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문·이과 통합수학 시대…'마인드 리셋' 필요해요

    ‘문과·이과 통합 수학’ 시대입니다. 지난해 11월 치러진 수능 시험에서 처음 적용됐어요. 반응과 평가가 엇갈립니다. 문과생들이 손해를 봤다, 별 차이가 없다는 말이 각각 존재합니다. 수학이 어떤 얼굴을 하고 있든, 우리는 수학을 피해서 갈 수 없습니다. 국·영·수 아닙니까. 생글이 여러분을 잠시 최면 상태로 초대하겠습니다. “여러분은 언제부터 수학이 싫어지기 시작했는지 기억...

  • 키워드 시사경제

    ESG 바람 타고 등장한 '무늬만 친환경' 꼼수

    지난해 한 대형 커피전문점이 다회용 컵을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벌여 인기를 누렸다.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캠페인의 일환이었다. 그런데 곧바로 환경단체들로부터 ‘그린 워싱(green washing)’의 전형적 사례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 회사가 나눠준 다회용 컵은 몇 번 쓰면 버려야 하는 플라스틱 소재여서 사실상 또 다른 일회용품 쓰레기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한 화장품업체는 플라스틱병을 종이로 감싸놓고 &...

  • 생글기자

    잘못된 경제정책으로 고통받는 터키 국민들

    물가 36% 상승, 환율 두 배 상승. 터키의 최근 경제 상황이다. 하루가 다르게 물가가 오르면서 터키 국민은 기본적인 식품과 의약품도 제대로 못 구하고 있다. 달러 대비 리라화 환율 급등으로 수입품 가격이 상승해 이런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환율 상승이 수출에는 도움을 주고 있지만 터키의 주요 수출 품목은 수입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한다. 수출이 늘어나는 만큼 수입 비용 부담도 커지는 구조다. 지난 연말 환율이 소폭 하락하기...

  • 생글기자

    오미크론 방역대책이 신뢰를 얻으려면

    청소년 방역패스는 필요한 것일까. 방역당국은 청소년 방역패스 시행 계획을 내놓으면서 오는 3월 새 학기에 학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0%대에 그쳤던 13~18세 청소년 백신 접종률은 최근 1차는 80%, 2차는 70% 수준까지 높아졌다.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하는 등 코로나바이러스가 재확산되는 조짐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데다 정부 당국이 방역패스 적용 방...

  • 영어 이야기

    be동사는 주어와 술어의 연결 고리일 뿐 그 자체로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아요

    The home environment is of principal importance during these years [from birth to about 3 years] since much of the infant’s time is spent in that situation. However, over the past few decades care-giv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infants hav...

  • 대입전략

    의대 3015명 등…의약학계열 6599명 선발, 지역인재 40% 이상 뽑아…모집인원 더 늘듯

    올해 의대, 치대, 한의대, 수의대, 약대 등 의약학계열 모집인원은 전형계획안 정원 내 기준으로 총 6599명에 이른다. 고른기회, 농어촌전형 등 정원 외까지 합하면 7000명 수준에 달한다. 의대(39개교) 선발인원이 정원 내 3015명으로 가장 많고, 약대(37개교)가 1743명, 한의대(12개교)가 715명, 치대(11개교)가 630명, 수의대(10개교)는 496명을 선발한다. 의약학계열 대학은 지역별 의료 인력의 균형적인 양성을 위해 ...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중과세(二重過歲)'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

    코로나 3년째로 접어드는 올해 설맞이는 확실히 예년과 다른 모습이다. 온라인 추모는 물론 세배 등 설인사도 비대면으로 하는 데 점점 익숙해져 가는 듯하다. 강릉에선 441년을 이어온 합동세배행사 ‘도배례’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올해도 취소됐다는 소식이다. 대면으로 하든 영상으로 하든 설은 설이다. 세배도 해야 하고 새해 인사도 드려야 한다. 양력 1월1일은 ‘새해 첫날’ … 명절 아...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인플레이션

    [문제] 공급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① 통화량 증가 ②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③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 ④ 환경보호에 대한 국민의 인식 증대 ⑤ 노동생산성을 초과한 과도한 임금 상승 [해설]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는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등이 있다. 공급 측면에서 총공급의 감소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이라 한다. 대표적인 요인으로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