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능 대박 나세요"···고교 후배 재학생들의 뜨거운 수능 응원

    “우리 선배님들, 수능 대박 나세요!!!” 대학수학능력시험(16일)을 앞두고 요즘 전국 고교 교정은 후배들의 응원열기로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옛날엔 수능을 앞두고 조용히 있어 주는 것이 미덕이었지만 요즘 교정은 다르다. 다양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응원 퍼포먼스가 웬만한 TV 오락프로그램 뺨칠 정도로 재미있고 시끌벅적하게 펼쳐진다. 부산 사상구 주례여고(사진) 1학년 학생들은 지난 7일 학교 운동장에서 ‘수능 대박 댄스’를 췄다. 플래시몹을 응용한 선배 기살리기 퍼포먼스였다. 후배들의 응원은 딱딱해진 선배들의 어깨를 가볍게 해주고, 스트레스를 덜어준다. 생글생글도 기원합니다. “수험생들 파이팅!!!”

  • 커버스토리

    국가신용등급, 한국이 일본 중국보다 높다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s)은 한 나라가 빚을 갚을 능력과 의사가 어느 정도인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이다. 경제가 평가의 핵심이지만 정치·사회·노동·대외 관계 등 각 분야의 다양한 요소들이 골고루 포함된다. 한마디로 국가신용등급은 한 국가 건전성의 ‘종합 성적’인 셈이다. 국가신용등급이 높을수록 외국에서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리고, 외국 기업들의 투자도 유리한 조건으로 유치할 수 있다. 국가신용등급은 해당 국가의 공공기관이나 기업 신용에도 영향을 미친다.현재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은 국내총생산(GDP) 세계 3위인 일본이나 주요 2개국(G2)으로 불리는 중국보다 높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등으로 ‘한반도 리스크’가 커지고,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치로 한·중 관계가 경색됐음에도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지난달 ‘AA-’인 우리나라의 기존 국가신용등급을 그대로 유지하고,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AA-는 위에서 네 번째 등급이며 중국(A+), 일본(A)보다 각각 1단계, 2단계 높다. 피치의 신용등급 유지는 우리나라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와 재정건전성, 풍부한 외환보유액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때문으로 풀이된다.국제 3대 신용평가회사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다. 흔히 ‘빅3’로 불리는 이들 평가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95%를 넘는다. 전 세계 200개 안팎 나라들의 국가신용등급이 사실상 이들 세 곳에 의해 좌지우지되면서 이들 평가기관의 공정성 여부도 수시로 논란이 되고 있다. 4, 5면에서 우리나라 신용등급 현황과 국제신용평가사의 역할 등을 상세히 알

  • 커버스토리

    S&P·무디스·피치 신용등급에 국채 금리 달라져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무디스, 피치는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다. 흔히 ‘빅3’로 불리는 이들 3개 회사의 국가신용평가 시장 점유율은 95%를 넘는다. 사실상 세계 국가들의 신용등급이 이들 3개 평가사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들의 신용평가가 합리적이고 공정한가의 논란도 수시로 불거지고 있다.1970년대 급부상한 3대 신용평가사신용평가는 미국에서 주도적으로 발전하면서 세계로 전파했다. S&P, 무디스, 피치 등 3개 신용평가사 모두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다. 신용평가에 대한 인식은 1930년대 대공황을 계기로 미국에서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미국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급성장했다. 오일쇼크(유가 급등으로 인한 경제 악화)로 빚을 갚지 못해 파산하는 기업이 급증하면서 기업의 신용도(채무 변제 능력)를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신용평가기관의 평가등급은 투자자에게 주요 정보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미국 정부가 1973년 신용평가 의무규정을 제정하고, 1975년 공인신용평가회사 지정제도를 도입할 당시 S&P, 무디스, 피치를 공인 신용평가사로 선정하면서 이들 3개 신용평가사의 입지가 급속히 강화됐다. 신용을 평가하는 회사를 정부가 공인함으로써 공신력이 다른 평가사보다 높아진 때문이다. 빅3 중 설립이 가장 빠른 곳은 무디스로 1900년 존 무디가 설립했다. S&P는 신용평가사 Poor’s와 Standard Statistics가 1941년 합병해 탄생했다. 피치는 영국과 미국의 합작사로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 공동 본사를 두고 있다.신용등급은 채권 이자율 등에 영향신용평가사는 경제성장률이나 잠재성장률, 공공부채, 외채, 외환보유액, 재정건전성, 정

  • 커버스토리

    "네이버, 정보검색 넘어 인터넷 독점" 비판 목소리

    네이버는 1999년 처음 문을 열 때만 해도 단촐한 검색엔진이 전부였다. 하지만 지금의 네이버는 ‘없는 게 없다’고 할 만큼 다양한 서비스를 갖췄다. 메일, 커뮤니티, 뉴스, 사전은 물론 TV·웹툰·영화를 보고, 식당이나 미용실을 예약하고, 카드 없이 간편결제로 쇼핑도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로봇도 개발하고 있다. 사용자 요구에 따라 발빠르게 변화해온 네이버 전략은 포털업계 점유율 70%대의 ‘아성’을 구축한 원동력이다.하지만 사업을 다각화하는 과정에서 잡음도 적지 않았다. 검색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며 광고비를 천정부지로 올리고, 돈이 되는 사업엔 모두 뛰어들어 자영업자와 벤처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다는 비판이 거셌다. 대기업 반열에 오른 네이버가 정보기술(IT) 생태계를 왜곡하지 못하도록 강력히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광고비 세 배 올려… 허리 휘는 자영업자네이버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광고수익이다. 사용자가 ‘OO시 부동산’ ‘OO동 맛집’ 등을 입력하면 제일 비싼 광고비를 지급한 업체가 최상단에 뜬다. 광고비를 안 내면 검색 결과에서 뒤로 밀려 주목을 받기 힘든 구조다. 거의 모든 한국인이 네이버로 정보를 검색하다 보니 동네 상점들조차 여기에 광고를 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영업의 성패가 갈린다. 이 회사 검색 광고 매출의 80%는 월 50만원 이하 광고비를 부담하는 중소 광고주에게서 나온다.문제는 네이버에 광고하는 비용이 빠르게 뛰고 있다는 점이다. ‘꽃배달’ 검색어의 경우 맨 위에 노출되는 ‘파워링크’ 광고단가는 2008년 780만원에서 최근 260

  • 커버스토리

    포털은 인터넷 시대에서 실질적 언론 역할하죠

    네이버 다음 구글 등 인터넷 포털은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 매체들이 생산한 뉴스들을 유통하는 일종의 ‘뉴스 인터넷 유통 서비스’다. 자체적으로 뉴스를 생산하지는 않아 ‘언론’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언론 역할을 하면서 뉴스 전달이나 여론 형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포털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문제는 포털의 공정성이다. 포털은 기존 뉴스의 편집 권한이 있어 청탁이나 포털의 이해 관계에 따라 뉴스의 재배치 등으로 여론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청탁을 받고 해당 단체에 불리한 기사를 사용자들이 제대로 볼 수 없도록 재편집한 사실이 드러나 포털의 공정성 논란이 다시 한번 불거졌다.언론매체가 생산한 뉴스 유통·편집포털(portal)은 인터넷에 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의미의 ‘문’이라는 뜻이다. 최초의 포털사이트는 야후(yahoo)지만, 현재 세계를 대표하는 포털은 구글이다. 한국에서는 네이버, 다음, SK커뮤니케이션즈가 대표적 포털이지만 네이버의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네이버는 포털 서비스 시장 점유율이 75% 정도며 여론 영향력에서도 신문 방송 등 웬만한 전통적 매체를 앞선다.포털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접근의 편리성이다. 인터넷이 일상화되고 누구나 스마트폰을 갖게 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뉴스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현대인은 뉴스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키워드 검색으로 꺼내보는 셈이다. 물론 같은 뉴스라도 종이 신문을 통해 읽는 것과 인터넷으로 읽는

  • 커버스토리

    '공룡 포털' 네이버가 어쨌길래 …

    ‘네모난 초록색 검색창’ 하면 떠오르는 네이버는 국내 독보적인 1위 포털사이트다. 회원이 4200만 명이 넘고, PC 검색시장 점유율은 70%대에 이른다. 스마트폰으로도 매일 평균 2700만 명이 접속한다. 세계 거의 모든 나라의 포털시장을 장악한 미국 구글조차 한국에선 네이버에 눌려 점유율이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네이버는 1999년 작은 벤처기업으로 출발해 연매출 4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검색 품질 향상에 주력하고 지식정보, 커뮤니티, 동영상, 쇼핑 등으로 발 빠르게 영역을 넓힌 결과다.짧은 시간에 덩치가 너무 커진 탓일까. 오랫동안 ‘벤처 신화’로 불리던 네이버엔 요즘 ‘공룡 포털’ ‘인터넷 권력’이라는 부정적인 수식어가 더 자주 붙는다. 온갖 콘텐츠를 독점하면서 검색어 광고로 돈벌이에 열을 올리고, 자영업자 및 벤처기업과의 상생은 외면하는 포식자가 됐다는 비판이 담긴 표현이다. 신문, TV보다 네이버로 뉴스를 접하는 국민이 더 많아졌지만 자의적이고 자극적인 편집으로 여론을 왜곡한다는 논란도 거세다. 작동원리가 베일에 가려진 네이버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는 조작 의혹까지 무성하다.정부가 최근 네이버를 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한 데 이어 국회는 입법을 통한 규제를 논의하고 있다. 네이버의 ‘인터넷 독점’을 바로잡지 않으면 정보기술(IT) 생태계에 폐해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조치가 국내 IT 기업에 대한 역차별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서버가 해외에 있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세금도 안 내고 규제도 안 받는 구글, 페이스북 등과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 커버스토리

    "교육·학습 방법 획기적으로 달라져야"… 글로벌 인재포럼 2017

    교육과 학습은 첨단 정보기술(IT) 시대에 가장 크게 변할 분야 중 하나다. 캠퍼스를 둔 대학은 30년 안에 없어지는 등 교육방식이 혁신될 것이란 분석이 많다. 10월31일부터 11월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7’에서 IT 및 교육 전문가들은 ‘정보기술 시대의 교육혁명’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유무선 온라인 시대에 개인들이 제작한 교육 콘텐츠가 자유롭게 공개되면 기존 교육산업은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경고다. 13세 소년이 개설한 인터넷 강의(오픈클래스룸)로 세계 300만 명이 ‘열공’한 것은 대표적인 사례다. 글로벌 인재포럼은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경제신문사가 주최하는 인재·교육 콘퍼런스다. 줄리아 길라드 전 호주 총리와 모 가댓 구글X 신규사업개발총괄책임자 등 세계 전문가들이 다녀갔다.

  • 커버스토리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아직도 실험중

    정부가 탈(脫)원전 중장기 계획을 확정했다. 신고리원전 5·6호기는 당초 계획대로 건설하되 신규 원자력발전소 6기 건설을 백지화하고, 2038년까지 설계수명이 끝나는 원전 14기 가동을 연장하지 않기로 한 것이 골자다. 원전의 위험성을 줄이고, 이에 따른 전력 부족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것인데 ‘탈원전’ 정책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본다.원전은 위험한 에너지라고?‘탈원전 정책’의 바탕에는 ‘원자력=위험한 에너지’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원자력에너지 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능이 노출되면 치명적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두려움이다. 이는 ‘근거 있는 두려움’이다. 1986년 구(舊)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사상 최악으로 기록된다. 방사능 누출로 원전 작업자 28명이 사고 몇 주 안에 사망하고, 수백 명이 상해를 입었다. 사고 지역 인근 주민 22만여 명은 다른 곳으로 영구 이주했다. 14m 높이의 쓰나미가 원전의 냉각용 비상발전기 작동을 마비시켜 발생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또한 원전 위험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하지만 원전의 위험성이 너무 부풀려졌다는 지적도 많다. 몇 차례 사고를 거치면서 경각심이 높아지고, 원전 관련 기술이 발달하면서 안전도 역시 크게 향상됐다는 것이다. 국내 원자력계 원로 이창건 원자력문화진흥원장은 “60년 넘게 원자력을 연구해온 학자의 양심을 걸고 말하건대 원전 건물은 그 어떤 현대 건물보다 안전하다”고 강조했다.세계적으로 원전이 폐쇄된다고?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원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