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스펙 가려도 SKY 안 줄었다…퇴사자만 늘린 '블라인드 채용'

    공공기관이 학력, 성별, 연령 등을 보지 않는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했지만 별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신입사원 중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이른바 ‘SKY’ 출신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여성 채용 비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 오히려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퇴사하는 비율이 높아져 인사담당자의 일만 늘었다는 지적이 나왔다.이 같은 진단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지난 21일 내놓은 ‘공공기관 채용정책에 대한 연구: 블라인드 채용제도의 도입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담겨 있다.조세연은 정부가 2017년 발표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에 따라 강제적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 공공기관 중 정보 제공에 동의한 24곳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24개 기관의 제도 도입 전후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 기관과 같은 해 블라인드 채용 도입 예외를 인정받은 공공기관을 수평 비교했다. 그 결과 블라인드 채용 방식 도입으로 신입사원 개인의 특성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24개 기관의 SKY 출신 비율은 2017년 8.5% 수준으로 파악됐다. 블라인드 채용 도입 직전인 2016년 10.0%보다는 낮아졌지만 2013년 6.0%, 2015년 7.8%보다는 높았다.면접조사에 응한 A기관 채용담당자는 “블라인드 채용으로 지원자의 능력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다 보니 필기시험 문제 난도를 더욱 높이게 됐다”며 “그 결과 일부 기관에서는 SKY 출신 합격자 비율이 높아지고 고졸 출신이 배제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극명한 변화가 나타난 항목도 있다. 1년 이내 퇴사율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블라인드 채용 제도가 1년 이내 퇴사자 비중을 4%포인

  • 숫자로 읽는 세상

    세계 백만장자 1년새 520만명 늘어…"코로나로 자산가치 급등"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순자산 100만달러(약 11억3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백만장자가 전 세계에서 520만 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여파에 각국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펴면서 금융자산, 부동산 등의 가치가 크게 높아진 영향이다. 한국의 백만장자 수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5만여 명으로 집계됐다.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22일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가 발간한 ‘글로벌 자산 보고서’를 인용해 작년 말 기준 세계 백만장자 수가 1년 전에 비해 520만 명 증가해 5610만 명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는 세계 성인 인구의 약 1.1%를 차지한다. 글로벌 백만장자 비율이 성인 인구의 1%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작년 말 기준 순자산 5000만달러(약 568억원) 이상인 ‘슈퍼리치’는 21만5030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말 17만3620명에 비해 23.9%(4만1410명) 늘었다. 세계 상위 1%에 들기 위한 순자산 규모는 2019년 말 98만8103달러에서 지난해 말 105만5337달러로 다소 높아졌다.미국에선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2195만1000명이 백만장자로 추정됐다. 전 세계 백만장자의 39.1%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527만9000명), 일본(366만2000명), 독일(295만3000명), 영국(249만1000명) 순으로 백만장자가 많았다. 한국은 작년 말 기준으로 약 105만1000명의 백만장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1년 전에 비해 14만3000명가량 늘었다. 전 세계 백만장자의 약 2%를 차지했다. 국가별 순위로는 11위에 해당한다. 성인 인구 가운데 백만장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스위스로 14.9%에 달했다. 호주(9.4%)와 미국(8.8%) 등이 뒤를 이었다.세계적으로 지난해 백만장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각국 중앙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유동성을

  • 숫자로 읽는 세상

    LCC는 Low Cost Carrier의 약자…그럼 FSC는 무엇일까요?

    LCC는 ‘low cost carrier’의 약자입니다. 저비용항공사로 번역됩니다. 그럼 FSC는 무엇일까요? full service carrier의 약자입니다. 적당한 한국말이 없는데 대체로 일반항공사라고 합니다. LCC와 FSC 차이점이 떠오르나요? FSC는 기내 식사와 같은 여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항공료가 비쌉니다. 반면에 LCC는 기내식 같은 ‘기름기’를 빼지요. 저비용항공이라고 불리는 이유죠. 참고로 우리나라엔 2개의 FSC가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죠. LCC 사업자로는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플라이강원,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가 있습니다.이 기사는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준 타격이 정말 크다는 현실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서울~제주 항공료를 9900원으로 내려서라도 손님을 끌어와야 하는 LCC의 현주소가 잘 표현돼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LCC 제도가 도입된 지 10년째인데, 이렇게 어려웠던 적은 없었다는군요. LCC들의 경쟁은 티켓 가격 하락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최대 LCC인 제주항공이 9900원짜리 티켓을 내놓자, 에어부산 등 다른 LCC도 저가로 팔지 않을 수 없었답니다. 적자가 심한 상태에서 비행기를 놀리는 것보다 싸게라도 운항해서 현금을 확보하는 게 급선무입니다.LCC들은 대부분 항공기를 빌려서 쓰기 때문에 꼬박꼬박 빌리는 비용을 내고 있어요. 은행 차입금도 많아서 이자 비용이 늘어갑니다. 손님이 없다고 비행기를 공항에 세워두면 적지않은 ‘주차료’도 꼬박꼬박 내야 합니다. 이런 와중에 항공사들은 승무원을 어쩔 수 없이 많이 해고했습니다.시장이 축소되면서 몇몇 LCC의 주인이 바뀔 모양입니다. 이미 FSC인 아시아나항공이 대한

  • 숫자로 읽는 세상

    제주행 9900원…돈 줄 마른 LCC, 출혈경쟁 격화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간 국내선 ‘출혈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현금 확보가 급한 LCC들은 1만원(편도 기준)에도 못 미치는 초특가 항공권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달 기준 김포~제주 노선 예약률은 평균 95%에 달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7~8월은 시간 여유가 있어 현재 기준 예약률은 낮은 수준”이라면서도 “이달 말부터는 예약률이 크게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제선 수요는 당분간 회복되기 어렵다. 올여름 휴가철 제주 노선을 중심으로 한 ‘국내선 특수’ 잡기 경쟁이 뜨거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지난달 제주공항 이용객은 122만4412명으로, 전년 동기(82만4295명) 대비 48.5% 늘었다.항공사들도 제주 노선을 잇달아 증편하고 있다. 통상 LCC들의 국내선 손익분기점은 평균 탑승률 70%가량이다. 노선 증편에도 제주행 평균 탑승률은 90%가 넘는다. 문제는 LCC업계의 출혈경쟁으로 수익을 내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국내 최대 LCC인 제주항공은 회원을 대상으로 이달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운항하는 국내선 항공권을 편도 기준 9900원에 판매했다. 에어부산도 최근 모든 국내선 노선을 1만1100원부터 판매하는 항공권 특가 행사에 나섰다. LCC업계 관계자는 “현금 확보가 급해 어쩔 수 없이 초특가 항공권을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인천국제공항을 거점공항으로 둔 신생 LCC인 에어프레미아의 김포~제주 노선 취항이 출혈경쟁을 더욱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에어프레미아는 김포~제주 노선 취항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논의 중이다. 국토부가 허가하면 다음달 첫 취항에 나설 예정이다.

  • 숫자로 읽는 세상

    '통합형 수능' 첫 모의평가, 이과생이 수학 1등급 싹쓸이

    문·이과 통합형으로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첫 모의평가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중 95% 이상이 이과생인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13일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6월 모의평가를 치른 서울 시내 33개 고교 3학년 재학생과 졸업생 9283명의 가채점 결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수학 1등급 예상 학생의 86.78%는 ‘미적분’을 택했다. 8.73%는 ‘기하’를 골랐다. 미적분과 기하는 이과 학생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이다. 문과생이 주로 선택하는 ‘확률과통계’는 4.49%에 그쳤다.이번 모의평가는 2022학년도 수능과 마찬가지로 문·이과 구분 없이 국어,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치러졌다. 수학은 ‘수학Ⅰ’ ‘수학Ⅱ’를 공통으로 보고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1개를 선택과목으로 고르는 방식이다. 2등급 비율도 문과생은 15.8%, 이과생은 84.2%로, 이과생이 수학 최상위 등급을 대부분 가져간 것으로 분석됐다. 수학 과목에서 문과생은 이과생보다 원점수도 낮았다. 원점수를 살펴보면 선택과목으로 확률과통계를 고른 문과생은 원점수 기준 100점 만점에 평균 42.54점을 받았다. 미적분을 선택한 이과생은 평균이 65.59점이었다. 약 23점 차이가 난다. 평균 59.73점을 받은 기하를 선택한 이과생과도 약 17점 차이가 났다.문과생은 국어와 영어에서도 이과생보다 열세를 보였다. 국어에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가운데 70.9%가 수학에서 미적분을, 8.4%가 기하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1등급 수험생의 79.3%가 이과생인 것이다. 2등급 비율을 봐도 이과생이 68.7%를 차지했고 문과생은 31.3%에 머물렀다.절대평가로 치러진 영어의 경

  • 숫자로 읽는 세상

    인천국제공항 '코로나 악몽' 벗어나나

    인천국제공항이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쇼크에서 벗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천공항 이용여객이 최근 하루 1만 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입국장 면세점 영업도 재개돼 긴 터널의 막바지에 도달한 게 아니냐”는 조심스러운 분석이 나오고 있다.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인천공항의 국제선 이용객은 19만974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만7924명과 비교해 44.8% 늘었다. 하루 이용객도 3000명대에서 1만 명 가까이로 증가했다. 지난달 인천공항 이용여객은 10일 3890명, 20일 7025명, 28일 9812명이었다. 인천공항은 코로나19 이전 하루 방문여객이 20만 명에 달했으나 지난해에는 매일 3000~4000명에 불과해 ‘고속버스터미널보다 이용객이 적다’는 굴욕의 시간을 보냈다.지난달 부쩍 증가한 여객 수는 현지에서 자가격리를 하더라도 장기간 단절됐던 해외 비즈니스와 학업 등을 재개하기 위한 움직임과 일부 노선의 운항편수 확대 영향이라는 게 공항과 여행업계의 분석이다. 공사 관계자는 “여객 증가가 해외여행의 신호탄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지만, 백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출입국 여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인천공항공사는 제1터미널 입국장에 경복궁 면세점을 지난 4일 재개장했다. 터미널 동측 및 서측에 190㎡ 규모의 매장 1개씩 총 380㎡ 규모로 운영한다. 주류, 담배, 향수 및 화장품 등 전 품목을 취급한다.공사는 해외여객이 점차 늘고 있고, 무착륙 여객도 면세품 구입이 가능해 최악의 실적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1~5월의 항공 물동량은 134만8578t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10만1372t과 비교해 22.4% 늘어났다.

  • 숫자로 읽는 세상

    디젤車, 20년 만에 줄었다…전기차에 치이고 '미세먼지 주범' 오명

    디젤 차량이 사라지고 있다. 디젤차 특유의 진동과 소음을 꺼리는 소비자가 늘고 미세먼지와 질소화합물을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하는 디젤 엔진을 피하자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 등 ‘대안’이 늘어난 것도 원인 중 하나다.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등록된 디젤 차량은 996만7753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999만2124대)과 비교하면 2만4371대 줄었다. 등록 디젤 차량 수가 줄어든 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1년 이후 처음이다.국내 등록된 디젤 차량은 2001년 말 기준 402만9650대에서 20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디젤을 연료로 많이 쓰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가 급증하고, 디젤 엔진을 탑재한 세단이 증가한 결과다. 디젤차가 1년 만에 50만 대 넘게 늘어난 적도 있었다. 이 같은 분위기는 2019년부터 조금씩 바뀌었다. 연간 증가폭이 5만 대 아래로 떨어졌고, 올 들어서는 감소세로 돌아섰다.SUV와 미니밴에도 탈(脫)디젤 바람이 불고 있다. 2018년 국내 판매된 레저용차량(SUV 및 미니밴)의 70.4%가 디젤 모델이었지만, 올 1~4월엔 절반 수준인 36.8%로 줄었다. 작년 같은 기간(44.6%)과 비교해도 7.8%포인트 감소했다.업계에서는 과거에 비해 디젤차의 매력이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유가가 2000년대 말~2010년대 초중반에 비해 안정적이라 연료비 절감 효과가 크지 않다. 지난 2~3년간 국내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L당 1300~1500원 수준이다. 지난해 평균 가격은 1381.4원이다. 2011년(1929.3원)과 비교하면 500원 넘게 떨어졌다.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정부가 2005년 경유 소비자 가격을 휘발유 대비 70%에서 85%로 올리기로 하고, 개별소비세를 인

  • 숫자로 읽는 세상

    디젤은 개발자 이름…경제성 하락이 부진의 원인이죠.

    디젤 차를 사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는 기사입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네요. 먼저 첫 문장에 디젤 차량이라는 말이 나오는군요. 여러분, 디젤이 무엇인지 아세요? 디젤차 디젤차 하지만 디젤이 무엇인지 아는 사람이 의외로 적습니다. 디젤은 사람 이름입니다. 독일 기계기술자 이름이죠. 이 기술자는 1858년에 태어나서 1913년 타계했습니다. 본명이 루돌프 디젤(Rudolf Diesel)이었죠. 기계를 잘 만졌던 이 사람은 당시 개발 경쟁이 붙었던 자동차 엔진을 만들어 보려 노력했습니다. 1897년에 그가 만든 엔진을 디젤 기관이라고 이름 붙었죠. 참고로 디젤차처럼 사람 이름이 차 이름에 많이 붙어있다는 것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디젤 차는 한때 친환경차로 각광받은 적이 있습니다. 디젤 엔진에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저감장치를 장착했다는 마케팅 전략이 통한 결과였죠. 그래서 ‘클린 디젤’이라는 칭호를 얻기도 했습니다. 경유를 쓰는 디젤차가 휘발유를 쓰는 차량보다 연료 효율이 높고,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매우 적다는 이유였죠.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한때 디젤차 생산을 늘리라고 정부가 장려하기도 했죠. 기사 중간에 이런 이유로 디젤 차 판매가 급격하게 늘었다는 수치들이 나와 있습니다. 경유를 쓰는 디젤차를 늘리기 위해 정부가 혼잡통행료를 면제해주고, 공영주차장 이용료를 절반으로 깎아주고, 심지어 환경개선부담금도 덜어줬어요. 그러니 판매가 늘었던 거죠.그러나 경유차도 휘발유차 못지않게 오염물질 배출이 많고,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 대비 90%까지 올라오면서 기름값 절감효과가 감소해 인기도 시들해졌습니다. 국제 석유 가격이 급락하면서 휘발유 가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