한 가운데 공대에서 170명을 축소했다.
총 정원은 16.1% 줄였지만 공대는 950명에서 780명으로 17.9% 감축했다.
유일하게 구조조정의 칼날을 비껴간 곳은 의예과와 법대로 정원을 1명도 줄이지 않았다.
홍준표 연세대 기획처장(신소재공학부 교수)은 "이공계 기피로 인해 우수 학생들이 많이 안 오는 사회적 수요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그는 "법대의 경우 로스쿨 유치를 위해 정원을 줄일 수 없고 의대는 정원이 묶여 있어 마음대로 줄이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이현청 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은 "대학 입장에서 공대는 사회적 수요는 높지 않은 대신 재정 수요는 많은 곳으로 우선적인 구조조정 대상이 되고 있다"며 "우수 대학들까지 사회적 수요에 민감하게 대응해 공대 정원을 줄이는 것은 국가 경제 발전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상위권 공대들이 '이공계 기피 현상'을 감안, 이처럼 대대적인 정원 감축에 나섬에 따라 다른 공대도 적잖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석 한국경제신문 사회부 기자 real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