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과학과 놀자
구부러지는 스마트폰 화면 가능케 하는 신기한 플라스틱, 전도성 고분자
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11)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각종 전기 제품의 플러그가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는 것도 전기가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상식과 달리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이 있다. ‘전도성 고분자’라는 물질이다.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이야기는 약 50년 전인 197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도쿄공대의 시라카와 히데키 교수 연...
-
TESAT 공부하기 기타
'두 얼굴의 환율'…오르면 수출 늘지만, 인플레 우려도 커져
“6㎏ 무게인 엽전 6000개가 현재 환율로 1달러에 해당한다. 수백달러짜리 물건을 사려면 짐꾼들을 고용해 돈을 실어 날라야 한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인 에른스트 폰 헤세 바르텍은 조선을 여행한 뒤 쓴 《조선, 1894년 여름》에서 당시 사회경제상을 이렇게 남겼다. 엽전 6000개 가치가 겨우 1달러. 조선 말기의 경제가 엉망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오늘날 원화의 가치는 120여 년 전 엽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
-
위인들도 어렸을 땐 '말썽꾸러기'
초·중학생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제11호 커버스토리로 ‘오늘의 주인공은 바로 나!’를 실었다. 어린이날(5월 5일)을 맞아 위인 7명의 어린 시절을 살펴보면서, 위대한 인물들도 한때는 평범하거나 혹은 말썽꾸러기였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집을 빌려주는 플랫폼을 만들어 여행·숙박업계에 혁신을 일으킨 세 명의 ...
-
민간주도 성장 vs 정부주도 성장
중·고교생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은 ‘한 나라의 경제가 성장하는 길’을 제752호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취임사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 성장을 강조한 이유를 좀 더 깊게 조명했다. 세상에는 민간 주도 성장과 정부 주도 성장이라는 두 개의 ‘충돌하는 비전’이 있다는 점을 먼저 소개하고, 이 중 민간 주도가 삶의 질을 높이고 번영을 더 많이 ...
-
생글 학습·진로 기타
환율
[문제1] 환율을 잘못 설명한 것을 고르시오. (1)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재 가격은 하락하고 수입재 가격은 상승한다. (2) 구매력평가설은 균형환율이 각 국가의 물가 수준 차이에서 결정된다고 본다. (3) 이자율평가설은 국가 간 자본이동이 자유로운 상황에서 이자율 격차에 의해 장기 균형환율이 결정된다는 견해다. (4) 단기 균형환율의 변동폭이 장기 균형환율의 변동폭보다 크게 나타나는 이유는 가격 변수가 단기에 경직적이기 때문이다. (...
-
커버스토리
경제가 성장하는 길…민간 주도 or 정부 주도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1일 취임사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 성장’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해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을 제1 목표로 삼는 중앙은행인데요. 이곳의 새 수장이 ‘민간 주도 경제 성장론’을 강조했다고 해서 화제가 됐답니다. 이 총재는 “과거와 같이 정부가 산업 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 성장을 기대할 순 없다. 민간 주도로 보다 창의적이...
-
시사 이슈 찬반토론
2023 최저임금 논의…고물가 반영해 또 많이 올려야 하나
최저임금 산정 시즌이 됐다. 그동안 급등한 최저임금에 대한 사회적 ‘성찰’이 있는 가운데 2023년도 최저임금을 오는 6월 말까지 결정해야 한다. 결정 방식은 기존 그대로다. 사용자 측과 근로자 측을 대표한 각각 9명, 그리고 정부 주도의 공익위원 9명으로 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산업계와 경영계 등에서는 그동안 급등한 최저임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동결 등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산업 업종별, 지역별, 연령별 차별화...
-
숫자로 읽는 세상
넷플릭스 '최악의 날'…주가 35% 대폭락
넷플릭스 주가가 지난달 20일 가입자 감소 충격으로 35% 넘게 폭락하는 일이 발생했다. 하루 만에 시가총액 543억달러(약 67조원)가 날아갔다. 월가 투자은행 최소 9곳이 넷플릭스의 성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이날 나스닥 시장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전날보다 35.12% 급락한 226.19달러에 마감했다. 가입비 인하와 해외 진출 연기를 발표했던 2004년 10월 15일 이후 18년 만에 하루 최대 낙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