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재정준칙' 왜 필요한가요…나랏빚 폭탄 막는 안전장치죠
나랏빚을 함부로 늘릴 수 없게 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31개월째 표류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가계나 기업처럼 수입보다 많은 돈을 쓰면 빚(국가채무)을 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국가채무가 1000조원을 넘었습니다. 이처럼 엄청난 빚은 결국 미래 세대의 짐이 됩니다. 경제에 부담을 주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세계 104개 국가가 나랏빚을 관리하려고 ‘재정준칙(fiscal rules)’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
-
테샛 공부합시다
경기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지요
한국 역사에서 가장 치열했던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가 영토 확장을 위해 물고 물리는 전쟁을 지속했지요. 그중 백제는 고구려, 신라에 비해 많은 변화를 겪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런지 한번 살펴볼까요? 국가도 경제도 흥망성쇠 반복 백제는 한강 유역의 한성을 수도로 해 근초고왕 시기 전성기를 맞았지만, 이후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에 지금의 공주인 웅진으로 수도를 옮기게 됐어요. 이 시기에는 정치적 갈등이 심했습니다. 성왕이 부여로 ...
-
영어 이야기
'brim with~'는 컵 끝까지 차오르는 모습이죠
[Night at Korean royal palace brims with stars and Gucci fashion] Gucci’s first Cruise collection show in Asia at Gyeongbokgung Palace underscores Seoul’s growing importance as a luxury market. Decorated with thousands of lights and fill...
-
롤러코스터 같은 주식시장
제65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스토리에선 주식시장이 움직이는 원리를 설명했습니다. 주가는 어떨 때 오르고 내리는지, 주식에 투자할 때는 어떤 점을 기억하고 주의해야 하는지 기초적인 내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고객 친화적 서비스 도입으로 경쟁력 있는 항공사를 일군 C.E. 울먼 델타항공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세종예술의전당에서 브레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공연을 관람하고 지휘자 및...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대한제국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재건…9월 일반 공개
대한제국 고종 즉위 40주년 기념 행사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됐고, 이후 대한제국기 외교를 위한 영빈관 및 알현관으로 사용됐던 덕수궁 돈덕전이 재건됐다. 돈덕전은 2017년 재건을 시작해 5년 만인 지난해 11월 공사가 마무리됐다. 일반에는 오는 9월 공개될 예정이다. 지난 22일 서울 덕수궁 돈덕전에서 열린 현판 제막식에서 최응천 문화재청장, 정성조 궁능유적본부장, 김종규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 등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최혁 한경닷컴 기자
-
경제 기타
인구 줄면 경기도 침체…로봇·AI로 생산성 높여야
요즘 한국의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하는데요.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는 단순히 노동력 부족이라는 문제뿐 아니라 많은 경제적 변화를 야기합니다. 수능에서 인구구조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지문이 언제든 나올 수 있습니다. 토론형 지문으로 나오는 게 일반적인 만큼 평소에 이슈를 둘러싼 여러 의견과 내용을 정리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베이비붐 세대란 세계적으로 1946~1964년 태어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베이비붐 세대)라고 합니다. 이들...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공유지의 비극
[문제] 공동목초지와 같이 소유권이 분명하지 않은 재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① 스미스 역설 ② 쿠즈네츠 곡선 ③ 피터팬 증후군 ④ 공유지의 비극 ⑤ 투키디데스 함정 [해설] 공유지의 비극은 공유자원은 재산권 및 소유권이 설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돼 고갈된다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공동으로 사용하는 목초지는 그곳에서 양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이 자기 가축에게 풀을 마구잡이로 뜯어먹도록 해 폐허로 변할 우려가...
-
과학과 놀자
지구에 산소 공급하지만 녹조현상 일으키기도
지구 초기 대기는 대부분 이산화탄소였다. 그러다 바닷속에서 광합성을 하는 원시 생명체가 등장했고, 에너지를 얻기 위해 광합성하고 남은 찌꺼기인 산소가 늘었다. 30억 년 전쯤 지구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남세균은 약 25억 년 전부터 지구를 뒤덮었고, 엄청난 양의 산소를 내뿜었다. 이 세균이 만든 산소는 바닷속에서 철과 만나 철이 대량 함유된 호상철광층을 형성했고, 엄청나게 많은 양의 산소가 소비되고도 남아 대기로 방출됐다. 그렇게 지구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