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테샛 공부합시다

    코즈의 정리

    문제 다음 ( A )에 알맞은 용어를 고르시오.[( A )은(는) 다국적 기업이 국가 간 세법의 차이, 조세조약의 미비점을 이용해 소득을 고세율 국가에서 저세율 국가로 이전하는 세금 회피 전략을 의미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 A )을(를)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action plans)를 제시했으며, OECD와 G20 소속 국가가 중심이 돼 OECD의 권고에 따라 자국 세법과 조세조약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① Worldwide Tax System② 조세피난처(tax haven)③ 이전가격(transfer pricing)④ 외국세액납부공제(foreign tax credit)⑤ BEPS(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해설 BEPS란 ‘국가 간 소득 이전을 통한 세원 잠식’을 지칭한다. 기존 국제 조세제도의 허점이나 국가 간 세법 차이 등을 이용해 총 세금 부담을 줄이는 조세회피 행위다. 한때 구글이 대표적인 회사로 꼽히면서 BEPS에 대한 세금을 ‘구글세(Google’s tax)’라고 불렀다. 2012년 공식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돼 OECD가 3년간 분야별 대응 조치를 담은 규제안을 작성했으며 이 규제안은 2015년 11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BEPS 최종 보고서를 승인하는 절차를 밟았다. 한국 정부도 BEPS 대응지원센터를 설립했다. 정답 ⑤문제 다음 자료의 밑줄 친 정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이 정리에 따르면 민간 경제주체들이 아무런 비용을 치르지 않고 자원 배분에 관한 협상을 하고 있다면 시장 기능이 외부 효과로 인해 초래되는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① 부정적 외부 효과에 대해서만 작동한다.② 거래 비용이 매우 크더라도 시장은 효율적인 결과에 도달한다.③ 외부 효과를 일으키는 행위에 대한 법적 권리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관계없이 시

  • 테샛 공부합시다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세이의 법칙'은 기업활동을 중시해요

    기업이 위축되면3분기(7~9월) 설비투자 증가율이 전기에 비해 -4.7%를 기록했다. 건설투자증가율도 -6.4%를 나타냈다. 기업들이 이렇게 투자를 줄이면, 고용 부진이 나타나고 이는 곧 가계소득 감소로 이어져 민간소비까지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투자의 핵심 경제 주체는 ‘기업’이다. 기업이 공장을 건설하거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조(兆) 단위로 투자하면 고용을 창출하고 소득 증가와 소비 증진으로 이어진다. 이런 과정을 보면,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업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된다.기업의 중요성을 설파한 경제학자가 바로 장 바티스트 세이다. 그는 ‘세이의 법칙(Say’s Law)’을 통해 기업의 역할을 강조했다. 세이의 법칙이란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의미다. 이 문장 그대로 해석하면 공급만 하면 그 재화는 모두 수요되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세이의 법칙이 의도하는 바를 한번 생각해보자. 재화·서비스를 공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주체는 기업이다. 경제의 순환모형에서 기업이 공급하는 재화·서비스는 소비자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킨다. 또한, 생산요소(자본·토지·노동) 시장에서는 기업이 수요자 역할을 한다. 기업이 이자, 지대, 임금을 지급하면 이를 받은 가계는 소비 활동을 하고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한다. 즉, 기업의 투자(공장건설, 부동산 투자 등)와 생산 활동에서 파생되는 근로자의 소득은 가계의 필요한 소비를 창출한다. 세이는 소비보다 생산 즉, 공급이 경제 활동의 본질적인 시작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꿰뚫고 있었던 것이다.현실 경제를 살펴봐도 그의 주장은 뚜렷

  • 테샛 공부합시다

    소득분배

    문제 다음 기사에 근거하여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치킨 업체들은 가격 수용자일 것이다.② 치킨 업체들은 상호 협조적 행동을 취할 것이다.③ ○○ 치킨은 시장 점유율이 가장 큰 기업일 것이다.④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을 때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⑤ 나머지 치킨 업체들도 따라서 배달료를 받기 시작할 것이다.해설 현실에서는 카르텔에 대한 규제가 엄격하기 때문에 선도기업이 가격을 설정하면 추종기업은 선도기업이 정한 가격을 따르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를 가격선도라 한다. 여기서 선도기업이란 시장점유율이 높은 대기업 또는 효율적인 기업이다. 추종기업들은 선도기업이 설정한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생산량을 결정한다. 가격선도는 가격협정도 아니고 기업 간 일정한 판매가격에 대해 의사소통이나 담합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카르텔과 다르다. 또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은 재화에 대해서 기업들이 암묵적으로 상호 협조적 관계를 유지할 때 이뤄진다. 정답 ①문제 공항, 철도 등의 사례에서 자주 나타나는 지역이기주의의 일종이다. 수익성 있는 사업을 무조건 자기 지방에 유치하려 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는?① 피구효과② 핌피현상③ 베이크 아웃④ 바나나 현상⑤ 지렛대 효과해설 핌피현상이란 ‘Please in my front yard’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핌피 현상이란 수익성 있는 사업을 내 지방에 유치하겠다는 것으로 지역이기주의의 일종이다. 핵시설이나 쓰레기 매립장 등 혐오시설은 절대로 내고장에 둘 수 없다는 님비현상(not in my back yard : NIMBY)과는 정반대 개념이지만 지역이기주의란 점에서는 똑같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시대가 열리면

  • 테샛 공부합시다

    명목GDP·실질GDP·GDP디플레이터…경제 성장과 물가 상승 이해에 필수적이죠

    한국은행이 지난 18일 연 1.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성장률을 구할 때 사용하는 것이 지난 호에서 다룬 국내총생산(GDP)이다. 그해의 생산물에 당해연도 가격을 곱해 GDP를 구하면 이를 명목 GDP라고 한다. 즉, 해당연도에 물가가 상승하면 명목 GDP가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명목 GDP가 하락한다. 이렇게 될 경우 물가 즉, 인플레이션에 가려 생산 활동의 증감이나 다른 변수의 변화에 따른 GDP의 실질적인 변화를 알아낼 수 없는 것이 명목 GDP의 한계다.그래서 국가 경제활동의 실질적인 변화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개념이 가격 변동을 빼고 구한 실질 GDP다. 실질 GDP는 그해 생산물에 기준으로 정한 연도의 가격을 곱해 구할 수 있다. 즉, 기준으로 잡은 연도의 물가로 고정한 상태에서 경제 생산 활동의 실질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실질 GDP를 통해 경제 성장, 경기 변동과 같은 실질적인 생산 활동 동향을 살펴볼 수 있다.예를 들어보자. <표1>을 보자. 어떤 국가가 피자와 레모네이드만 생산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2016년의 명목 GDP는 (5000×50)+(2000×25)=30만원이다. 2017년의 명목 GDP 또한 2017년에 해당하는 가격과 생산량을 통해 구하면 (7000×100)+(3000×40)=82만원이다.이제 실질 GDP를 <표1>을 통해 구해보자. 2016년 가격을 기준연도로 하자. 2016년의 실질 GDP는 2016년의 가격을 기준연도로 하기 때문에 2016년 명목 GDP와 같은 30만원이다. 2017년의 실질 GDP는 2016년의 가격과 2017년의 생산량을 각각 곱해 구하면 된다. 즉, (5000×100)+(2000×40)=58만원이 된다. 2017년 명목 GDP가 82만원이었지만, 실질 GDP는 58만원으로

  • 테샛 공부합시다

    완전경쟁시장

    문제 다음 중 완전경쟁시장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① 생산자에 의해 제품의 가격이 결정된다.②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다.③ 시장 내에 소수의 생산자 및 다수의 소비자가 존재한다.④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⑤ 진입 장벽이 있어 생산자들이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지 못한다.해설 완전경쟁시장은 모든 기업이 동질적인 재화를 생산한다. 재화의 품질뿐만 아니라 판매조건, 기타 서비스 등 모든 것이 동일하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생산자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소비자와 생산자가 시장 내에 존재하여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가격수용자(price taker)이다. 또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다. 완전경쟁시장은 경제주체들이 가격 등 시장에 관한 완전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정답 ④문제 미국과 중국 간 통상전쟁의 서막이 시작되었다. 아래 신문 기사는 이에 대한 내용이다. 신문 기사를 바탕으로 이에 대해 잘못 이해한 것은?[미국이 2000억달러(약 224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오는 9월부터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전격 발표했다. 7월6일부터 25% 관세를 매기기 시작한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상품과는 별개다. 이렇게 되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 관세를 매기는 중국 상품 규모는 2500억달러로 지난해 대(對)중국 수입액(5050억달러)의 절반에 달한다. 중국 상무부는 즉각 “보복할 수밖에 없다”며 반발했다. 미국이 이번에 추가로 관세 방침을 밝힌 중국 상품은 TV 부품과 냉장고, 타이어, 고등어, 자전거 등 6031개 품목에 달한다.

  • 테샛 공부합시다

    인구고령화

    문제 다음 중 인구고령화의 원인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인구고령화는 인구의 연령구조에서 노인인구 비중이 증가하고 유년·청년인구 비중이 감소하는 현상이다.② 국민연금 기금이 급격하게 고갈될 것이 예상되고, 그 후에는 노령층에 대한 연금 지급을 위한 재정 지출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③ 인구고령화가 심화되면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게 되므로 노동력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경제의 생산 능력이 약화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④ 주택 보유자들은 대체로 노령층인 반면 신규 주택 수요자들은 젊은 세대들이어서 장기적으로 주택시장에서 추세적인 가격 하락이 예상된다.⑤ 숙련된 노령인구가 다수 존재하게 돼 장기적으로 노동력 구성에서 질적인 향상이 이뤄져 노동력의 양적 감소는 경제에 큰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다.해설 인구고령화란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의 인구고령화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그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인구고령화 사회에서 노령인구가 모두 숙련된 노동력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젊은 노동력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을 체화해 높은 수준의 숙련도를 가지고 있고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거나 적응하는 능력이 높다. 따라서 인구고령화로 노동력 구성이 장기적으로 질적인 향상이 이뤄지기 어려울 수 있다. 노인인구가 늘어나면 연금 지급을 위한 재정 지출은 증가하고 인구 구성 측면에서도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답 ⑤문제 다음 지문에서 ( A ), ( B )에 들어갈 경제용

  • 테샛 공부합시다

    "평소 쌓은 경제지식을 테샛을 통해 검증했어요…경제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제학자 되고파"

    “현실에서 일어나는 경제 현상을 이해하고 시장경제에 대해 알고 싶은 학습 욕구를 충족하는 데 테샛이 큰 역할을 해 줬어요. 좋은 선택이었습니다.”지난 9월 치러진 50회 테샛 정기시험에서 고교 개인 부문 대상을 차지한 하나고 2학년 이세찬 학생(사진)은 경제 공부와 테샛과의 관계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군은 300점 만점에 283점(S등급)을 받아 고교 응시자 중 최고 점수를 받았다.평소 경제이론과 경제시사, 경제현상에 폭넓은 관심을 가진 이군은 “경제학과 관련한 지식을 기본부터 응용까지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나름대로 검증하기 위해 테샛에 응시했다”며 “테샛은 학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시사와 관련한 폭넓은 지식을 이론과 연결해 생각할 수 있게 해 주는 특별한 친구”라고 말했다.이군은 지난 2월 치러진 46회 테샛에 처음 도전장을 냈다. 학교에서 친구들과 함께 꾸린 동아리에서 배운 지식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했는지 스스로 평가해기 위해서였다. 이군의 실력은 시간을 두고 꾸준히 상승했다. 공부한 만큼 결과를 만들어 낸 것이다. 우수상과 우수장려상 등 개인 부문 수상 경력은 이군을 더욱 자극했다.“테샛은 단순한 경제학 지식을 요구하는 시험이 아니에요. 테샛에 꾸준히 응시했지만 제가 설정한 목표에는 도달하지 못했어요. 그럴 때마다 경제를 이해하는 것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됐어요.” 우수상과 우수장려상을 받은 게 이군의 새로운 도전에 불을 댕겼다. 우수상 정도 수준에서 테샛 도전을 그만둘 수도 있었으나 더 도전해보기로 작정했다. 이군은 경제 공부를 조금 더 깊게 파고들었다. 그 결과가 50회 테샛에서 나

  • PHIGS

    문제 지난 유럽 재정위기 때는 ‘PIGS’가 문제였다면, 이번엔 ‘PHIGS’가 유럽연합(EU)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PHIGS가 위기의 뇌관으로 떠오른 이유는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극우정당의 등장, 반(反)EU·포퓰리즘 정권이 나타나며 정치적 대립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PHIGS에 해당하지 않는 국가는?① 그리스② 헝가리③ 폴란드④ 스페인⑤ 아일랜드해설 PHIGS는 폴란드, 헝가리,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을 지칭한다. 2018년 6월 미국 CNN이 유럽연합(EU)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고 지목한 국가들이다. 이탈리아는 서유럽 최초의 반EU·포퓰리즘 정권이 탄생해 기본소득 도입, 연금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어 재정 불안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 스페인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비슷한 성향의 정당이 출현해 경제 상황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그리스는 국가부채가 2800억달러나 남아 있는 게 변수다. 폴란드와 헝가리는 재정의 상당 부분을 EU에 의존하지만 난민정책, 인권 문제로 EU와 정면충돌하고 있다. 정답 ⑤문제 효율임금이론의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① 소득 수준이 낮은 국가의 경우 효율임금은 건강상태를 개선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② 노동시장의 균형임금 수준과 효율임금 수준은 동일하다.③ 효율임금은 노동자의 일에 대한 노력의 강도를 높여 생산성이 향상된다.④ 효율임금은 노동자의 이직을 줄인다.⑤ 효율임금은 노동자의 태만을 줄인다.해설 효율임금이론이란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효율임금이론에서는 실질임금과 노동자의 노력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가정한다. 생산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