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라사'와 '소련'으로 엿보는 우리말 뒤안길

    1896년 2월 11일 새벽, 동트기 직전의 어둠을 타고 경복궁에서 가마 하나가 빠져나와 인근 러시아공사관으로 향했다. 가마에는 고종과 왕세자가 타고 있었다. 열강의 각축 속에 조선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던 구한말, 한 나라의 국왕이 외국 공관에 몸을 의탁해 정사를 돌봐야 했던 치욕의 역사가 있었다. 이른바 ‘아관파천’이다. 127년 전 이맘때 일어난 사건이다. 외래어표기법 없던 시절 쓰던 음역어 고종실록은 그것을 &l...

  • 대입전략

    내신중심 7338명·서류중심 1만6237명 선발 예정

    학생부 위주 전형은 학생부교과와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나뉜다. 학생부교과는 내신 중심, 학생부종합은 서류 중심 평가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여부도 큰 변수로 작용한다. 전형마다 유불리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자기 강점을 잘 파악해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4학년도 주요 21개 대학의 학생부 위주 전형의 선발 유형(전형계획안 인문, 자연 기준)에 대해 분석해본다. 수능 최저 없는 내신 100%는 한양대가 유일 한양대 지역균형발전 전형은 올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특성을 구체적인 사례와 연결지어라

    ㉮ 실학자들의 유서 는 … 편찬 의도를 지식의 제공과 확산에 두었다. 또한 … 지식을 재분류하여 범주화하고 평가를 더하는 등 저술의 성격을 드러냈다. … 주자학이 아닌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는 유연성과 개방성을 보였다. … 객관적 사실 탐구를 중시하여 박물학과 자연 과학에 관심을 기울였다.(중략) 18세기의 이익은 서학 지식 자체를 ㉠ 성호사설 의 표제어로 삼았고, … 서학의...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烏合之衆 (오합지중)

    ▶한자풀이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갈 지 衆: 무리 중 까마귀 떼처럼 어지러이 모인 무리 조직이나 구심점 없는 무리를 이름 -<후한서(後漢書)> 전한(前漢) 말 대사마(국방부 장관 격) 왕망(王莽)은 평제를 죽이고 나이가 어린 영을 새 황제로 삼았다. 3년 후에는 영을 폐한 뒤 국호를 신(新)으로 바꾸고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하지만 민심 이반으로 나라가 혼란에 빠지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때 유수(...

  • 농업과 첨단기술의 만남

    제50호 주니어 생글생글의 커버스토리 주제는 ‘스마트팜’입니다. 인공지능(AI)이 농업에도 활용되면서 농가의 모습이 크게 변하고 있습니다. 농업과 기술이 만나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첨단농업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봤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괴짜라는 평을 들으면서도 원하는 일과 삶을 좇은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의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단은 키오스크 도입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글로 정리해봤습니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주인 없는 회사' CEO 선임 논란…정부 개입 타당한가

    지배적 대주주가 없는 기업에 대해 흔히 ‘주인 없는 회사’라고 한다. 민간은행의 지주회사를 비롯해 포스코, KT처럼 과거 공기업에서 민영화한 대기업을 통상 그렇게 지칭한다. 물론 엄밀하게 말해 경영권을 확실하게 장악한 지배 주주가 없을 뿐 주인이 없는 회사는 아니다. 책임경영 주체가 모호하다는 것으로, 정부 소유에서 민영화한 데 따른 역설적 부작용 같은 현상이다. 이런 기업일수록 주식 한 주 없는 정부나 여당 중심의 정치권...

  • 교양 기타

    붓 1000자루·벼루 10개 갈아 없앤 추사의 신필

    부작란(不作蘭) - 벼루 읽기 이근배 다시 대정(大靜)에 가서 추사를 배우고 싶다 아홉 해 유배살이 벼루를 바닥내던 바다를 온통 물들이던 그 먹빛에 젖고 싶다 획 하나 읽는 줄도 모르는 까막눈이 저 높은 신필을 어찌 넘겨나 볼 것인가 세한도(歲寒圖) 지지 않는 슬픔 그도 새겨 헤아리며 시간도 스무 해쯤 파지(破紙)를 내다보면 어느 날 붓이 서서 가는 길 찾아질까 부작란 한 잎이라도 틔울 날이 있을까 * 이근배: 1940년 충...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한·중 간 민감한 문제로 남은 간도 영유권 갈등…간도협약, 국제질서 재편이란 관점에서 살펴야

    만주의 지정학적·지경학적 가치를 잘 알고 국경 분쟁을 자주 벌인 러시아도 만주지역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러시아는 1948년 2월 간도 일대에 조선인 자치구 설치를 골자로 하는 평양협정을 북한과 체결했다. 연길 등 간도지역 일부를 북한 영토로 편입시키려 했다는 문건이 공개됐다. 중국 정부가 만주 지역을 장악하지 못했던 불안정한 상황 속에 6.25전쟁이 발발했다. 이때 팔로군에 소속된 조선족 다수가 북한군으로 편입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