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30년 만에 가장 비싼 밥상물가…장마 뒤엔 무·양파값 더 오른다

    올 들어 농·축·수산물 가격이 10% 넘게 오르며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 가격 동향을 두고 정부와 시장의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하반기 가격 안정을 예상하지만 시장에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쉽게 꺾일 것 같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과일은 과수화상병 등 각종 질병으로 수확량에 직격탄을 맞은 데다 이상 기후로 인한 작황 부진까...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삶의 연주자들이여, 연습하고 연습하라" 바이올린 장인이 전하는 인생의 진리

    고지대에 빼곡히 자라는 수많은 나무 가운데 가문비나무가 바이올린 제작에 사용되는 이유는 뭘까. 천천히 자라는 가문비나무는 밑동에서부터 40~50m까지 줄기만 쭉 뻗어 올라간다. 어두운 산중에서 위쪽 가지들이 하늘을 향해 뻗어 오르는 과정에서 빛을 못 본 아래쪽 가지들이 떨어져 나갔기 때문이다. 노래하는 나무가 될 만한 재목은 1만 그루 가운데 한 그루가 될까 말까 할 정도로 희귀하다. 저자는 이러한 정보를 알리면서 ‘울림이 좋은 바이...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신대륙 남미에서 은이 대규모로 유입…16세기 유럽 물가는 4배 가까이 상승

    “우리는 일하지 않으면서 먹기를 원한다.” 남미 대륙 상부페르(볼리비아)에 있는 포토시 은광에서 대규모 은이 유입된 이후 스페인 경제는 대격변을 맞이했다. 이탈리아 피렌체의 외교관이었던 프란체스코 귀차르디니가 ‘몸을 누일 여인숙도 찾기 힘들고, 나무 한 그루 제대로 없던 빈 땅’으로 묘사했던 이베리아반도의 풍경은 100년 사이 급격히 변했다. 역사학자들이 최초의 ‘가격혁명’이라고...

  • 커버스토리

    러시아는 왜 우크라이나에 집착하나

    우크라이나 국민은 요즘 밤잠을 설친다고 합니다. 전쟁 위협 때문입니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삼키기 위해 곧 침공할 것이라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10만 명 이상의 병력과 포병·탱크부대를 접경지에 배치한 상태입니다. 군사력이 약한 우크라이나는 미국을 주축으로 한 서방국가들의 개입을 원하고 있습니다. 일촉즉발, ‘유럽의 빵 바구니’에 전운이 짙어지는 상황입니다. 왜 긴장이 고조...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수리논술의 결정적 변수…계산집중력을 높여야

    수리논술에서 당락을 결정하는 의외의 요인은 바로 계산력이다. 문제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 방법을 찾았더라도 계산력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한다면 아무 소용이 없게 된다. 올바른 식을 세우고 정확한 계산에 의해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수리논술의 핵심임을 명심하고 평소에도 계산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한다. 포인트 계산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극한, 적분, 시그마 등의 수식 기호를 능숙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V자形 경기회복'과 '일본型 장기침체'

    # 삼성전자는 올해 초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쇼 ‘CES 2022’에서 32형 게이밍 모니터를 선보였다. 퀀텀 미니 LED(발광다이오드)를 적용한 이 제품은 최고혁신상을 받았다. # LG전자는 졸업·입학 시즌을 맞아 ‘2022년 아카데미 페스티벌’을 열고 성능과 디자인을 향상시킨 노트북 ‘LG그램’ 14·15·16·...

  • 영어 이야기

    '접속사 + 절1, 절2' 문장형태에서 주어가 같을 때…접속사와 절1 주어 생략하고 분사구문형태로 표현

    The globe has huge temporal dimensions. For ages barren nature existed without living things. Life began on earth some 3.5 billion years ago, but modern humans (Homo sapiens) appeared perhaps less than half a million years ago. Although latecomers am...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균등배분제로 '큰 손' 아니어도 공모주 받을 수 있죠

    예전엔 공모주 투자가 많은 돈을 가진 ‘큰손’들의 잔치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공모주를 청약할 때 주식을 많이 받겠다고 신청한 사람일수록 경쟁률에 따라 주식을 많이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공모주 균등배분제가 처음 시행되면서 소액투자자들도 공모주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공모가는 어떻게 정해질까 보통 공모가는 상장하려는 기업과 상장 실무를 담당하는 증권사가 정한 범위 안에서 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