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을 읽다 보면 '소비 심리가 얼어붙었다'는 기사를 가끔 볼 수 있다. 소비 심리가 얼어붙었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쉽게 얘기하면 경제 사정이 좋지 않아서 사람들이 돈 쓰기를 꺼린다는 것이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소비는 소득의 함수다. 소득이 늘어나면 자연스레 소비도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소득이 늘어도 소비는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단적으로 같은 직장에서 똑같은 월급을 받는 입사 동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한 달에 쓰는 돈은 다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종종 '소비 심리'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그러면 소비 심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정부에서는 소비 심리를 측정하기 위해 '소비자기대지수(Consumer Sentiment Index·CSI)'라는 것을 매월 조사해 발표한다.
CSI는 매월 특정한 사람들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다. 설문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현재 경제상황이 6개월 전과 비교해 나아졌다고 생각하십니까' '6개월 후 경제상황이 현재와 비교해서 어떨 것이라고 예상하십니까' 등이다. 전자의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과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의 비율을 따져서 지수화한 것을 '소비자 평가지수'라고 부르고 후자를 지수화한 것을 '소비자 기대지수'라고 부른다. 통상적으로 이 수치가 100보다 낮으면 현재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 높으면 그 반대다.
CSI를 통해 나타나는 소비 심리가 반드시 실제 소비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체로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들의 사업계획 수립에 참고 자료가 된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소비는 소득의 함수다. 소득이 늘어나면 자연스레 소비도 증가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소득이 늘어도 소비는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단적으로 같은 직장에서 똑같은 월급을 받는 입사 동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한 달에 쓰는 돈은 다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종종 '소비 심리'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그러면 소비 심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정부에서는 소비 심리를 측정하기 위해 '소비자기대지수(Consumer Sentiment Index·CSI)'라는 것을 매월 조사해 발표한다.
CSI는 매월 특정한 사람들을 상대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다. 설문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현재 경제상황이 6개월 전과 비교해 나아졌다고 생각하십니까' '6개월 후 경제상황이 현재와 비교해서 어떨 것이라고 예상하십니까' 등이다. 전자의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한 사람과 부정적으로 답한 사람의 비율을 따져서 지수화한 것을 '소비자 평가지수'라고 부르고 후자를 지수화한 것을 '소비자 기대지수'라고 부른다. 통상적으로 이 수치가 100보다 낮으면 현재 경제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 높으면 그 반대다.
CSI를 통해 나타나는 소비 심리가 반드시 실제 소비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체로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기업들의 사업계획 수립에 참고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