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교양 기타

    열세 번째 종이 울리면 마법이 시작된다

    요즘 웹소설의 인기가 높은데 그 가운데서 판타지, 로맨스, 무협 분야가 큰 사랑을 받는 중이다. 웹소설을 드라마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보니 판타지 기법을 가미한 드라마들도 심심찮게 방영된다. 판타지의 장점은 시간과 공간에 얽매이지 않고 상상력을 무한대로 펼칠 수 있다는 점이다.《한밤중 톰의 정원에서》 주인공 톰은 홍역에 걸린 동생을 피해 여름방학을 이모집에서 지내게 된다. 오래된 집을 개조한 다세대주택은 정원이 없는 데다 주변이 온통 주택이라 답답하기 이를 데 없다. 엄마가 해주지 않던 기름진 음식을 잔뜩 먹게 된 것 정도만 만족스러운데 그로인해 불면증이 생겨 곤혹스럽다. 혹시 홍역에 감염되었을지도 몰라 집안에서만 지내야 하는 톰은 운동도 제대로 못해 갑갑하기만 하다.시간과 맞지 않게 제멋대로 종을 치는 1층 로비의 괘종시계 소리도 짜증난다. 한밤중 시계 종소리를 하나 둘 세던 톰은 13번 울리는 걸 듣고 놀라서 일어난다. 살금살금 1층으로 내려와 시계를 살펴보지만 깜깜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집주인 바솔로뮤 부인이 아끼는 물건이니 건드리지 말라던 이모의 말을 떠올리며 뒷문을 연 톰의 눈앞에 놀라운 광경이 펼쳐진다. 쓰레기통밖에 없다던 뒤뜰이 아름다운 정원으로 변신한 것이다. 아름다운 정원에서 만난 해티매일 밤 이모부와 이모가 잠들면 몰래 집을 빠져나와 정원을 거닐다 여러 사람과 마주치지만 그들은 톰을 볼 수 없다. 해티라는 여자아이와 정원사 아벨 아저씨만이 톰을 보고 말을 건넨다. 부모님을 여의고 큰어머니와 사촌들의 구박 아래 사는 해티는 좀 까칠한 편이다. 톰과 해티는 티격태격하면서도 정원의 비밀 장소들을 찾아다니고

  • 교양 기타

    오늘날과 똑같은 200년 전의 달콤 살벌한 사랑과 삶

    매년 쏟아져 나오는 책 가운데 극히 일부만 살아남고, 전 인류가 대를 물려가며 읽는 고전에 등극하는 건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BBC 방송 ‘지난 1000년간 최고의 작가’ 설문조사에서 셰익스피어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제인 오스틴의 장편소설 《오만과 편견》도 기적의 대열에 올랐다. 1813년 발간된 《오만과 편견》은 지금까지 10번 이상 영화로 제작됐고, 이 작품을 재해석한 소설과 영화 《브리짓 존스의 일기》도 큰 인기를 끌었다.20세기 후반이 되면서 더 사랑받게 된 《오만과 편견》의 인기 비결은 뭘까. 아마도 결혼을 목적으로 만난 젊은 남녀의 탐색전이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만남과 이별이 자연스러운 요즘과 달리 200년 전 영국은 단 한 번의 잘못된 만남이 결혼을 망칠 수 있는 엄혹한 사회였다. 그런 만큼 청춘남녀가 결혼을 위해 치열한 눈치작전을 펼치고 철저히 계산했다. ‘헬리콥터맘’에게 결코 뒤지지 않는 그 시대 어머니들의 ‘자녀 결혼시키기 작전’은 가히 ‘사랑과 전쟁’이라 부를 만했다.제인 오스틴은 1775년 8남매 가운데 일곱째로 태어나 평생 독신으로 살다가 42세에 세상을 떠났다. 두 번의 만남이 끝내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했는데, 소설 속 어떤 인물에 제인 오스틴의 생각이 투영됐을지 생각하며 읽어보라. 베넷가의 다섯 딸들소설은 작가가 살았던 시대를 잘 보여주는 또 하나의 역사책이라 할 수 있다. 제인 오스틴이 결혼 적령기였던 19세기 초 영국 사회의 결혼관과 사회상을 소설은 세밀하게 그려낸다. 여성이 변변한 직업을 갖기 힘든 시대였고 남성들도 뾰족한 수가 없었다. 소설 속에 제대로 그려진 직업이라고는 군인

  • 교양 기타

    AI 시대 창의적 인간의 힘은 독서에서 출발해요

    봄이 왔는데도 마스크를 벗지 못해 답답한 나날이 이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분주히 달리고 있을 때 코로나라는 복병이 들이닥쳐 모든 게 정지된 듯하다. 분명히 기억해야 할 것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며 지금 이 순간도 경쟁자는 달리고 있다는 사실이다.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려면 물샐틈없는 준비를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조적 생각, 창의력, 상상력이다. 일맥상통하는 이 능력들은 과연 어떻게 해야 생기는 것일까. ‘이 시대 최고의 지성, 말의 천재’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니는 이어령 선생은 《이어령, 80년 생각》이라는 책에서 “나는 80년 동안 책과 함께 살아왔습니다. 내 인생의 첫 번째 책은 돌상에서 잡은 책이고, 책을 읽어주신 어머니는 나의 두 번째 책입니다. 어머니의 말, 어머니가 읽어주셨던 그 많은 모음과 자음에서 나는 상상력을 길렀습니다”라고 말했다.《이어령, 80년 생각》은 인터뷰 전문잡지 ‘topclass’의 김민희 편집장이 이어령 선생을 4년간 100회에 걸쳐 만난 뒤 만든 책이다. 김민희 작가는 “책을 좋아한 어머니의 영향으로 책이 이끄는 방대한 정보와 상상력의 세계로 이어령 선생이 기분 좋게 풍덩 빠져들었고, 독서가 결국 창조력의 중대한 원천이 됐다”고 분석했다. 창의적인 사람을 원하는 세상청소년들이 초등학교 때는 독서를 많이 하지만 중학교 때부터 과도한 학과 공부에 시달리느라 책을 밀쳐두게 된다. 눈앞에 친절하게 펼쳐지는 영상과 달리 책은 글자를 타고 날아가 마음껏 상상력을 발동하게 해준다.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웬만한 작업은 매뉴얼과 데이터가 입력된 인공지능(AI)이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