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미국 금리 빨리 많이 오를수록 '금리 역전' 생긴다는데…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이 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0)금리 수준인 초저금리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경기가 회복되고 물가가 오를 조짐을 보이자 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리고 있다. 비정상으로 낮았던 금리를 정상화하는 것이다. 미국 금리의 방향을 좌우하는 미 중앙은행(Fed)은 올해 서너 차례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올릴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당장 미국이 금리를 빨리 큰 폭으로 올리면 다른 나라 금리보다 높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벌어진다. 이렇게 되면 국제적으로 자금이 금리가 높은 나라로 이동하는 등 자금 흐름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된다.우리나라는 현재 기준금리가 연 1.50%로 미국 기준금리인 연 1.25~1.50%와 상단이 같다. 하지만 미국이 한국보다 빠른 속도로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경우 한국 금리보다 높아져 국제자금이 고금리를 좇아 미국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커진다. 이렇게 되면 주식·채권·부동산 등 자산시장에 큰 변화가 초래된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려야 할 요인이 커진다.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은행 금리도 따라 올라가는 등 시중금리가 상승하게 된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 기업 등 경제주체별로, 계층별로, 산업별로 불리해지는 곳도 있고 혜택을 보는 곳도 있다. 당장 부채가 많은 가계 기업 등은 이자 부담이 커지고, 투자 생활자금 등에 필요한 돈을 빌리기도 어려워진다. 반면 현금 자산이 많은 사람이나 기업, 이자 수입으로 생활하는 은퇴자 등은 수입이 늘어난다. 금리를 내릴 때

  • 커버스토리

    금리 오르면 예금자는 좋지만 대출자는 부담 커져요

    국내외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한국, 미국, 유럽 등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이 유지해 온 초(超)저금리 기조에서 벗어나 기준금리 인상에 나선 결과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가 내야 할 이자가 늘어날 뿐 아니라 예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금리 오르면 1400조 가계부채 문제 커져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채권시장의 대표 금리인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월 들어 연 2.2~2.3% 선을 오르내리고 있다. 지난해 초(연 1.6%대)보다 0.6~0.7%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작년에는 1억원을 빌리면 1년에 160만원 정도를 이자로 내면 됐지만 지금은 연 220만~230만원을 내야 한다는 의미다.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금리도 상승한다. 이렇게 되면 빚을 많이 진 가계(가정)의 부담이 커진다.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가계 빚은 약 1419조원에 달했다. 5년 전인 2012년 12월 말(963조7944억원)보다 450조원가량 불어났다. 과거 금리가 쌀 때 돈을 빌린 가계가 많았다는 의미다. 당시에는 저금리를 이용해 돈을 쉽게 빌릴 수 있었지만 금리가 올라가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만큼 이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국내 가계의 이자 부담이 1년에 2조3000억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가 소비에 쓸 수 있는 돈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은 물론 부채가 많은 가정은 부채상환이 시급해 진다. 정부가 가계부채 문제에 고심하는 이유다.금리가 높아지면 정부나 기업도 자금 조달에 애를 먹게 된다. 채권 발행 금리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갚겠다고 약

  • 커버스토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年 8회 기준금리 정해… 기준금리 오르면 은행 예금·대출금리도 따라 올라요

    돈을 빌리면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 그 대가가 이자다.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 비율이다. 이자율이라고도 한다. 쉽게 말해 금리는 돈의 값이다. 어떤 물건 가격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처럼 금리는 자금이 거래되는 시장(금융시장)에서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돈을 찾는 사람(수요)이 많으면 금리가 오르고, 시중에 풀린 돈(공급)이 많으면 금리가 내리는 식이다. 중앙은행은 각국의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조절해 시장 금리(시중금리)에 영향을 준다.지표 금리는 만기 3년 국채 금리금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다. 가계 저축, 기업 투자, 물가 수준, 국가 간 자금 이동도 금리에 영향을 받는다. 가령 금리가 오르면 저축이 늘어나지만 소비 여력은 줄어든다. 기업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난다. 금리를 통해 경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다.금리가 오르면 물가가 안정되고 해외자금이 고(高)금리를 노리고 국내로 들어와 자국 통화 가치가 뛰기도 한다. 금리는 사회 곳곳에 자금을 적절히 배분해주는 기능도 한다. 예컨대 은행 대출금리가 연 5%라고 치자. 이 금리로 돈을 빌려도 충분히 이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만 돈을 빌리게 된다. 즉 이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산업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가게 된다.금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각국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를 비롯해 시장에서 활용되는 대출금리, 예금금리 등이 대표적이다. 은행끼리 일시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거래할 때 쓰는 금리는 콜금리라고 한다.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국고채)에 붙는 금리는 시장금리를 재는 대표적 척도란 점에서 지표금리로 불린다.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