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
과학과 놀자
나트륨 불꽃이 주황색으로 보이면 잘못된 것일까? 스펙트럼 분석으로 빛의 세기 달라졌음을 찾아냈죠
과학자가 하는 일의 핵심은 자연을 탐구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일이다. 학생들이 푸는 문제지의 문제는 답지에 정답과 풀이가 있지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만드는 일에는 참고할 정답과 풀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지식의 옳고 그름은 정답을 참고해 판단할 수 없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타당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판단하게 된다.과학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분석하면 다음 네 가지로 나타난다. 해결할 문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critical thinking),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 창의적인 시도를 하고(creativity), 구체적인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 관련 전문가와 소통하고(communication), 협업하여(collaboration) 문제를 해결한다. 교육학자들은 이 네 가지 역량을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핵심역량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맥락의 문제(authentic problem)를 해결하는 탐구 활동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문제를 정의하고 가설을 세워보자다음 사례는 학교 실험 수업에서 도출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이 과학적 사고력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금속 원소의 불꽃색은 물질의 고유한 성질 중 하나로, 대표적인 물질인 나트륨(Na) 불꽃색을 관찰했는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가 관찰됐다. 그림 1에서는 불꽃색이 예상대로 노란색으로 관찰되는데, 그림 2에서는 주황색으로 관찰된다.문제: 주황색으로 관찰된 불꽃색은 나트륨 원소의 불꽃색이 아닌가?많은 경우 학생들은 교과서에 제시된 ‘나트륨의 불꽃색은 노란색’이라는 내용을 근거로
-
2018년 대입 가이드 (1)서울대 준비는 이렇게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도 전략이 필요하다. 나의 약점과 강점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성공할 수 있다. 그 유명한 《손자병법》에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 百戰不殆)’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성공적인 대입을 위해서는 입시의 큰 흐름과 가고 싶은 대학들의 입시 요강을 정확히 꿰고 있어야 바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전략을 잘 짜면 공부의 효율이 높아지고, 합격 가능성 역시 그만큼 커진다. 2018학년 대입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학생부, 논술, 실기, 수능이 골자다. 올해부터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입시골격의 큰 변화는 없다.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학생부전형(학생부종합전형+학생부교과전형)이다. 정부의 공교육 정상화 정책 이후 학생부전형 선발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018학년도 서울 주요 대학의 학생부전형 선발비중은 평균 60%를 넘는다.생글생글은 이번 3월20일자부터 ‘2018학년도 대입전략: 입학처장에게 듣는다’를 연재한다. 대입 수험생이 ‘효율적인 대입전략’을 짜는 데 가이드 역할을 하려는 게 취지다. 연재는 서울대부터 시작한다. 서울대는 전체 정원의 78.5%인 2496명을 학생부전형으로 뽑는다. 서울대의 입시 전형은 서울의 주요 대학은 물론 전국 대학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서울대 입시안을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하는 이유다.안현기 서울대 입학본부장이 서울대의 입시 요강, 서울대가 추구하는 인재상, 내신의 중요성 등을 상세히 들려준다. 인터뷰와 별도로 대입 전문가가 서울대 입시 전략의 핵심 포인트를 짚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