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학습 길잡이 기타
(40) 하늘이 내게 재능을 주었으니 반드시 쓰일 곳이 있으리라
시선(詩仙)이라고 불리는 이백의 시 '장진주(將進酒)'의 일부에요. 하늘이 내게 재능을 주었으니 반드시 쓰일 곳이 있을 것이오, 천금의 돈도 다 쓰고 나면 다시 돌아오기 마련이다. 얼핏 시간과 돈을 흥청망청 쓰며 놀자는 말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이 시구에는 세상을 대하는 이백의 호탕함이 들어 있어요.자신의 능력을 믿고 조급해 하지 않으며, 돈에 자신을 가두지 않는 그런 호탕함 말입니다. 우리도 무언가에 쫓기듯이 살지 말고 이백처럼 한 번...
-
스도쿠 여행
(307) 스도쿠 여행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306회 스도쿠여행 정답: ⓐ-4 ⓑ-9 ⓒ-3 ⓓ-8 ⓔ-1 ⓕ-5ⓖ-1 ⓗ-4 ⓘ-7 ★ 305회 당첨자: 성희숙 이덕신 황수경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28일자
1. 한국 정부는 올 6월까지 쌀에 대한 '이것'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수입 제한을 철폐하고 정해진 세금만 내면 누구나 정부 허가 없이 수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실상 수입 개방을 뜻하는 이 용어는? (1)금수조치 (2)관세화 (3)세이프가드 (4)반덤핑 2. 올해 기준 한국의 '이것'은 시간당 5120원이다. 국가가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근로 대가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법으로 강제한 이 제도는? (1)통상임금 (2)실질임금 ...
-
경제 기타
계열사간 순환출자 구조 정리…삼성의 지배구조 단순화 작업
◆순환출자의 명암 삼성그룹이 1조원을 들여 계열사 간 지배구조를 단순화하는 마스터 플랜을 짜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의 약점으로 지적돼온 계열사 간 순환출자 구조와 금융·산업자본 간 혼합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경영 투명성과 경쟁력을 높이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 4월 24일 OO신문 ☞ 삼성그룹이 순환출자 해소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순환출자를 없애고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경영의 투명성을 더 높이겠다는 뜻이다. 이병철 선대 회장과 이건희 현...
-
경제 기타
"그래도 희망의 끈을 놓아선 안됩니다"
'세월호 참사'로 꽃다운 목숨을 잃은 친구들을 추모하는 글이 고교와 대학에서 쇄도했습니다. 학생들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고, 남은 가족과 단원고 학생들을 걱정했습니다. 한결같이 기도했습니다. 기적이 있어 주시기를-. 추모글은 대부분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자는내용이었습니다. 우리의 봄(春)이 슬픕니다. 활기차고 생생할 것만 같던 2014년 4월의 봄은 그저 슬픔으로 가득합니다. 아무 일 없다는 듯 맑게 빛나는 하늘이 그저 야속하기만 합...
-
경제 기타
경제리더를 꿈꾸는 'Eco-leaders' 등
경제리더를 꿈꾸는 'Eco-leaders' 작년 3월 필자는 삼척고등학교에서 처음으로 경제동아리를 만들었다. 이름은 'Eco-leaders (Economic leaders)'다. 이 동아리는 경제와 경영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의 모임이다. 안정수 선생님을 주축으로 1~3학년이 골고루 섞여 있다. 동아리는 경제이론을 습득한 후 '경제를 실생활에 적용해보자'라는 주제로 활동하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경제를 이론적으로 공부할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밌는 수학세계 - 타율 계산은 '바보 셈'으로 타율은 어떤 타자가 안타를 얼마나 잘 치는지를 나타내주는 좋은 지표다. 예를 들어 어제까지 12번의 타석에서 3번의 안타를 쳤다면 이 타자의 타율은 3/12=0.25 즉, 2할5푼이다. 이 타자가 오늘 5번의 타석에서 1개의 안타를 쳤다면 오늘의 타율은 1/5=0.2로 2할이다. 그렇다면 이 선수의 지금까지 총 타율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수식1 과 같이 계산되어 이...
-
경제 기타
(11) 중세의 토지는 누구 소유였는가
토지소유는 농업사회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결정한다. 농업사회의 생산성은 당연히 농업의 생산성에 달려 있으며, 농업의 생산성은 가장 기초적인 생산요소인 토지를 누가 소유하고 있는가에 직결되어 있다. 토지를 가장 잘 이용할 개인이나 조직이 토지를 소유하는 사회가 생산성이 높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토지소유로부터 얻는 지대 소득이 전체 소득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을 것이므로 농업사회의 소득분배는 토지소유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느냐에 좌우될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