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사회에 기여하고 이익도 추구하는 '소셜벤처'

    소셜벤처(Social Venture)는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이나 조직을 뜻하며 일반적인 기업과 같은 영업을 통해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한다. 대한민국의 소셜벤처 기업은 폐지를 줍던 노인들을 정규직원으로 채용한 한과 벤처기업 (주)예주식품, 이화여대 재학생과 졸업생 4명으로 구성되어 동남아시아 기후변화 조기 탐지 솔루션을 개발한 레인버드지오, 직원 46명 중 18명이 노숙자 출신·고령자&midd...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주위상계 (走爲上計)

    ▶ 한자풀이 走: 달릴 주 爲: 할 위 上: 윗 상 計: 셈할 계 용기는 물러서고 나아가는 것을 아는 거다. 물러서야 할 때 물러서고, 나아가야 할 때 나아가는 거다. 물러서야 할 때 나아가는 건 만용이고, 나아가야 할 때 물러서는 건 비겁이다. 병사를 보전해야 후일을 도모하고, 힘을 모아야 큰일을 꾀한다. 진퇴를 아는 건 삶의 큰 지혜다. 중국 남북조시대 제나라 5대 황제인 명제는 제나라를 세운 고제의 증손인 3, 4대 황제를 차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2월 2일 (655)

    1. 다음 중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 포함되지 않는 나라는? ①인도네시아 ②베트남 ③브루나이 ④튀니지 2. 지난 24일 치러진 이곳의 구의원 선거에서 친중파가 몰락하고 범민주 진영이 압승했다. 아시아의 대표적 금융허브인 이곳은? ①대만 ②홍콩 ③싱가포르 ④필리핀 3. 대형 스포츠 이벤트에서 공식 후원사가 아닌 기업이 마치 후원사인 것처럼 편승해 벌이는 광고 마케팅은? ①바이럴 마케팅 ②노이즈 마케팅 ③앰부시 마케팅 ④...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36)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진학 길잡이 기타

    교대 정시는 수능으로 2배수 뽑고 면접 등 거쳐 선발

    1. 서울교대 정시면접 서울교대는 1단계에서 수능 점수만으로 2배수를 뽑고, 2단계에서 1단계 80, 면접 20으로 나군에서 155명을 선발한다. 수능활용지표가 표준점수이고, 학생부 반영이 없으며, 면접비율이 다른 교대에 비해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전년도 수시이월인원은 13명으로, 경쟁률은 2.15 대 1이었다. 가산점 5%가 있는 수학 가와 과학탐구의 표준점수가 높은 학생이 유리하다. 정시면접질문의 특징은 교직교양...

  • 교양 기타

    '광기(狂氣)'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없는 마음 상태…격한 감정에 사로잡혀 저지른 악행은 고통과 슬픔만 따라

    나는 내게 묻는다. “나는 나를 객관적으로, 무심하게 바라볼 수 있는가?” 혹은 “나는 내가 보고 싶은 것을 대상에 투여해 보는가?” 무엇을 응시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광기(狂氣)’란 관찰하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없는’ 마음의 상태다. 남들을 보기 전에,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어야 한다. 미움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세상이 모두 미움...

  • 커버스토리

    디즈니도 가세한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경쟁

    세계 최대 콘텐츠기업인 미국 월트디즈니가 넷플릭스처럼 온라인으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OTT 서비스인 디즈니플러스를 지난 12일 선보였다. 디즈니가 동영상 스트리밍 시장에 본격 뛰어들어 업계는 물론 세계 이용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디즈니가 이미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넷플릭스를 따라잡을지, 치열한 경쟁의 승자는 어디가 될지 주목된다. 디즈니플러스는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에 이어 지난 19일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

  • 역사 기타

    고려 왕실과 귀족토지를 몰수해 과전법으로 재분배…15세기 후반부터 토지를 백성의 사유재산으로 인정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정권을 잡은 이성계 세력은 1390년 고려 왕실과 귀족의 토지를 몰수해 재분배하는 개혁을 단행했다. 이로써 고려왕조를 지탱한 귀족세력의 경제적 기반이 붕괴했으며, 뒤이어 고려왕조도 멸망했다. 개혁 대상이 된 귀족·관료의 토지는 13세기 중엽부터 지급된 수조지로 녹과전(祿科田)과 별사전(別賜田)이었다. 토지개혁 단행한 이성계 연후에 이성계 세력은 과전법(科田法)이라는 새로운 기준에 따라 조선왕조의 지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