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키워드 시사경제

    개발 묶여온 서울 강남땅, 아파트로 바뀐다

    정부가 급등하는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그린벨트(green belt) 해제 카드’를 꺼냈다. 대규모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서울 그린벨트를 푸는 것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정부는 수도권 그린벨트를 해제해 8만 가구를 공급할 수 있는 신규 택지 후보지를 오는 11월부터 공개할 예정이다. 이 중 서울 지역 공급분은 1만 가구 이상이 될 전망이다.서울 그린벨트 12년 만에 푼다그린벨트의 정식 명칭은 ‘개발제한구역’이다. 도시 주변을 띠처럼 둘러 개발 행위를 엄격히 제한함으로써 무질서한 확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1970년대 박정희 정부가 서울을 비롯한 14개 도시권 총 5397㎢를 그린벨트로 지정한 것이 시작이었다. 이 구역에서는 새 아파트를 짓는 것은 꿈도 꿀 수 없고 기존 건물 증개축이나 용도 변경도 마음대로 할 수 없다. 자연환경을 보존하는 ‘도심의 허파’라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다만 사유재산권을 과도하게 침해하고 지역 주민들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제기돼왔다.2000년대 들어 그린벨트는 수차례에 걸쳐 해제됐다. 서울과 가까운 곳에 아파트를 많이 공급해야 서울로 몰리는 주택 수요를 분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 결과 그린벨트를 걷어낸 자리에 경기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와 위례신도시, 광교신도시 등이 들어섰다.서울에 지정된 그린벨트는 149.09㎢로 전체 면적의 24.6%를 차지한다. 강북권은 대부분 경사가 심한 산지여서 결국 강남권 그린벨트가 신규 택지 후보지로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훼손이 심한 그린벨트가 적지 않아 이런 지역을 주거지로 개발하면 주택공급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 영어 이야기

    정책이나 전략을 바꾸다 'pivot'

    South Korea’s economy unexpectedly slowed in the second quarter on softer private consumption and business investments. Gross domestic product grew 2.3% year over year in the April-June period, slower than the previous quarter’s revised 3.3% growth, the Bank of Korea’s data showed.Against the prior quarter, the economy contracted 0.2%, a reversal from the first quarter’s 1.3% expansion. This marked the first quarterly backstep since the fourth quarter of 2022 with a 0.4% drop and snapped the five-quarter growth streak.Both consumer and business spending waned in a high interest rate environment under the lengthy tight monetary policy, said market analysts. They forecast the BOK would consider pivoting toward policy easing later this year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central bank kept its benchmark policy rate unchanged at 3.50% for the longest streak of a 12th straight time this month.민간소비와 기업투자가 위축되면서 2분기 한국 경제는 예상과 달리 둔화됐다.한국은행에 따르면 4~6월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해 전 분기 수정치인 3.3% 성장보다 성장세가 둔화됐다.전분기 대비 GDP는 0.2% 감소해 1분기 1.3% 증가에서 역성장으로 전환했다. 이는 2022년 4분기 0.4% 감소한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한 것으로 지난 5분기 연속 성장해오던 추세가 꺾인 것이다.시장 분석가들은 장기간의 긴축 통화 정책에 따른 고금리 환경으로 소비와 기업 지출이 모두 감소했다고 진단했다. 경기 활성화를 위해 한국은행이 올 하반기 정책 완화 쪽으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이달 12회 연속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했다.  해설최근 경제 기사에 ‘피벗(pivot)’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미국 중앙은행(Fed)과 한국은행이 금리인상 정책에서 벗어나 언제 기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主一無適 (주일무적)

    ▶ 한자풀이主: 주인 주    一: 하나 일    無: 없을 무    適: 맞을 적오직 한 군데에만 마음을 집중해다른 잡념이 스며들지 않도록 함          -<경재잠(敬齋箴)> 성리학(性理學)은 송나라 명나라 학자들가 체계화한 유학의 한 학파다. 주돈이, 정호, 정이 등이 시작해 주희가 사상 체계를 집대성했다. 이기론(理氣論)과 심성론(心性論)에 바탕을 두고 격물치지(格物致知, 사물의 이치를 깨우쳐 궁극적으로 자신의 앎에 이르게 함)를 골자로 한다. 이기론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성리학 이론이다.주일(主一)은 ‘하나를 위주로 한다’는 의미고, 무적(無適)은 ‘움직이지 않는다’로 풀이된다. 즉 주일무적(主一無適)은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하고 다른 곳에는 마음을 두지 않는다는 의미다.남송의 유학자 주희(朱熹)는 <경재잠(敬齋箴)>에서 주일무적에 대해 “동에 머물면서 서를 생각하지 말고 북에 머물면서 남을 생각하지 말라. 일에 당하여서는 마음을 간직하여 마음이 다른 데로 가지 않도록 하라. 두 가지 일이라고 마음을 두 갈래로 하지 말고, 세 가지 일이라고 마음을 세 갈래로 내지 말라. 마음을 오로지 하나가 되도록 하여 만 가지 변화를 살피도록 하라”라고 적었다. 주일무적이 경의 가장 기본적 자세임을 강조한 것이다.성리학에서는 주일무적이 정제엄숙(整齊嚴肅, 몸을 단정히 하고 생각을 엄숙히 함), 상성성(常惺惺, 마음이 항상 깨어 있음), 기심수렴불용일물(其心收斂不容一物, 밖으로 내달리는 마음을 거둬들여 무심함을 회복함)과 더불어 경(敬)을 풀이하는 의미로 사용했다.조선시대 유학자인 퇴계 이황 또한

  • 학습 길잡이 기타

    '절사 평균'으로 편파 판정 가능성 막아

    지구촌을 뜨겁게 달군 2024 파리 올림픽이 끝났습니다. 이 대회에서 최선을 다해 열심히 경기에 임한 선수들 덕분에 대한민국 선수단은 기적을 연출하여 예상보다 높은 종합 순위를 기록했습니다.필자도 가족과 함께 경기를 보면서 응원했는데, 특히 다이빙 경기가 눈에 띄었습니다. 선수들이 다이빙을 하고 나면 심사 위원 점수가 바로 발표되었는데, 그 점수에 아래와 같이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 취소선은 무슨 기준으로, 왜 그어져 있는 것일까요?예를 들어 살펴보겠습니다.선수 A가 7명의 심사 위원으로부터 2점, 7점, 9점, 9점, 9점, 10점, 10점을 얻었다면 이 선수의 점수 평균은 (점)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계산된 8점을 선수 A의 점수로 정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아 보입니다. 심사 위원 점수의 대부분이 8점보다는 크고, 8점이 심사 위원 점수의 전체적 특징을 잘 나타낸다고 보기 어려우니까요. 그럼에도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특정 심사 위원 점수인 2점이 영향을 미친 것 같습니다. 특정 심사 위원이 편파 판정을 함으로써 극단적 점수를 부여해 이 값이 전체 점수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이지요.스포츠나 예술 경연 대회에서는 작은 점수 차이로 승부가 나기 때문에 공정한 심사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앞의 다이빙 경기의 심사 위원 점수는 극단적인 값을 없애기 위해 가장 높은 점수 2개와 가장 낮은 점수 2개를 취소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4개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의 평균을 구해보면 이 되어 8.0을 이 선수의 점수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어떤 자료의 변량 중에서 극단적인 값을 제외하고 자료의 가장 큰 부분과 가장 작은 부분을 일정 비율로 잘라버린 뒤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61)

  • 역사 기타

    '유일신 주장' 무함마드, 메카 귀족들의 '공공의 적'

     300년 전쟁과 메카의 성장모든 제국에는 숙적(宿敵)이 있다. 굳이 한자로 쓴 이유는 숙(宿) 자가 숙명(宿命)에도 쓰이고 숙변(宿便)에도 쓰이기 때문이다. 피할 수 없는 적인 동시에 오래 묵은 적이다. 딱히 대등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만만하지도 않은, 목에 걸린 가시 같은 존재다. 전성기 로마의 숙적은 파르티아였다. 로마 시민 절반을 채무자로 두었을 만큼 돈은 많았지만 군사적 업적은 초라하던 로마 삼두정치의 한 축인 크라수스가 공명심에 침공을 감행했다가 참혹한 죽음을 맞은 것도 파르티아와 벌이던 전쟁에서다. 로마에게 수도를 세 번이나 점령당하면서도 버티던 파르티아를 무너뜨린 것은 사산(Sassanid)왕조(사산조페르시아)다. 그리고 사산왕조는 동로마제국의 파르티아였다. 중간에 아르메니아라는 완충지대가 있었던 로마 vs 파르티아와는 달리 동로마와 사산왕조는 거의 국경을 맞대고 있었다. 당연히 둘은 내내 싸웠고 사산왕조 427년 동안 서로 바빠 전쟁을 못했던 379년에서 498년까지 120년을 뺀 300년이 거의 전쟁 상태였다. 이를 보통 ‘300년 전쟁’이라 부른다. 닫힌 실크로드, 새로운 무역 경로를 찾아서조금 큰 규모의 오아시스 도시이던 메카가 급성장한 이유도 300년 전쟁 때문이다. 중국 시안에서 출발해 타클라마칸 사막을 지나 카스피해 남쪽을 거쳐 콘스탄티노플로 가는 실크로드가 막힌 것이다. 고대와 중세 무역은 한두 배 남는 장사가 아니다. 길이 없다고 수십 배, 어떨 때는 수백 배 남는 장사를 포기할 상인은 없다. 이들은 새로운 길을 모색했다. 하나는 바닷길인데 아라비아반도를 끼고 홍해를 거슬러 올라갔다. 또 한 무리는 실크로드 아래 아라비아 사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학 문제 틀렸을 땐 나만의 주석 달아보자

    지난주 대학 생글이 통신에서 예고했던 대로 수학 자기 주도 학습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강조했듯이 수학은 ‘혼자 공부하는 과목’입니다.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풀이법을 고민하며 자신만의 길을 찾아나가야 하는 과목입니다. 이제부터 제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터득한 수학 공부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첫째, 틀린 문제를 공부하라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들어봤을 얘기입니다. 저도 고교 시절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은 말이죠. 하지만 공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굉장히 고통스러운 일이기도 합니다. 한 번 틀린 문제, 몰라서 못 푼 문제는 고민하면 고민할수록 머리가 더 아파지기 때문이죠. 그러나 이런 고통을 극복하지 않고는 수학을 잘할 수 없습니다. 틀린 문제를 어떻게 짚고 넘어가느냐에 따라 수학을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결정됩니다.둘째, 틀린 문제에 나만의 주석을 달아야 합니다. 저는 수학 문제를 풀면서 틀린 문제 위에는 빨간 글씨로 틀린 이유를 적었습니다. 가령 “계산 실수했어, 바보야” “삼각함수의 대칭성 이용” 등과 같이 틀린 이유를 분석해 핵심적 내용을 기록해뒀습니다. 이렇게 하면 문제에 담긴 출제 의도와 문제를 푸는 데 필요한 핵심 개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깨달음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저의 실력으로 차곡차곡 쌓였습니다. 이렇게 기록을 남겨두면 나중에 시험이 임박했을 때 복습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문제 위에 빨간 글씨로 적힌 주석을 보며 내 약점과 부족한 부분을 다시 점검할 수 있으니까요.이 방식은 약식 오답 노트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별도의 오답 노트에 옮겨 적을 필요 없이 바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서 보낼 방학 생활 꿈꿔보세요

    치열한 수험생 시기를 보내고 있는 여러분은 지난 여름방학도 이열치열, 그 누구보다 뜨겁게 보냈겠죠? 마음껏 놀 수 없는 여름방학을 보내며 대학생의 방학 생활은 어떨까 한 번쯤 떠올려봤을 것 같은데요, 저의 여름방학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여름방학 생활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대학생이 된 후 저의 여름방학 생활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아르바이트입니다. 방학 때는 여러 단체가 주관하는 진로 캠프도 많이 열리고 당장의 공부 부담도 크지 않아 아르바이트하기 좋습니다. 아르바이트로 번 돈은 미래를 위해 적금이나 정기예금에 넣어 두기도 하고, 일부는 개강 후 쓸 수 있도록 입출금 통장에 남겨놓습니다.두 번째로는 2학기에 공부할 내용을 간단히 예습합니다. 제가 다니는 경제학부는 계량경제학 등 꽤 많은 시간을 들여 수학과 통계학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 과목이 있습니다. 방학 중에 교재를 구해 다음 학기에 배울 내용을 미리 공부해두면 학점 관리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보통은 9월 개강에 앞서 9월 초에 수강 신청을 일차적으로 끝내기 때문에 수강 신청한 과목에 따라 예습할 과목을 정하는 친구들도 있습니다.세 번째는 학회 준비입니다. 보통 학기 초에 동아리와 학회들이 신입 회원을 모집합니다. 저는 주식·금융 학회에 가입하기 위해 기업 보고서를 읽거나 재무제표를 분석하며 학회 면접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면접에서 매우 까다로운 내용을 질문하는 학회도 있어서 관련 분야에 대해 폭넓게 공부해둘 필요가 있습니다.주변 친구들을 보면 컴퓨터활용능력이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토익 등 각종 자격증과 시험을 준비하기도 합니다. 방학은 특히 제2외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