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8)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까?
이제 생글생글도 휴대폰으로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로 푸짐한 경품도 타세요. 매주 참여할수록 당첨 가능성은 쑥~ 올라갑니다! [문제]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보세요. 해당되는 단어만 순서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까? 이 물음에 대해 사람들은 다양한 대답을 내놓는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그 대답들은 모두 '( ① )'으로 모아진다. ( ① )은 우리가 삶에서 추구하는 것 가운데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8) 나무못 말판놀이
나무못 말판 하나와 색깔이 있는 못 몇 개만 있으면 다음의 놀이를 하면서 혼자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물론 집에 있는 바둑알을 이용하여 바둑판 위에서도 할 수 있다. 첫 번째 놀이는 한 줄로 난 일곱 개의 구멍,그리고 푸른 색의 못 세 개와 붉은 색의 못 세 개를 사용하여 아래의 그림처럼 가운데 빈 구멍 하나를 두고 이 못들을 꽂는다. 첫째,못의 옆 구멍이 비어 있을 때 옆으로 옮긴다. 둘째,못 하나 너머에 빈 구멍이 있으면 그곳...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월 12일자
1. 국내 관광 및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탓에 해외유학과 해외여행이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적자를 낼 수 있는 국제수지 항목은? ①상품수지 ②소득수지 ③소비스수지 ④경상수지 2. 올 겨울은 기온이 예년보다 높다. 이런 '따뜻한 겨울'로 인해 매출 신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곳은? ①골프장 ②경마장 ③테마마크 ④스키장 3. 다음 중 소액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채권,주식 등에 투자해 은행 이자율보다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미국형...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7) 모름지기 군주는…
이제 생글생글도 휴대폰으로 본다! 휴대폰으로 생글생글을 읽고 모바일 글쓰기로 푸짐한 경품도 타세요. 매주 참여할수록 당첨 가능성은 쑥~ 올라갑니다! [문제] 괄호 안에 알맞은 단어를 넣어보세요. 해당되는 단어만 순서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모름지기 군주는 (①___)과 (②___)을 동시에 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 두 가지를 함께 누리기는 어려우므로,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한다면 (②___)을 받기보다 (①___)을 받는 편이 안전...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7) 삼각수가 뭐야?
삼각형 모양으로 원을 배열했을 때 그 삼각형을 이루는 원들의 개수를 삼각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원을 배열할 때 첫 번째 삼각수는 1이고,두 번째 삼각수는 1+2=3이며,세 번째 삼각수는 1+2+3=6이다. 즉,삼각수란 1+2+3+…+n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라고 할 수 있다. 삼각수에 대한 수업 후 수학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재미있는 퀴즈를 제안했다.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학생 임의대로...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2월 5일자
1. 반도체업계의 캐시카우(주 수익원)였던 낸드플래시 메모리 가격이 올 들어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그 이유가 될 수 없는 것은? ① 1,2월이 전형적인 비수기인 탓. ② 지난해 설비증설로 출하량 증가. ③ 경쟁사들을 견제하기 위한 삼성전자의 공세적 가격인하. ④ 갈수록 줄어드는 제품 생산량. 2. 이슬람 채권인 '수쿠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투자자들에게 이자를 준다. ② 기업이 벌인 사업에서 나오는 수익을 배당금 형식...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16) 톱니바퀴 운동의 법칙
고려대학교 수리논술 문제 중에 톱니바퀴 회전비에 대한 문제가 출제된 바 있습니다. 그런 만큼 진지한 자세로 이 문제를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많은 기계들은 여러 개의 톱니바퀴를 이용해 한 회전축의 운동을 다른 회전축으로 전달한다. 아래의 그림들은 몇 가지 보기다. 각각의 톱니바퀴에 적혀 있는 숫자는 톱니 개수다. 각 경우에 A가 한 바퀴 회전하는 동안 B는 어떤 방향으로 몇 바퀴를 회전하는지 알아보고,톱니바퀴 움직임을 바탕으로 이들의 ...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6) 여러분에게 '돈'은 어떤 존재입니까?
[문제] 1만원권,1000원권 신권 지폐가 나오던 지난 22일 한국은행 화폐교환창구 앞은 신권 지폐를 확보하기 위한 시민들로 장사진을 이뤘습니다. 이들 중에는 화폐 수집상이나 이들에게 고용된 아르바이트생들도 꽤 있었고,한 노숙자는 사흘 동안 줄을 대신 서주는 대가로 30만원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보통 사람들에게 단순한 1만원에 불과한 지폐이지만 어떤 사람들에겐 큰 이익을 남길 수 있는 수집 대상도 되는데,여러분들에게 '돈'은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