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꽃다운 목숨을 잃은 친구들을 추모하는 글이 고교와 대학에서 쇄도했습니다. 학생들은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고, 남은 가족과 단원고 학생들을 걱정했습니다. 한결같이 기도했습니다. 기적이 있어 주시기를-. 추모글은 대부분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자는내용이었습니다.
우리의 봄(春)이 슬픕니다. 활기차고 생생할 것만 같던 2014년 4월의 봄은 그저 슬픔으로 가득합니다. 아무 일 없다는 듯 맑게 빛나는 하늘이 그저 야속하기만 합니다.
차디찬 망망대해에 외로이 있을 분들을 생각하면 저절로 숙연해집니다. 애통함과 비통함을 넘어 분노가 차오르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분노는 잠시 넣어두려고 합니다. 간절한 기도에 온 힘을 쏟아 부으려고 합니다. 구조된 분들에게는 안정을, 실종된 분들에게는 희망을,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에게는 많은 이들의 추모를 기원합니다.
차라리 꿈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이들이 우리의 곁을 떠났습니다. 기억하고 기도하겠습니다. 편히 잠드소서.
최재영(중앙대 신문방송 2년)
뭐라고 말로 표현할 수 없다. 한동안 멍하게 지냈다. 지금도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3자가 이런데 가족과 단원고 학생들은 어떨까. 상상하기 어렵다. 무슨 말로 위로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도 기적을 믿는다. 한 줄기 기적의 빛이 내리길 바란다. 우린 그것을 바란다. 그 아이가 누구든 단 한 명이라도 돌아와 준다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되돌아 본다. 나는 규칙을 제대로 지키고 살았는가. 나는 이기적이지 않았는지, 나는 남들의 고통을 얼마나 모른 척했는지. 산 자의 할 일은 이런 것이 아닐까. 위기 때 우린 과연 남들을 돌볼 수 있을까. 반성하는 하루하루가 되고 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가족들, 친구들, 선생님! 힘을 내시라.
황대현(강서고 3년)
친구들아, 아직도 비극이 믿기지가 않아. 순식간에 그 많은 생명을 앗아간 바다. 밉기만 하다. 너희들이 긴 공부를 마치고 바라보게 되었을 세상은 너무나도 넓고 즐거운 일들로 가득한데 이렇게 가다니. 우리 모두가 애통해 하고 있어. 전 세계가 기도하고 있어. 마음 아파하고 있어. 어른들의 순간 잘못으로 너희들이 큰 희생을 치렀다. 살아있는 우리들의 잘못이라고 반성하고 있어.
살아있는 가족들의 가슴에 뻥 뚫린 구멍을 어찌 치유한단 말인가. 움직이지 말라는 말을 듣지 말고 뛰어나오지 그랬니. 그랬다면 저 많은 희생이 없었을텐데. 가족 여러분, 단원고 학생 여러분, 부디 힘 내세요. 절망하지 마세요. 희생자 여러분의 명복을 빈다.
최승희(한국외대 1년)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대부분 나보다도 어린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제대로 서있을 수 없었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더 많았던 친구들이 채 피지 못한 꽃봉오리로 남아야 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 한 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아이들을 밖으로 내보려다 물살에 휘말린 젊은 선생님의 얘기에 저절로 숙연함을 느꼈다. 이런 사람들과 갑작스럽게 이별을 해야만 했다는 것이 정말로 서글펐다.
우리가 그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이 일을 잊지 않는 것이다. 이번 사고로 희생된 사람들을 기억하는 것이 우리가 그들을 위해 지켜줄 수 있는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한다.
조원희(청심국제고 3년)
며칠 전, 평소와 다름없이 일과를 진행하던 도중 친한 외국 친구들 몇 명이 다가와 나에게 다급한 목소리로 외쳤다. “Sean! Do you know what is going on in Korea?” 인터넷을 멀게 사는 나로서는 도대체 무슨 영문인지 알 턱이 없었다. 뒤늦게 한국 웹사이트를 확인해보니 모든 면이 ‘세월호’와 ‘안산 단원고’ 이야기들도 꽉 채워져 있었다. 날벼락이라도 맞은 듯 어안이 벙벙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왜 이러한 비극이 일어난 것인지 어떻게 행복해야 하는 수학여행이 이런 비극으로 이어졌는지 감히 상상할 수 없었다. 먼 이국 땅 미국에서 하루가 갈 때마다 마음이 더 아파온다. 이런 비극을 어떻게 떨쳐내야 하는지 모르겠다.
김시현(St.Lawrence고 2년)
밤낮으로 구조활동이 벌어지고 있다. 희생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잠수 제한시간 20~25분 안에 침몰된 배의 출입구를 찾아야 한다. 시야가 흐르고 물쌀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다는 게 잠수사들의 얘기다. 냉장고 등 떠있는 내부 시설물에 부딪혀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이런 열악한 작업환경 속에서도 구조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들에게 많은 관심과 따뜻한 격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 사람을 구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구조대원들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재난이 일어났을 때마다 먼저 달려가 자신들의 목숨보다 타인의 목숨을 위해 뛰어드는 구조대원들의 활동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송치원 (포항제철고 3년)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기도다. 희생자의 넋을 달래는 기도를 해야 한다. 기적을 만들어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희생자의 가족을 어루만져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단원고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 희생자를 평생 마음 속에 담고 살아야 할 가족과 교사들을 위해 기도해야 한다. 용기를 잃지 말라고 기도한다. 마음의 상처를 어떻게 치유하고, 빈 자리를 어떻게 메워가야 할 지를 모를 이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기도한다.
그리고 애도한다. 희생자를 위해, 가족을 위해, 선생님들을 위해. 많은 말보다, 쓸데 없는 행동보다 조용히 또래의 친구들을 떠올린다. 이름모를 친구들. 먼저 간 친구들을 위해 생각한다. 희생 앞에 좌절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한다.
황단비 (신도고 2년)
군 복무를 대신해 24개월간 119구조대에서 생활했다. 화재·구조·구급의 현장에서 많은 장면을 목격했다. 안타까운 장도 있었지만 기적의 순간도 목격했다. 119구조대를 떠난 지 약 3년 만에 학교 강의실에서 비보를 접했다. 10대라는 어린 나이에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난 동생들 때문에 책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무책임한 선장을 욕하는 사람들도 있고, 정부의 위기관리능력이나 국민의 안전불감증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는 일은 잠시 미뤄두고 싶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세상을 더 시끄럽고 혼란스럽게 하는 게 아니라,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영혼과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것이 아닐까.
박찬현(고려대 경영 4년)
희생자 부모들이 극심한 자책에 빠져 있다고 한다. 자식을 사지로 몰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안산으로 이사를 간 탓에 일이 벌어졌다고 자책하는 부모도 있다. 교사들도 걱정이다. 제자들을 두고 살아돌아 왔다는 죄책감에 잠을 못잔다고 한다.
부모님 못지 않게 선생님들도 걱정스럽다. 텅빈 학교에서 수업을 하실 수 있을까? 동료 교사들도 많이 숨졌고 한 교실이 거의 통째로 비극을 맞기도 했다. 교감선생님의 또 다른 희생은 그 징후다. 막아야 한다. 주변 동료들이 잘 관리해야 한다. 혼자 있게 놔둬서는 안된다. 또 다른 비극은 남아있는 학생과 교사에게 더욱 더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줄 것이다. 부디 힘을 내세요.
오승홍(남성고 3년)
우리의 봄(春)이 슬픕니다. 활기차고 생생할 것만 같던 2014년 4월의 봄은 그저 슬픔으로 가득합니다. 아무 일 없다는 듯 맑게 빛나는 하늘이 그저 야속하기만 합니다.
차디찬 망망대해에 외로이 있을 분들을 생각하면 저절로 숙연해집니다. 애통함과 비통함을 넘어 분노가 차오르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분노는 잠시 넣어두려고 합니다. 간절한 기도에 온 힘을 쏟아 부으려고 합니다. 구조된 분들에게는 안정을, 실종된 분들에게는 희망을,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에게는 많은 이들의 추모를 기원합니다.
차라리 꿈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많은 이들이 우리의 곁을 떠났습니다. 기억하고 기도하겠습니다. 편히 잠드소서.
최재영(중앙대 신문방송 2년)
뭐라고 말로 표현할 수 없다. 한동안 멍하게 지냈다. 지금도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3자가 이런데 가족과 단원고 학생들은 어떨까. 상상하기 어렵다. 무슨 말로 위로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도 기적을 믿는다. 한 줄기 기적의 빛이 내리길 바란다. 우린 그것을 바란다. 그 아이가 누구든 단 한 명이라도 돌아와 준다면. 이번 사건을 계기로 되돌아 본다. 나는 규칙을 제대로 지키고 살았는가. 나는 이기적이지 않았는지, 나는 남들의 고통을 얼마나 모른 척했는지. 산 자의 할 일은 이런 것이 아닐까. 위기 때 우린 과연 남들을 돌볼 수 있을까. 반성하는 하루하루가 되고 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가족들, 친구들, 선생님! 힘을 내시라.
황대현(강서고 3년)
친구들아, 아직도 비극이 믿기지가 않아. 순식간에 그 많은 생명을 앗아간 바다. 밉기만 하다. 너희들이 긴 공부를 마치고 바라보게 되었을 세상은 너무나도 넓고 즐거운 일들로 가득한데 이렇게 가다니. 우리 모두가 애통해 하고 있어. 전 세계가 기도하고 있어. 마음 아파하고 있어. 어른들의 순간 잘못으로 너희들이 큰 희생을 치렀다. 살아있는 우리들의 잘못이라고 반성하고 있어.
살아있는 가족들의 가슴에 뻥 뚫린 구멍을 어찌 치유한단 말인가. 움직이지 말라는 말을 듣지 말고 뛰어나오지 그랬니. 그랬다면 저 많은 희생이 없었을텐데. 가족 여러분, 단원고 학생 여러분, 부디 힘 내세요. 절망하지 마세요. 희생자 여러분의 명복을 빈다.
최승희(한국외대 1년)
배 안에 있던 사람들이 대부분 나보다도 어린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제대로 서있을 수 없었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더 많았던 친구들이 채 피지 못한 꽃봉오리로 남아야 했다는 것이 믿기지 않았다. 한 명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아이들을 밖으로 내보려다 물살에 휘말린 젊은 선생님의 얘기에 저절로 숙연함을 느꼈다. 이런 사람들과 갑작스럽게 이별을 해야만 했다는 것이 정말로 서글펐다.
우리가 그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이 일을 잊지 않는 것이다. 이번 사고로 희생된 사람들을 기억하는 것이 우리가 그들을 위해 지켜줄 수 있는 최소한의 예의라고 생각한다.
조원희(청심국제고 3년)
며칠 전, 평소와 다름없이 일과를 진행하던 도중 친한 외국 친구들 몇 명이 다가와 나에게 다급한 목소리로 외쳤다. “Sean! Do you know what is going on in Korea?” 인터넷을 멀게 사는 나로서는 도대체 무슨 영문인지 알 턱이 없었다. 뒤늦게 한국 웹사이트를 확인해보니 모든 면이 ‘세월호’와 ‘안산 단원고’ 이야기들도 꽉 채워져 있었다. 날벼락이라도 맞은 듯 어안이 벙벙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왜 이러한 비극이 일어난 것인지 어떻게 행복해야 하는 수학여행이 이런 비극으로 이어졌는지 감히 상상할 수 없었다. 먼 이국 땅 미국에서 하루가 갈 때마다 마음이 더 아파온다. 이런 비극을 어떻게 떨쳐내야 하는지 모르겠다.
김시현(St.Lawrence고 2년)
밤낮으로 구조활동이 벌어지고 있다. 희생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잠수 제한시간 20~25분 안에 침몰된 배의 출입구를 찾아야 한다. 시야가 흐르고 물쌀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다는 게 잠수사들의 얘기다. 냉장고 등 떠있는 내부 시설물에 부딪혀 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이런 열악한 작업환경 속에서도 구조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들에게 많은 관심과 따뜻한 격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 사람을 구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구조대원들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안전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재난이 일어났을 때마다 먼저 달려가 자신들의 목숨보다 타인의 목숨을 위해 뛰어드는 구조대원들의 활동을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송치원 (포항제철고 3년)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기도다. 희생자의 넋을 달래는 기도를 해야 한다. 기적을 만들어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희생자의 가족을 어루만져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단원고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 희생자를 평생 마음 속에 담고 살아야 할 가족과 교사들을 위해 기도해야 한다. 용기를 잃지 말라고 기도한다. 마음의 상처를 어떻게 치유하고, 빈 자리를 어떻게 메워가야 할 지를 모를 이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기도한다.
그리고 애도한다. 희생자를 위해, 가족을 위해, 선생님들을 위해. 많은 말보다, 쓸데 없는 행동보다 조용히 또래의 친구들을 떠올린다. 이름모를 친구들. 먼저 간 친구들을 위해 생각한다. 희생 앞에 좌절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한다.
황단비 (신도고 2년)
군 복무를 대신해 24개월간 119구조대에서 생활했다. 화재·구조·구급의 현장에서 많은 장면을 목격했다. 안타까운 장도 있었지만 기적의 순간도 목격했다. 119구조대를 떠난 지 약 3년 만에 학교 강의실에서 비보를 접했다. 10대라는 어린 나이에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난 동생들 때문에 책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무책임한 선장을 욕하는 사람들도 있고, 정부의 위기관리능력이나 국민의 안전불감증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는 일은 잠시 미뤄두고 싶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세상을 더 시끄럽고 혼란스럽게 하는 게 아니라,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영혼과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것이 아닐까.
박찬현(고려대 경영 4년)
희생자 부모들이 극심한 자책에 빠져 있다고 한다. 자식을 사지로 몰았다는 생각 때문이다. 안산으로 이사를 간 탓에 일이 벌어졌다고 자책하는 부모도 있다. 교사들도 걱정이다. 제자들을 두고 살아돌아 왔다는 죄책감에 잠을 못잔다고 한다.
부모님 못지 않게 선생님들도 걱정스럽다. 텅빈 학교에서 수업을 하실 수 있을까? 동료 교사들도 많이 숨졌고 한 교실이 거의 통째로 비극을 맞기도 했다. 교감선생님의 또 다른 희생은 그 징후다. 막아야 한다. 주변 동료들이 잘 관리해야 한다. 혼자 있게 놔둬서는 안된다. 또 다른 비극은 남아있는 학생과 교사에게 더욱 더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줄 것이다. 부디 힘을 내세요.
오승홍(남성고 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