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우주 '암흑물질' 찾기위해 과학자들은 땅굴을 판다?

    1963년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나선은하 가장자리에 있는 별들이 아주 빨리 돌면서도 은하 밖으로 튕겨 나가지 않는다는 걸 관측했다. 탈수기에 넣고 돌린 빨래에서 물이 떨어져나가지 않는 것처럼 이상한 일이지만, 은하에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질량이 숨어 있다고 가정하면 설명이 가능하다. 질량의 역할을 할 것으로 유추 가능한 것은 암흑 물질(dark matter)이다. 암흑물질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은하에 존재하며 중력을 통해 별들의 ...

  • 영어 이야기

    단어의 의미도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져요…예전에 새를 뜻하던 bird와 fowl도 변했죠

    Food seeking combines sight, smell, and hearing, which are largely evolutionary adaptations to improve survival. All senses are generally employed, but each animal maybe more dependent on one than on the others. Pigs are heavily dependent on olfactor...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이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한 경쟁의 조건은

    시장지배력은 기업이 투입한 비용 이상으로 가격을 높이고, 투자와 위험, 혁신에 대해 보상할 수 있는 초과이윤을 창출하는 능력이다.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시장에서는 기업들은 위험이나 기타 비용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적절히 보상하며 자본이익률 정도의 이윤밖에 벌지 못한다. 성공적인 기업들이 항상 경쟁이 적은 시장을 찾는 이유다. 슘페터의 성장과 창조적 파괴 기업가의 중요한 역할은 시장에서 일등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위험한 도박에 승부수를 두는...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고려 지키자 vs 새 나라 세우자, 둘로 갈린 개혁파…이성계·정도전 등 급진파, 온건파 숙청 후 조선 세워

    조선의 건국에는 ‘역성혁명’이란 수식어구가 따라붙는다. 왕조의 개창은 혁명에 해당할 수 있는 대사건이다. 우리 역사에는 혁명에 해당하는 사건이 많지 않았으므로 정의와 개념, 평가에 대해 공감할 만한 기준이 없다. 혁명은 꼭 필요한 것일까?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추진해야 하는 걸까. 성패의 기준은 무엇이며, 책임은 어느 단계까지 져야 하는 걸까. 고구려 건국은 정권 교체나 새 나라의 건국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중...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형·누나와 다르게 난폭한 다섯째…도대체 왜 그럴까

    소설이나 영화를 보고 딱 한 단어로 요약할 때 고구마나 사이다를 들먹인다. 2007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도리스 레싱의 소설 《다섯째 아이》는 고구마 쪽이다. 벤과 친구들의 일탈을 보며 ‘사이다’를 외치는 독자도 있을지 모르겠다. 172페이지로 얇은 책이지만 내용이 묵직해 읽고 나면 여러 생각이 떠오른다. 도리스 레싱은 생전에 자신의 소설을 어떤 틀 속에서 해석하는 걸 경계했다. 그녀의 대표작인 《황금빛 노트북》을 여...

  • 생글기자

    청소년 건강 해치는 흡연 적극 막아야

    얼마 전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시내버스 뒷좌석에서 ‘턱스크’를 한 채 담배를 피우는 모습이 뉴스에 보도됐다. 길거리에서 흡연하는 청소년들도 종종 볼 수 있다. 청소년이 흡연을 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단순한 호기심에 담배를 피우는 경우도 있고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아 담배에 손을 대기도 한다. 학업 부담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흡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부는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담배 가격...

  • 생글기자

    자영업자 지원하는 '소비 복권' 실효성 높이려면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소상공인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주변에서도 ‘코로나19로 임시 휴업합니다’ ‘폐업합니다’ 등 휴·폐업을 알리는 가게를 많이 볼 수 있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매출에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정책 중 일명 ‘소비 복권’이라고 불리는 ‘상생 소비 더하기’ 정책이 관심을 끌고 있다. 오는 4~6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2월 21일 (742)

    1.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을 측정하는 통화지표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다음 중 숫자가 가장 큰 것은? ① 본원통화 ② M1 ③ M2 ④ Lf 2.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탈중앙화금융’을 뜻한다. 암호화폐를 활용해 예금, 대출, 투자 등을 제공하는 이것은? ① 이더리움 ② 알트코인 ③ NFT ④ 디파이 3.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의 비율이다. 기업이 1년간 벌어들인 돈에서 얼마만큼을 주주에게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