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Restriction on Social Media, Will it Work?
Since its emergence, social media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our daily lives. Last year, over 5 billion people, approximately 63 per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accessed social media. Contrary to what people feared, the rise of social media ha...
-
역사 기타
"하늘 올라가 알라·예수 만났다"는 무함마드 승천설
200년 만에 3개 대륙에 걸친 제국을 건설한 이슬람 인생에서 행운은 보통 하나씩 온다. 반대로 불행은 하나만 달랑 오는 경우가 드물다. 보통 둘 셋이 겹치는데, 대부분의 인생은 이 대목에서 무너지거나 망가진다. 무함마드에게도 불행은 한꺼번에 찾아왔다. 그가 마흔아홉 살 무렵인 619년 아내인 카디자와 숙부인 아부 탈립이 연달아 사망한 것이다. 아내가 경제적·심리적으로 무함마드를 받쳐주었다면 숙부는 정치적 바람막이였다. 그가 주창...
-
영어 이야기
경영권 보호에 도움 주는 백기사 'white knight'
KCC, a paint and glass maker but better known as a white knight for South Korean conglomerates, holds more than 4 trillion won worth of shares in Samsung C&T, HD Korea Shipbuilding & Offshore Engineering and a silicon maker, together surpassi...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남은 기간, 국어·영어 독해력에 초점
오늘은 수험생 여러분이 공통으로 고민하는 몇 가지에 대해 답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먼저 시험을 망쳤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느냐입니다.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이 나와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후회는 그만, 과거는 잊고 현재와 미래에 집중해야 합니다. 세상에는 내가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지나간 시험 성적은 바꿀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일은...
-
대학 생글이 통신
면접관 입장에서 자신의 생기부 점검을
학생부 종합 전형을 준비하는 고3 학생들에게는 면접이라는 큰 산이 남아 있습니다. 제 경험을 바탕으로 생활기록부 기반 면접의 몇 가지 팁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은 면접에 임하는 태도입니다. 면접관에 대한 예의와 목소리 크기, 말하는 속도, 발음 등 기본적인 사항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여기에 더해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제스처입니다. 너무 과하지 않으면서 적절한 제스처를 활용하면 면접관의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고 조...
-
교양 기타
울지 못하는 닭과 나무로 만든 닭 [고두현의 아침 시편]
일찍 우는 닭 얻고 키우던 닭을 잡다 (得早鳴鷄烹家中舊鷄) 울지 못하는 놈 잡아먹고 잘 우는 놈 기르노니 울기만 잘해도 속이 뻥 뚫리도다. 밤하늘 은하수로는 새벽 알기 어렵고 바람결 종루로도 시각 다 알 수 없어라. 베갯머리 근심 걱정 자꾸만 기어들어 내 가슴 시름으로 편치 못하더니 이불 끼고 뒤척이며 잠들지 못할 적에 꼬끼오 첫닭 소리 듣기에도 반갑구나. * 성현(成俔, 1439~1504): 조선 초기 문신, 시인. 이 시...
-
대입전략
6월 모평 사탐 응시 14% 증가…과탐은 7% 감소…과목별 결시율·응시자 수 변화, 수능에 큰 '변수'
2025학년도 수시 선발에서 서울권 소재 대학은 수능 최저를 요구하지 않는 전형으로 3만579명을 뽑는다. 이는 수시 전체 선발 인원(4만7978명)의 63.7%다. 경인권에서도 수능 최저 없는 전형이 80.7%이고, 지방권에서는 77.1%다. 전국 평균으로는 수능 최저가 없는 전형이 75.3%, 최저가 있는 전형이 24.7%다. 대학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수능 전체 선발 인원의 76.3%를 수능 최저가 없는 전형으로 뽑고 연세대 35.9%,...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왕도 없는 토론과 논술, 좀 더 잘할 수 있는 비법은?
자신의 생각과 다른 글을 끝까지 잘 읽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식자와 석학의 진중한 설명이나 강좌라도 본인 판단과 다른 주장에 차분히 귀 기울이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언필칭 열린 마음, 객관적 수용 자세, 상대에 대한 존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사람에게는 누구나 편향성이 있다. 한국처럼 이성적 토론,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담론 체계, 개방적 대화가 부족한 극단적 대립의 사회에서는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진영 논리에 따른 일방적 주장이 넘쳐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