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숫자로 읽는 세상
"美경제 골디락스 신호" vs "침체 불가피"
미국 월가에서 ‘골디락스(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 상황)’ 논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발단은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지표였다. 신규 고용이 예상보다 늘어난 반면 임금인상률은 전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절대적인 기준으로 물가는 높은 수준인 데다 쉽게 떨어지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 중앙은행(Fed)이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오랫동안 유지하면 경기 침체로...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추상적인 지문 내용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문제
비판적 합리주의는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의 관찰로부터 새로운 과학 이론이 비롯된다고 보았다. 이때 기존 과학 이론은 즉시 버려지고 기존 과학 이론을 수정하여 쓸 수는 없다. 과학자들은 기존 과학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사실이 발견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을 새로 수립하고, 가설을 시험할 수 있는 사례를 떠올린다. 만약 그러한 사례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그 가설은 잠정적 과학 이론의 지위를 부여받는다. 비판적 합리주의는...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가격하한제
[문제] A국 정부가 B재화에 대해 가격하한제를 시행해 효과가 나타났다고 한다. 이 제도의 영향과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생산자 잉여와 사회적 효율성 모두 증가한다. ② 소비자 잉여와 사회적 효율성 모두 감소한다. ③ 소비자 잉여는 감소하지만, 사회적 효율성은 증가한다. ④ 소비자 잉여는 증가하지만, 사회적 효율성은 감소한다. ⑤ 생산자 잉여는 감소하지만, 사회적 효율성은 증가한다. [해설] 가격하한제란 정부가 시장가격보...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월 16일 (782)
1.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 추정치보다 크게 낮아 투자자들에게 충격을 주는 상황을 뜻하는 말은? ①어닝 시즌 ②프리어닝 시즌 ③어닝 서프라이즈 ④어닝 쇼크 2. 매년 초 근로소득자의 급여에서 전년도에 원천징수된 세액의 과부족 여부를 따져 세금을 더 냈다면 환급하고, 덜 냈다면 더 부과하는 절차는? ①세액공제 ②유상증자 ③감가상각 ④연말정산 3. 한국의 ‘4대 보험’에 속하지 않는 것을 고르면? ①국민연금...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짧지만 심오하게 파고드는 시로 풍성해지는 마음
<시를 읽는 오후> 작가의 말은 ‘오랫동안 시를 잊고 살았다. 내가 시를 놓을 무렵에, 시가 나를 불렀다’로 시작한다. 바쁘게 지내다 보면 시인도 시를 잊는다지만 문득 ‘시를 읽어야 하는데…’라는 조바심이 들 때가 있다. 짧고 명료한 글로 복잡한 마음을 다스리면서 새롭게 전열을 가다듬고 싶기 때문이다. 최영미 시인은 ‘생의 길목에서 만난 마흔네 편의 시’라...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새해 첫날'과 '설'은 쓰임새 달라요
‘글쎄, 해님과 달님을 삼백예순다섯 개나/공짜로 받았지 뭡니까/그 위에 수없이 많은 별빛과 새소리와 구름과/그리고/꽃과 물소리와 바람과 풀벌레 소리들은/덤으로 받았지 뭡니까//이제, 또다시 삼백예순다섯 개의/새로운 해님과 달님을 공짜로 받을 차례입니다 … (하략)’ 굳이 제목을 말하지 않아도 새해를 맞는 시인의 소박한 마음이 잘 드러난다. ‘풀꽃’으로 유명한 나태주 시인의 시 ‘...
-
교양 기타
함민복 시인을 울린 우편배달부 아저씨
우표 함민복 판셈하고 고향 떠나던 날 마음 무거워 버스는 빨리 오지 않고 집으로 향하는 길만 자꾸 눈에서 흘러내려 두부처럼 마음 눌리고 있을 때 다가온 우편배달부 아저씨 또 무슨 빚 때문일까 턱, 숨 막힌 날 다방으로 데려가 차 한 잔 시켜주고 우리가 하는 일에도 기쁘고 슬픈 일이 있다며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린 나이에 또박또박 붙여오던 전신환 자네 부모만큼 고마웠다고 어딜 가든 무엇을 하든 열심히 살라고 손목 잡아주...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전환으로 완성되는 애덤 스미스의 가치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기업의 책임을 그 누구보다 먼저 강조했다. 경제학자이기 전에 18세기 스코틀랜드 출신 철학가였던 그는 “소비는 모든 생산의 유일한 목표이자 목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생산자의 이익은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존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기업의 이익은 언제나 소비자 이익 다음이라는 의미다. 초기의 자본주의 애덤 스미스가 기업의 이익보다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