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접속용법 '-와/-나' 구별하기

    연초 금융가를 강타한 홍콩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폭락 사태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판매은행들이 손실 배상 절차를 시작했지만 배상 비율을 놓고 벌이는 줄다리기는 여전하다. 수익 상품 판매를 둘러싼 분쟁은 2008년 키코(KIKO) 사태, 2020년 라임·옵티머스 사건 등과도 닮은꼴임을 돌아보게 한다. 당시 상황을 전한 기사 한 대목이 이를 잘 보여준다. “잇따른 사모펀드 환매 사태로 100% 배상에 해당 은행 ...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총수요

    [문제] 한 나라의 총수요가 증가하는 요인을 아래에서 고르면? ㄱ. 정부가 재정지출을 늘린다. ㄴ. 중앙은행이 법정 지급준비율을 인하한다. ㄷ. 국내로 들여오는 외국 상품의 수입이 증가한다. ㄹ.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서 국공채를 매각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총수요(Y)는 C(소비), I(투자), G(정부지출), NX(순수출, 수출-수입)의 합으로 구성된다. 이 구성 요소...

  • 교양 기타

    윤동주 시인에게 이런 장난기가… [고두현의 아침 시편]

    만돌이 윤동주 만돌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다가 전봇대 있는 데서 돌짜기 다섯 개를 주웠습니다. 전봇대를 겨누고 돌 첫 개를 뿌렸습니다. -딱- 두 개째 뿌렸습니다. -아뿔싸- 세 개째 뿌렸습니다. -딱- 네 개째 뿌렸습니다. -아뿔싸- 다섯 개째 뿌렸습니다. -딱- 다섯 개에 세 개…… 그만하면 되었다. 내일 시험 다섯 문제에 세 문제만 하면─ 손꼽아 구구를 하여 봐도 허양 육십 점이다...

  • 경제 기타

    돈 빌리는 것도 능력…부채·자본, 무엇을 늘릴까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분주하다. 총선 이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정리 과정에서 회사채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른바 ‘4월 위기설’이다. 올해 들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시중자금이 회사채 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점도 회사채 카드를 꺼내 드는 기업이 늘어난 배경으로 꼽힌다. -2024년 4월 10일 자 한국경제신문- 지난 10일 치른 총선 이후 정부·정치...

  • 경제 기타

    대출과 예금 반복되면서 통화량 늘어나죠

    화폐에는 중앙은행이 발행한 지폐와 동전 외에도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이나 장기금융 상품도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도 한 나라에서 유통되는 화폐의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데, 시중은행의 이러한 역할은 예금창조라는 기능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번 주에는 시중은행의 기능과 화폐의 공급에서 예금창조가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내용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은행이라는 명칭에 대해 살펴보자. 시중은행은 ‘일반은행’이라...

  • 생글기자

    경제학·실물경제의 차이 올바로 이해해야

    교과서에 나오는 경제학을 공부하다 보면, 뉴스에서 접하는 경제와 많이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때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교과서 속 경제학은 실제 경제가 아닌, 경제에 기반한 학문이라는 사실이다. 경제학을 가리켜 ‘가정의 학문’이라고 할 만큼 경제학은 현실 경제를 정확히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경제학은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배우...

  • 숫자로 읽는 세상

    환율 어느새 1400원…경제 '시계 제로'

    이스라엘과 이란 간 전면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의 소비지표마저 예상을 뛰어넘는 수치가 나오자 원·달러 환율이 지난 16일 한때 1400원 선에 진입했다. 1990년 변동환율제도를 도입한 뒤 환율이 1400원대에 도달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하 시기가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면서 달러화 강세 현상이 나타난 결과다. 국제유가(브렌트유 기준)가 배럴당 90달러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이날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봄맞이 샤워하는 이순신 장군 동상

    지난 1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봄을 맞아 이순신 장군 동상을 세척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