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도전!!! 생글생글 학생기자 100명 뽑습니다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국내 최고 중·고교 경제·논술 신문 생글생글(생각하기와 글쓰기)이 제14기 고교 생글기자와 제7기 중학생 생글기자를 선발합니다. 선발 인원은 100명으로 고교생 80명, 중학생 20명입니다. 생글기자는 중·고교생만이 참여할 수 있는 언론 활동입니다. 생글기자들은 학생기자로서 학교 소식과 지역 소식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 문제 등에 대한 글을 써 ...
-
과학 기타
세포막
세포 안과 밖의 경계로 세포를 둘러싸는 얇은 막을 ‘세포막(cell membrane)’이라고 한다. 세포막은 외부와의 물질 교환 등 주위 환경과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외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등 세포의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내부와 외부를 연결한다 유동 모자이크 모델에 의하면 “세포막의 주성분인 인지질은 친수성(親水性)인 머리와 소수성(疏水性)인 꼬리 부분을 동시에 갖고 있다. 머리 부분은...
-
진학 길잡이 기타
숙명여대, 논술 60%·교과 40%로 최종 선발… 수능최저는 일부 완화됐죠
숙명여대는 논술우수자전형으로 302명을 선발한다. 교과성적 40%, 논술성적 60%로 최종 합격생을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 기준 역시 충족시켜야 한다. 해마다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변화해왔는데, 올해에는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사탐을 선택하는 경우 두 과목 중 상위 1과목만 선택하여 반영한다는 점에서도 전년도에 비해 최저학력기준 충족 가능성이 높아진 것은 분명해 보인다. 숙명여대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은 다음과 같다. 내신 2~3등급...
-
테샛 공부합시다
영화 표값은 좌석 위치, 시간대에 따라 다르죠… 가격 차별은 순수 독점보다 생산량 늘지만 '파레토 개선'은 아니에요
CGV는 영화관 관람료를 좌석·시간대별로 세분화해 적용하고 있다. 상영관 좌석별로 관람 환경을 분석해 위치에 따라 이코노미존, 스탠다드존, 프라임존으로 구분해 가격을 차등화했다. 스탠다드존을 기준 가격으로 이코노미존은 1000원 낮게, 프라임존은 1000원 높게 잡았다. 또 주중에도 상영 시간대별로 가격을 4개 구간에서 6개 구간으로 나눠 다르게 책정했다. 이렇듯 현실 세계에서 시장 지배력을 지닌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
진로 길잡이 기타
카드대금 연체채권
연체 채권 관리란? 카드회사는 회원의 신용카드 사용금액을 결제일에 회수하려 한다. 즉 신용카드사와 회원 사이에 채권·채무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회원이 사용 대금을 지정한 결제일에 내지 못하면 회원으로선 ‘연체’가 되고, 카드사로선 ‘연체 채권’이 된다. 따라서 카드사는 연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연체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캠프는 여름방학에도 열려요~
경제학과를 희망해서 평소 한경 생글생글을 보면서 경제 NIE를 하고 있다. 마침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경제캠프를 연다고 해서 즉시 신청했다. 그리고 떨리는 마음으로 갔는데, 나는 개인으로 왔지만 단체로 온 친구가 정말 많았다. 평소 주변에 경제에 관심 있는 친구가 많이 없었는데 와보니 또래 친구들의 열기를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가장 기억에 남는 강의는 미시경제학이다. 사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원리를 학교에서 배울 때는 단기곡선밖에 배우지 않...
-
생글기자
동성애로 인해 불거지는 다양한 문제점들
동성애가 처음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한 이후로 수십 년 동안 이에 대한 찬반 문제는 꾸준한 논쟁거리였다. 사랑은 이성 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했던 시절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시선은 당연히 곱지 않았다. 이런 의식을 타파하기 위해 많은 동성애자들 및 인권 운동가들이 대중에 다양한 방법으로 호소해왔고, 그 덕에 현재 인식은 과거와는 많이 바뀐 편이다. 다만 최근 들어서 달라진 것은 동성애의 또 다른 문제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동성끼리의 사...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지나친 낙관론으로 북한 문제 접근하는 것은 경계해야죠
[사설] 南·北·美 관계도, 경제현실도 '보고 싶은 것'만 봐선 안 된다 한때 성사 가능성이 불투명해졌던 미국과 북한 정상회담이 다시 개최 모드로 바뀌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4·27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 두 번째로 그제 김정은과 만났고, 이에 대해 미국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며 회담 준비 사실을 확인했다. 앞서 미국은 미·북 회담의 취소 메시지를 내놨으나, 회담을 원한다는 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