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네마노믹스

    5억 명의 '온라인 친구'를 얻었지만 1명 뿐인 절친을 적으로 만든 마크

    “100만달러보다 더 멋진 게 뭐게? 10억달러야.” 이 말 한마디에 마크는 숀에게 홀딱 빠진다. 광고를 유치해 수익을 내야 한다는 왈도의 제안은 무시한 채 마크는 숀의 제안대로 캘리포니아로 사업 중심을 옮긴다. “여름까지 100개 학교를 공략한다고? 난 2개 대륙을 공략할게.” 숀의 이 말은 현실이 된다. 페이스북은 순식간에 영국 등 해외 주요 학교로까지 발을 뻗친다.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마크가 빼앗...

  • 커버스토리

    돈이 많이 풀릴수록 물가도 오른다

    ‘생글생글 공화국’에 돈이 1억원만 발행됐다고 가정합시다. 생글생글 나라에 다른 것은 없고 똑같이 생긴 집이 10채만 있다고 또 가정합니다. 집 한 채 가격은 1000만원일 겁니다. 어느 날 생글 국가의 정부가 돈을 10억원으로 늘렸다고 합시다. 한 채 가격은 당연히 1억원으로 오를 겁니다. 집은 그대로인데 가격은 10배나 뛰었습니다. ‘돈 증가→가격 오름’ 과정, 즉 ‘통화량이 ...

  • 디지털 이코노미

    숫자가 정밀·객관적이라는 건 착각 잘못된 해석은 잘못된 의사결정 부를 수도

    숫자는 정밀하고, 객관적이라는 인상을 준다. 불확실함이 가득한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숫자에 끌리는 이유다. 과거 숫자를 사용하는 일은 누구에게나 허락된 영역은 아니었다. 대량의 데이터 수집과 저장은 노동집약적이고, 분석 과정은 어렵고 돈이 많이 드는 작업인 탓이었다. 하지만 전산화된 데이터베이스와 연산 도구가 대중에게 보급되면서 데이터 세상은 더 민주적으로 변했다. 숫자 중심 의사결정 1970년대 퍼스널컴퓨터의 발명이 그 시작이었다...

  • 경제공부가 이렇게 재밌었어?…대입 콘텐츠 여기 다 있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선 국어 영역이 특히 어려웠다는 수험생이 많았다. 올해뿐만 아니라 최근 수능에서 국어를 힘들어하는 학생이 많다. 문학 철학 경제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지문이 출제되는데 대부분의 학생에겐 주제 자체가 생소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시험 준비에 바쁜 수험생이 시간을 내 책을 읽기도 쉽지 않다. 한국경제신문사의 중고생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은 수험생의 이런 고민을 해결해줄 최적의 대안이다. ...

  • 수능 국어 킬러문항 '트리핀 딜레마'…생글에 나왔다

    한국경제신문사가 발행하는 중고생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이 대입문을 여는 데 도움을 주는 ‘헬퍼(helper)’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평소 생글생글을 꾸준히 읽은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와 사회탐구(경제), 대학별 논술 전형을 보다 쉽게 풀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생글생글은 2022학년도 수능 국어 비문학 영역에서 장점을 제대로 발휘했다. 이번 수능 국어엔 기축통화, ...

  • 한경 중고생 경제·논술신문 생글생글 확 달라졌습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발행하는 중·고교생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이 1일 홈페이지(sgsg.hankyung.com)와 지면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생글생글은 한경 베테랑 기자들의 시사·경제 이슈 해설과 현직 교사, 입시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최신 대입 정보를 전달하면서 국내 대표적인 청소년 경제·논술 신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달 치러진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는 생글생글이 지...

  • 커버스토리

    대입 황금열쇠 생글에 있다!

    “생글생글에 대학 입학의 길이 있다”는 설(說)은 ‘썰’일 뿐일까? 2022학년도 대입 시험에 생글생글이 다룬 내용이 여러 문제로 출제되자, “다시 보자, 생글” 입소문이 퍼지고 있다. 생글생글이 위력을 발휘한 곳은 3개 영역이다. 국어 비문학 지문, 사회탐구의 경제, 대학별 논술 전형. 이번 수능 국어에 출제된 비문학 지문(기축 통화, 트리핀 효과, 브레턴우즈 체제, 닉슨 쇼크...

  • 대입전략

    서울대·연세대 등 인기 약대 260 ~ 276점…일부지방 의·치·한의대 합격선 뛰어 넘을 듯

    올해 수능은 국어, 수학, 영어 모두 어렵게 출제되면서 불수능으로 평가받고 있다. 남은 기간 논술, 면접 등 수시 대학별고사에 최선을 다하면서 정시 지원 전략을 촘촘하게 세워야 할 때다. 올해 수능 가채점 기준 주요대 및 의약학계열 정시 지원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 서울대 약학 276점·연세대 약학 268점 예상 올해 수능은 국어, 수학 1등급 커트라인이 80점대로 예상될 정도로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어 1등급 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