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대학 생글이 통신
답을 찾아가는 '질문 노트'의 중요성
제가 중학교 시절부터 만들기 시작해 대학생이 된 지금까지 유용하게 쓰고 있는 ‘질문 노트’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저는 중고등학교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요약 정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후 자습시간을 이용해 따로 공부하다 보면 궁금증이 생기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수업 시간에 분명 이해했다고 생각했지만, 혼자 다시 공부할 때 정확한 내용을 설명하기 어려운 게 있었습니다. 다른 과목의 개념과 연계해 이해했을 때 두 내용이 충돌하고 혼란스러워 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이때 저는 전 과목 ‘질문 노트’를 만들어 저를 혼란스럽게 하는 개념 또는 문제를 기록해두었습니다. 그러고는 틈틈이 질문 노트의 내용을 다시 보며 혹여 놓친 개념 탓에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은 아닌지 충분히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하루에서 이틀 정도 혼자 힘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범위에서는 최대한 고민해보고,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다음 수업 시간에 선생님께 질문을 드리며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거쳤습니다.스스로 해결한 문제일지라도 혼자 생각하고 정리해본 풀이 과정과 개념이 옳은지 선생님께 여쭤보고 피드백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것들을 모으고 다시 나만의 언어로 정리해 만든 노트는 독일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가 연구한 망각곡선에서 권장하는 복습 주기 또는 개인에게 적합한 복습 주기에 맞춰 다시 보는 습관을 들였습니다. 시험 전에는 전체적으로 다시 읽어보는 시간을 꼭 가졌습니다.헷갈렸던 개념이나 문제가 수록된 교과서나 참고서의 해당 면에는 질문 노트의 쪽수를 적어두고, 질문 노트에는 교과서와 참고서의 쪽수를 적어놓음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달 뒷면 샘플 세계 첫 채취…中 ‘창어 6호’ 귀환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한 중국 우주탐사선 ‘창어(嫦娥, 달의 여신 항아) 6호’가 53일 동안의 임무를 마치고 지난달 25일 지구로 복귀했다. 창어 6호가 가져온 달 뒷면 토양·암석 샘플은 달의 기원과 구조 등을 파악하는 연구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
역사 기타
분쟁의 역사엔 반드시 호전적 인물이 있었다
인간은 왜 전쟁할까. ‘그 책’을 읽기 전까지는 인간이 전쟁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별 이득도 없는데 그 일을 반복해서 한다면 그건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말 말고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꽤 괜찮은 전쟁 서적인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도 이런 표현이 등장한다. “전쟁이 그다지 싫지 않은 젊은이들.” 체험은 없고 기억은 영광에만 집중된, 전쟁 다음 세대가 팔다리가 떨어져나가는 고통과 어미들의 탄식이 잊힐 무렵 기꺼이 전쟁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분쟁의 역사를 꼼꼼히 들여다보면 공통점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거기에는 반드시 호전적인 인물이 등장한다는 사실이다.이들은 세상의 질서를 바꾸는 것이 인생의 목표이며 교묘한 선동으로 그가 바꾸려는 질서가 얼마나 이익인지를 ‘희망’이라는 단어로 포장한다. 물론 이들은 옆집 김 씨나 회사 박 부장 같은 범인(凡人)이 아니다. 대부분 정치가와 군인이 직업인 이들은 인간을 지배하는 일에 쾌감을 느끼는 야심가들이다. 그럼 남자만? 야심이 성별을 가려가며 깃들 리 없다. 원폭 실험을 강행한 인도 총리도, 중동전쟁에서 한때 원자폭탄 사용을 결정한 이스라엘 총리도, 포클랜드전쟁을 강행한 영국 총리도 모두 여자였다. 이 야심가들에게는 성별도, 나이도, 국적도 큰 의미가 없다. 이들은 모두 ‘전쟁형 인간’이다. 그리고 이들이 벌인 전쟁은 전부 ‘개인적 의지’가 발휘된 결과였다. 이게 ‘그 책’이 설명하는 인간이 전쟁하는 이유다. 자, 그럼 실전 문제. 한국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간단하다. 김일성의 의지다. 그의 개인적 의지가 3년 1개월 동안 한반도를 피비린내에 잠기게
-
생글기자
낮은 청소년 행복지수, 생각해볼 문제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65.1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3년 연속 최하위권이다. 실제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학생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심심찮게 일어난다.우리 사회에는 성공만 추구하는 성공 지상주의가 팽배해 있다.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 누구와 어떤 인맥을 갖고 있는지가 무척이나 중요하다. 한정된 명문대에 들어가기 위해 몇백 배, 몇천 배에 달하는 학생들이 경쟁을 벌인다. 친구들마저 경쟁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명문 학교 입학을 위한 기회가 1년에 단 한 차례만 주어진다는 현실 또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키운다.내가 학교에서 직접 실시해본 설문조사에서 ‘당신이 생각하기에 행복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한 학생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누려야 하지만, 슬프게도 사람들은 방법을 몰라 잘 못 느끼는 감정”이라고 답했다. 행복은 어떤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수치로도 평가하기 어렵다. 행복은 그저 존재하는 것 자체만으로 자신이 가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삶의 동기부여이자 목표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또한 마음 한편에 ‘행복’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누릴 권리가 있다. 한국 사회는 청소년에게 그런 행복을 찾아가는 방법을 알려주고 최고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할 의무가 있다. 학벌 중심의 사회가 아닌,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른 생활을 하며, 국민 모두가 행복해하는 대한민국 사회를 기대해본다.김도경 생글기자(대원국제중 3학년)
-
경제 기타
불황기엔 통화량 늘려도 이자율 하락하지 않아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확장적 통화정책을 실시하면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늘며 이자율이 하락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업의 투자가 늘며 총수요가 증가되므로 총공급이 늘어나게 되어 경기가 회복된다. 따라서 통화정책을 통해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화폐 공급량이 증가된 이후에 이자율이 반드시 하락해야 한다. 그러나 경제가 이자율이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에 빠져 있는 상황이라면 확장적 통화정책을 실시해도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번 주에는 유동성 함정에 대해 살펴보자.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명목이자율로 구분된다. 명목이자율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시중 이자율로, 저축을 했다가 이자를 받게 되는 시점에서 물가가 상승해서 받는 이자까지 모두 이자로 보는 개념이다. 이에 비해 실질이자율은 받은 이자에서 물가가 상승한 부분을 차감 후 실제 순수하게 수령한 이자만으로 계산된 이자율이다. 따라서 명목이자율에서 저축 기간의 물가상승률을 차감하면 저축을 통해 실제 받게 되는 실질이자율을 구할 수 있다. 물가가 많이 상승하면 실질이자율은 음수가 될 수 있지만, 물가상승률을 포함시키는 명목이자율은 0 이하로 낮아질 수 없다. 명목이자율이 0이 되면 사람들은 금융기관에 돈을 예치해도 이자를 전혀 받지 못하게 되므로 금융기관에 여유자금을 예치하지 않고 화폐로 보유하게 된다. 금융기관에 돈을 예치하기 위해서는 금융기관을 방문한다거나 통장을 개설하는 등의 암묵적 비용도 들게 되므로 명목이자율이 0까지 낮아지지 않아도 사람들이 더 이상 금융기관에 여유자금을 예치하지 않을 수 있다.이처럼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변별력 높은 '조건부확률' 개념 정리 잘해야
조건부확률은 확률의 독립과 종속 및 확률의 곱셈정리를 완성하는 이론으로서 확률 단원의 전반적인 개념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좋은 주제다. 2024학년도에는 출제 빈도가 높지 않았지만 2025학년도에는 고려대 논술 전형이 신설되고, 연세대도 과학논술이 폐지되면서 수학 문항 수가 늘어나는 등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여전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상위권 대학 수리논술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조건부확률의 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하고, 최근 출제된 대학들의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아야 한다.(아래 표 참조) ▶ 조건부확률 출제 대비 포인트 ◀1. 확률의 이론을 포괄적으로 정리할 것.- 사건의 독립과 종속, 확률의 덧셈정리, 확률의 곱셈정리2. 출제가 높은 특정한 예시 상황을 잘 정리할 것.- 질병 진단 검사의 정확도 판단 문제, 불량품 판정 확률 문제 등.3. 위 표의 대학별 조건부확률 출제 문항을 반복해서 풀이할 것.
-
과학과 놀자
공룡은 파충류보다 조류에 가까워…깃털 화석도 발견
티라노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등. 어릴 때 '공룡 박사'가 되어 어려운 공룡의 이름을 술술 외워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공룡은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하고 강력했지만, 이미 멸종됐기에 호기심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늘 인기가 많다. 올해는 공룡 연구가 시작된 지 200년이 되는 해다. 공룡 연구는 그동안 어떻게 발전해왔을까.공룡 화석은 수천 년간 발견됐지만, 당시에는 화석이 살아 있는 유기체의 잔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다 17세기부터 비교해부학과 고생물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화석이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화석 발굴이 시작되면서 거대한 뼈와 이빨을 가진 화석들이 발견됐다. 그런데 이 화석들은 지구에 사는 동물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컸기에, 과학자들은 화석의 정체가 무엇인지 고심했다.1824년, 영국의 지질학자 윌리엄 버클랜드가 처음으로 공룡 화석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이 화석의 주인공이 멸종한 거대 도마뱀일 것이라 추정하고, ‘메갈로사우르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최초의 공룡 연구가 시작된 순간이었다. 이후 사람들은 이 거대한 화석들의 주인공이 멸종된 거대 파충류라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1842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이 이 거대 파충류에게 ‘무서운 도마뱀’이라는 뜻의 ‘공룡’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이후 1858년, 미국 뉴저지주에서 하드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의 공룡 화석이 발견됐다. 이 화석은 골격이 거의 완전히 보존된 상태였는데, 과학자들은 이 화석을 연구하며 공룡이 두 발로 걷는 동물이었음을
-
영어 이야기
2위 입상자 또는 차점자를 말할 땐 'runner-up'
South Korea, home to the world’s two largest memory chipmakers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has unveiled a record 26 trillion won ($19 billion) state support program for the country’s semiconductor industry.The support program exceeds plans suggested by Finance Minister Choi Sang-mok earlier this month when he said the government targeted more than 10 trillion won in support for chip investments and research.Under the latest plan, announced at an economy-related ministers’ meeting presided over by President Yoon Suk Yeol, the government is set to provide 17 trillion won in financial aid through the state-run Korea Development Bank to domestic chipmakers.Although Samsung is the world’s largest maker of memory chips, including DRAM and NAND, it is a distant runner-up in the foundry business that manufactures chips for fabless companies to dominant player Taiwan’s TSMC.세계 양대 메모리칩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보유한 한국은 국내 반도체 산업 지원 금액으로는 사상 최대인 26조원(190억 달러)을 지원하기로 했다.이번에 나온 금융 지원 계획은 이달 초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이 반도체 투자 연구를 돕기 위해 정부가 10조원 이상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금액을 초과한다.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국내 반도체 산업 지원 계획에 따라 정부는 산업은행을 통해 17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하기로 했다. 삼성은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분야에서 세계 최대의 반도체 회사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제조 시설이 없는 팹리스 회사에 반도체를 만들어주는 사업) 시장에서는 대만 TSMC에 많이 뒤처진 2위를 달리고 있다. 해설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미국·중국·일본·유럽연합 등 경쟁국들은 세금 혜택이나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