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다"…전통 경제학 틀 깨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행동경제학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가 27일(현지 시간) 별세했다. 향년 90세. 카너먼 교수는 동료 아모스 트베르스키와 함께 “인간의 경제적 활동과 결정은 이성보다 본능에 좌우된다”는 연구로 인간을 ‘합리적 행위자’로 규정하던 기존 경제학 이론을 재편했다. 2002년 경제학에 심리학의 통찰력을 융합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
-
숫자로 읽는 세상
'반도체의 봄' 올라탄 수출…6개월째 플러스
지난달 수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3.1% 증가한 565억6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수입은 12.3% 감소한 522억8000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42억8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액이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며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지난달 수출액은 전년 동월보다 35.7% 증가한 11...
-
학습 길잡이 기타
정확한 예측 위해서는 표본 선정을 잘 해야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됩니다. 선거일 현재 18세 이상의 국민이 선거권을 지닌 만큼 고등학생 중 일부 학생은 이번에 첫 투표를 하게 될 것입니다.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TV나 신문 등 언론매체에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사회집단 구성원 속 여론의 동향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정치인이나 유권자가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런데 여론조사에서는 전체 구성원의 의견을...
-
대입전략
37개 대학이 1948명 선발…정시 비중 높아, 수능성적 반영 평균 비중도 87.5%에 달해
지난해 수시 일반전형에서 약대 평균 경쟁률은 39.1 대 1로 의약학계열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대는 31.1 대 1, 수의대 29.1 대 1, 한의대 25.3 대 1, 치대는 2.5.1 대 1이다. 정시 일반전형에서 약대 경쟁률은 8.3 대 1로 의약학계열 평균 경쟁률 7.5 대 1보다 높았다. 약대가 자연계열 최상위권 입시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2025학년도 약대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약대는 올해 37개 대학에서...
-
사진으로 보는 세상
흙으로 빚는 예술…서울특별시 기능경기대회
서울시는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서울공업고등학교 등 11곳에서 ‘2024 서울특별시 기능경기대회’를 열었다. 대회에는 시 관할 특성화고 학생, 산업체와 개인 참가자 등 426명의 선수가 참여해 자동차 정비, 산업용 드론 제어, 게임 개발 등 44개 분야에서 기량을 겨뤘다. 사진은 도자기 종목 출전자들이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
과학과 놀자
공 궤적·선수 키 등 반영…판정 정확도 99.9%
지난달 3월 23일, 2024년 프로야구가 개막했다. 올해는 특히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뛰던 류현진 선수가 친정 팀인 한화이글스로 복귀하면서 정규 리그가 시작되기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다. 그런데 올해 프로야구에 류현진 선수만큼 팬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자동투구판정시스템(ABS)'이다. ABS는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투구를 추적해 스트라이크와 볼을 자동으로 판정해주는 시스템이...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기준금리
[문제] A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0.5%로 0.25%p 인하했다. 이는 A국 역사상 최저 금리다. 이에 따른 경제적 현상을 추론한 내용 중 알맞은 것을 고르면?(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ㄱ. 가계 저축이 감소할 것이다. ㄴ. 기업 투자는 증가할 것이다. ㄷ. 외국 자금이 해외에서 A국으로 유입될 것이다. ① ㄱ ② ㄱ,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해설] 기준금리란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8일 (840)
1. 최근 당정에서 ‘이것’을 인하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재화·용역 가격의 10%가 붙는 이 세금은? ① 법인세 ② 소득세 ③ 주민세 ④ 부가가치세 2. 정부의 재정지출 확대가 기업의 투자 위축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승수효과 ② 구축효과 ③ 기저효과 ④ 풍선효과 3. 자국 수출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추는 국가를 일컫는 말은?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