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인류의 혁신은 끝나지 않았다

    “오늘날의 젊은 세대는 부모 세대의 생활수준을 넘어서지 못하는 첫 번째 세대가 될 것이다.” 《미국의 성장은 끝났는가》의 저자 로버트 고든이 혁신 속도가 늦춰진 미국을 연구한 끝에 내린 결론이다. 경제학자 타일러 코웬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시한다. 2011년 발간된 그의 책 《거대한 침체》에서 미국은 지난 300년간 낮게 달린 과일을 따먹으며 풍족하게 살았지만 최근 40년 동안 낮게 달린 과일은 사라지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나무가 생각보다 헐벗은 상태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고 이야기했다. 즉, 두 경제학자가 비유를 통해 주장한 핵심은 혁신이 고갈됐다는 것이다.재조합의 혁신하지만 혁신에 관한 상반된 주장도 존재한다. 2010년 노벨물리학상은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을 발견한 두 명의 러시아 연구자에게 수여됐다. 연필로 사용하는 흑연은 대표적인 그래핀 덩어리로 알려졌지만, 수십 년간 그 누구도 그래핀을 분리해내지 못했다. 하지만 러시아 연구자들은 획기적인 방법으로 0.35㎚에 불과한 그래핀을 분리해냈는데, 그들이 사용한 도구는 바로 ‘스카치테이프’였다. 스카치테이프를 흑연에 떼었다 붙이기를 반복하자 그래핀이 분리된 것이다. 이처럼 일상적인 물건도 전혀 다른 용도로 사용되자, 즉 재조합되자 혁신이 탄생했다.복잡계 경제학으로 유명한 브라이언 아서는 《기술의 본성》을 통해 발명은 기존에 있는 것들 속에서 찾아내는 과정이라고 주장하며 우연한 기회로 탄생한 혁신의 본질을 설명했다. 경제학자 폴 로머 역시 경제성장은 자원을 더 가치 있는 방식으로 재배치할 때마다 이뤄진다고 주장하며 이런 견해를 뒷받침했다. 즉

  • 경제 기타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체스 게임은 6세기께 지금의 인도에서 시작되었다. 체스 게임의 창안자는 황제가 머물고 있는 수도 파탈리푸트라까지 직접 찾아와 체스를 선물했다. 깊은 감명을 받은 황제는 포상을 하길 원했고, 발명가는 황송해하며 그저 약간의 쌀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만, 선물의 의미를 기리기 위해 체스판을 활용해 첫 번째 사각형에는 쌀 한 톨을, 두 번째 사각형에는 쌀 두 톨을, 세 번째 사각형에는 쌀 네 톨을 놓는 방식으로 쌀을 받고 싶다는 말을 조심스럽게 덧붙였다. 즉, 다음 칸으로 갈수록 앞칸의 쌀보다 두 배의 쌀을 더 받는 보상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 체스 판은 총 64칸으로 이뤄진 정사각형이다. 서른세 번째 칸에 이르자 약 40억 알의 쌀이 지급되었다. 파산 직전에야 발명가의 계략을 눈치 챈 황제는 발명가의 목을 베어버렸다.기하급수적 성장 이해 못하는 인간의 뇌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의 책 《21세기 호모 사피엔스》에 실린 발명가와 황제 이야기는 인간의 뇌가 기하급수적 증가를 이해하는 데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발명가의 요청을 승낙한 황제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뇌는 지속되는 기하급수적 증가의 결과를 과소평가한다. 만약 마지막 칸에 이를 때까지 쌀알을 받았다면 발명가는 총 1800경의 쌀을 받았을 것이다. 이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쌀 보다 많은 양이다.발명가와 황제 이야기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는 표어 아래 공상과학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사례들이 현실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이유를 알려준다. 즉, 오늘날 비로소 체스 판의 서른세 번째 칸에 도달한 것이다.새로운 천년이 시작된 2000년 당시에는 겨우 상상으로만 생각해볼 수 있었던 일들이 불과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