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커버스토리
미국은 무역적자 줄이려 환율조작 경고하지만…달러화가 기축통화인 한 불가피한 측면도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독일 대만 스위스 등은 지난 14일 초비상이었다. 이날 미국 재무부는 의회에 ‘주요 교역 대상국의 환율보고서’를 제출하게 돼 있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이 보고서에 환율을 조작하는 나라의 이름을 적어낼 예정이었다. 환율조작국으로 의심을 받아온 이들 6개국의 온 신경이 여기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어느 나라도 명단에 들어가지 않았다. 미국은 “계속 지켜보겠다”는 의미에...
-
커버스토리
환율은 우리 돈과 외국 돈의 교환비율…환율 오르면 수출 늘지만 물가 올라요
환율은 자국 화폐와 외국 화폐의 교환 비율이다. 환율은 수출과 수입의 국제무역, 물가, 해외 여행 경비 등에 두루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한국처럼 경제에서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나라는 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환율 오르면 원화 가치는 하락 한국 돈을 외국 돈으로 바꿔야 하는 상황은 많다. 해외여행을 가거나 유학할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화폐가 필요하다. 수입 대금도 달러나 해당 국가 화폐로 지급해야 한다. 수출 대금으로 받...
-
경제 기타
알루미늄보다 더 가볍고 훨씬 강한 강철…포스코 '기가스틸'로 꿈의 소재에 도전한다
■ 궁금합니다 - 포스코가 개발한 ‘기가스틸’은?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단단하면서도 잘 구부러지는 ‘혁신적 철강’ 포스코가 전기차 및 무인자동차 등 스마트카 시대에 발맞춰 자동차의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가스틸’을 개발해 미래소재로서의 철강 영향력을 더욱 강화한다. 기가스틸은 기존 철강재가 높은 강도를 추구할 때 성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강도를 높이...
-
글쓰기 실력 늘리세요!…6월3일 생글논술대회 접수중
한국경제신문사가 주관하는 23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오는 6월3일(토) 열린다. 올해로 11년째인 생글논술대회는 국내 최대 논술대회다. 누적 응시자는 10만명에 달한다. 생글논술대회는 대입 논술전형에 도전하는 학생들을 위한 실전 체험 기회다. 특히 고교 3학년은 사실상 대입 논술시험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전국 규모 대회다. 1~2학년은 논술에 대한 기초 실력을 점검할 수 있다. 이번 대회엔 고교 1~3학년은 물론 재수생까지 모두 참...
-
커버스토리
대한민국, 원조 받던 나라서 원조 주는 나라로
광복 직후의 대한민국은 세계적으로 가난한 나라였다. 이런 대한민국이 불과 반세기 만에 경제 강국으로 우뚝 올라선 데에는 국제사회의 원조가 큰 힘이 됐다.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해외에서 총 600억달러(약 72조원)의 원조를 받았다. 국제원조는 경제발전에 ‘마중물’(펌프로 물을 퍼올리기 위해 먼저 붓는 물)이었다.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던 나라에서 다른 나라를 지원하는 나라가 됐다. 세계에서 유일하다. 국격이 높아...
-
경제 기타
명문대 가는 길…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에 초대합니다…23회 캠프 5월 27일 고려대서 열려…경제강의·입시전략·멘토와의 대화 등
미래 경제·경영학도를 꿈꾸는 고교생들에게 ‘한경 테샛 고교 경제리더스 캠프’가 지적 호기심을 채워주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학교 수업을 통해 경제와 경영을 마음껏 접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어서 학생들은 테샛경제 캠프를 즐겨 찾는다. 지난 1일 서울 안암동 고려대 현대자동차경영관에서 열린 제22회 캠프에는 전국 곳곳에서 참가 고교생이 몰려 정원이 조기에 마감됐다. 학생들은 이구동성으로 “대학 강의실에...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글을 아프게 하는 '가지다'병
우리말에서 ‘가지다’ 가 쓰이는 용례는 너무나 다양하다. ‘가지다’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열 가지 이상 의미용법이 나온다. 그만큼 쓰임새가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뒤집어 말하면 뜻하는 바를 드러내는 적확한 말이 아니라는 뜻도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7일 미국 플로리다주 마라라고휴양지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우리 언론들은 이를 ‘세기의 담판&...
-
진학 길잡이 기타
(5) 한국외대 가는 길
세계 각국 언어학과가 있는 한국외국어대는 확실히 특성화된 대학이다. 영어, 중국어부터 라틴어, 히브리어까지 배울 수 있는 유일한 대학이다. 여타 국내 대학이 글로벌화에 힘쓰고 있지만 국제화의 ‘다양성’에서는 한국외대를 따라올 수 없다고 자부한다. 45개의 전문화된 외국어 교육과정이 자신감의 바탕이다. 특유의 어문학과 지역학 인프라를 토대로 한 ‘글로벌 융복합 인재’ 양성을 강조한 나민구 한국외대 입학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