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年 8회 기준금리 정해… 기준금리 오르면 은행 예금·대출금리도 따라 올라요

    돈을 빌리면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그 대가가 이자다.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 비율이다. 이자율이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금리는 돈의 값이다. 어떤 물건 가격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처럼 금리는 자금이 거래되는 시장(금융시장)에서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돈을 찾는 사람(수요)이 많으면 금리가 오르고, 시중에 풀린 돈(공급)이 많으면 금리가 내리는 식이다. 중앙은행은 각국의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조절해 시장 금리(시중금리)에 영향을 준다.지표 금리는 만기 3년 국채 금리금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다. 가계 저축, 기업 투자, 물가 수준, 국가 간 자금 이동도 금리에 영향을 받는다. 가령 금리가 오르면 저축이 늘어나지만 소비 여력은 줄어든다. 기업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난다. 금리를 통해 경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다.금리가 오르면 물가가 안정되고 해외자금이 고(高)금리를 노리고 국내로 들어와 자국 통화 가치가 뛰기도 한다. 금리는 사회 곳곳에 자금을 적절히 배분해주는 기능도 한다. 예컨대 은행 대출금리가 연 5%라고 치자. 이 금리로 돈을 빌려도 충분히 이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만 돈을 빌리게 된다. 즉 이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산업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가게 된다.금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를 비롯해 시장에서 활용되는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이 대표적이다. 은행끼리 일시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거래할 때 쓰는 금리는 콜금리라고 한다.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국고채)에 붙는 금리는 시장금리를 재는 대표적 척도란 점에서 지표금리로 불린다.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