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카스테라'의 우리말 표기는 '카스텔라'

    ‘카스테라’는 일본식 표기의 잔재다. 외래어 표기법이 1986년 공표된 지 30여년이 지나면서 이제 대부분 영어의 Castella를 한글로 적을 때 카스텔라로 한다. 이를 ‘OO카스테라’라고 하는 것은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상표명 그대로 적은 것이다.‘대왕카스테라’의 불량식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한 종편 방송에서 무책임한 시사 고발 프로그램을 내보낸 뒤 가맹점 폐업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한다. 대왕카스테라 사건은 우리말 표기에서 ‘카스테라’와 ‘카스텔라’의 차이를 돌아보게 한다. 인터넷에는 온통 카스테라란 말이 넘쳐났다. 현행 외래어 표기법이 1986년 공표된 지 30여년이 지나면서 이제 대부분 영어의 Castella를 한글로 적을 때 카스텔라로 한다는 것을 안다. 이를 ‘OO카스테라’라고 하는 것은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상표명 그대로 적은 것이다.일본에선 제리, 우리말에선 젤리‘카스테라’는 일본식 표기의 잔재다. 그 말 자체는 스페인 카스티야 지방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6세기 대항해시대에 일본에 들어온 포르투갈인에 의해 전해졌다.(외래어란 느낌이 들지 않을 정도로 우리말에 뿌리를 내린 ‘빵’ 역시 마찬가지다. 포르투갈어 ‘pao(빠웅)’이 일본을 통해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말이다.) 일본에서는 이를 받아들이면서 ‘카스테라’라고 읽었다. 일본어에는 받침이 부족해 영어의 유음 [l]을 받침으로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우리는 얼마든지 적을 수 있다. 우리 외래어 표기법은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 ‘ㄹㄹ’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slide는 슬라이드, boiler는 보일러, jelly는 젤리라고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