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
"SKY 모든 영역 상위 2%내에 들어야 안정권"
점수 높으면 주요 사립대 수능 우선선발 노려볼만올해 정시모집은 '수능'이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도입했던 '등급제'가 올해 다시 표준 점수와 백분위·등급을 모두 공개하는 '점수제'로 돌아가면서 변별력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수험생의 영역별 점수가 상위 몇 퍼센트에 속하는지를 보여주는 백분위 및 평균 성적과 수험생 성적 간의 차를 나타내는 표준 점수를 활용할 예정이다. 원점수는 공개되지 않으므로 사용할 수 없다. ⊙ 서울대, 수리영역 상위 2% 이상 돼야서울대 등 최상위권 대학들은 수능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에 대해 표준 점수를 활용키로 했다. 따라서 비교적 난이도가 높았던 수리 영역이 당락을 가를 것으로 상당수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표준 점수는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맞혔을 때 점수 차가 크게 벌어져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오종운 청솔학원 평가연구소장은 "올해는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치는 수리 나형과 자연계 학생들이 주로 치는 가형이 모두 작년보다 어려워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최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려면 각 영역별 백분위 점수, 특히 수리영역 점수가 상위 2% 이내에 들어야 '안정권'에 해당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상위 3개 대학의 정시모집 인원은 약 5000명 선이므로 각 영역별로 상위 2% 내에 들면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영향력이 큰 수리영역에서 2% 내에 들면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 수능 성적별 정시 지원 전략수능 비중이 크게 높아진 만큼 정시 지원 전략도 수능 점수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