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만기 메가스터디 강사 >
서울대를 비롯한 상당수 대학이 수시2학기에서 단계별 면접구술고사를 실시한다.
학생부와 함께 수시 2학기 주요 반영 요소인 면접·구술고사는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영역이다.
대학별,단계별로 반영 방식과 내용이 다르지만 전형 총점의 60%까지 반영하므로 학생부 성적이 다소 떨어질 경우 면접·구술고사는 당락을 결정하는 변수가 된다.
면접·구술 고사는 대체로 단답식이 아닌 다단계형 질문을 하지만 세부적인 문항형식이나 평가내용,시간 등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지원 대학의 면접·구술고사 요강과 경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최근에는 시사쟁점만이 아니라 전공학과와 관련된 질문도 증가하는 추세므로 깊고 넓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지난달 30일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논술 가이드라인은 면접·구술도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지만 논술보다는 규제의 강도가 약해 기출문제와 엇비슷한 수준의 문제들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쉬워지겠지'하고 대강 준비했다가는 큰코 다칠 수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자연계열 면접·구술고사의 경우 종합적인 사고력 등을 측정하는 문제가 많았다.
심지어 지필고사의 형식을 취해 수학문제 등을 면접관 앞에서 푸는 경우도 있었다.
인문계열은 영어 제시문을 주고 독해를 시킨 후 수험생의 의견을 묻는 등 영어 의사소통 능력,논리적인 사고력,시사 쟁점에 대한 비판적 안목 등을 주로 측정했다.
수시 2학기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면접·구술 대비를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시험 당일까지 시사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신문 등을 통해 주요 시사 쟁점을 요약노트 형태로 간략히 정리해 두면 좋다.
분야별로 쟁점,찬반 이론,근거 등을 정리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잡지도 탐독하자.면접·구술은 심도있는 독서체험을 요구한다.
그러나 시간상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므로 도서요약 사이트나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잡지를 보는 것도 짧은 시간에 넓은 독서체험 효과를 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거울을 보고 자신의 말하는 모습을 점검하는 훈련도 틈틈히 해 두자.알고 있는 물음이 주어져도 면접관 앞에서는 주눅이 들어 제대로 말하기 힘들다.
친구나 부모를 상대로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