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숫자로 읽는 세상

    "자사고 유지 힘들어"…이대부고도 일반고 전환

    이화여대 사범대학 부속 이화금란고(이대부고·사진)가 일반고로 전환하기 위해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 취소를 신청했다. 서울에서 자발적으로 자사고 취소를 신청한 11번째 사례다. 서울교육청은 이대부고가 올해 5월 30일 자사고 지정 취소 신청서를 제출해 지정 취소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서울교육청은 지정·운영위원회 청문 절차가 끝나는 대로 교육부에 동의를 신청할 예정이다. 동의 절차가 끝나면 이대부고는 당장 내년도 신입생부터 일반고로 신입생을 받는다.이대부고가 일반고로 전환되면 서울 내 자발적으로 자사고를 신청한 11번째 학교가 된다. 2012년 동양고, 2013년 용문고, 2016년 미림여고·우신고, 2019년 대성고, 2020년 경문고, 2022년 동성고·숭문고·한가람고, 2023년 장훈고가 일반고로 전환했다.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은 학령인구 감소 영향이 크다. 자사고는 등록금으로 학교를 운영하는데, 학생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운영 환경이 크게 악화하고 있다. 실제로 작년 서울 16개 자사고의 입학 경쟁률은 1.34 대 1로 전년(1.45 대 1) 대비 낮아졌다. 자사고가 일반고로 전환할 경우 2년간 총 25억원(교육부 15억원·교육청 1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당장 내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의 영향도 있다. 기존 자사고의 장점은 자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내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시작되면서 일반고에서도 다양한 교육이 가능해졌다. 이대부고 역시 일반고로 전환해 학교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이혜인 한국경제신문 기자

  • 과학과 놀자

    새끼 돌보느라 예민해진 까마귀, 공격성 강해져

    거장 영화감독이 뽑는 거장 영화감독, 앨프리드 히치콕! 그의 대표적 영화 작품 중 하나인 <새> 에서 새는 사람들을 공격하는 공포스러운 존재로 등장한다. 떼로 몰려와 마을을 습격하는데, 뾰족한 부리로 사람들을 공격하고 영화 말미에는 이로 인해 사람들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이런 비슷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까마귀들이 사람들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전깃줄 위에 앉아 있던 까마귀, 지나가는 행인을 향해 전속력으로 다가가 머리를 툭 친다.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된다. 행인은 정체 모를 공격에 당황하지만, 까마귀의 짓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당황한다.전국 곳곳에서 까마귀의 공격을 받았다는 제보 영상이 이어지고 있다. 멧돼지나 고라니 같은 동물들이 마을로 내려와 논밭을 헤집어놓거나 사람을 공격하는 일이 종종 있었으나, 새가 사람을 해친다는 생경한 일에 사람들은 당황했다. 동시에 히치콕 영화 <새>가 연상되며, 큰 공포를 느낀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현재 도심에서 사고를 치고 있는 까마귀는 ‘큰부리까마귀’종이다. 큰부리까마귀는 전국에서 번식하는 흔한 텃새로, 주로 도심에서 생활한다. 몸길이는 약 57cm로 꽤 큰 편이고, 몸 전체가 검은색이라 제법 눈에 띈다.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는데, 한라산에서 등산객의 음식이나 물건을 빼앗는 전적으로 악명 높다.그런데 유해종도 아닌 큰부리까마귀가 왜 사람들을 공격하고 있는 걸까? 전문가들은 번식기를 맞은 까마귀들이 예민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큰부리까마귀는 주로 3~6월에 둥지를 옮기고 번식을 한다. 이때 육아에 전념하게 되는데, 새끼가 부모의 도움

  • 영어 이야기

    해외 생산 시설, 다시 국내로 들여올 땐 'reshoring'

    Smart factories are driving South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reshore overseas plants. Their digital manufacturing system leads them to move their overseas production back home.A smart factory integrates th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processes including planning, desig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al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to manufacture at the minimum costs and time.The digitalized facility cut production costs by an average of 15.5%, raising productivity and quality by 28.5% and 42.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Companies with the plants added 2.6 employees on average and reduced industrial accidents by 6.2%.Installations of robots improved the workplace environment, reducing accidents such as hand and foot entrapment, as well as musculoskeletal diseases of employees.스마트 공장이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 공장 리쇼어링을 촉진시키고 있다. 생산시설이 디지털화 됨에 따라 해외에 있는 생산시설을 본국으로 이전시키고 있는 것이다.스마트 공장은 상품의 기획·설계·생산·유통·판매 등 전 과정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결합해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생산하는 공장을 말한다.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디지털화 시설을 통해 평균 15.5% 생산 비용이 절감됐으며 생산성은 28.5%, 품질은 42.5% 각각 향상됐다. 스마트 공장 시설을 갖춘 기업은 평균 2.6명의 직원을 추가로 고용하고 산업재해를 6.2% 감소시켰다.로봇 도입으로 작업 환경이 개선되어 손·발 끼임 등의 사고는 물론 직원의 근골격계 질환도 줄었다. 해설‘리쇼어링(reshoring)’이라는 단어는 자주 쓰이는 경제용어입니다. shore는 강·바다와 맞닿아 있는 ‘해안가, 물가’라는 뜻인데, ‘다시’라는 뜻의 접두

  • 생글기자

    여름마다 오는 장마, 평균 지속 기간과 강수량은?

    장마철이라 비가 내리는 날이 많다. 장마전선은 이미 6월부터 발달해 중국과 일본에 많은 비를 뿌렸고, 점차 북상해 6월 말부터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매년 여름 찾아오는 장마는 평균적으로 얼마나 지속됐으며, 장마전선은 어떤 원리로 생겨나고 소멸하는 것일까.최근 5년 사이 장마철에 가장 많은 비가 내린 해는 2020년이었다. 전국적으로 평균 28.5일간 696.5mm의 비가 내렸다. 장마는 평균 31~32일간 지속되며 이 중 18일에 비가 내린다. 평균 강수량은 중부지방이 378.3mm로 가장 많았다.장마라고 해서 늘 장대비가 내리는 것은 아니다.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시간당 강수량이 30mm를 넘은 날은 평균 0.7일에 불과했다. 2021년엔 집중호우가 내린 날이 평년보다 많았는데, 그해에도 2.3일밖에 안 됐다.장마전선은 크게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지역에 머무르는 정체전선의 일종이다. 정체전선은 세력이 비슷한 난전선과 한랭전선이 만나 생성된다.정체전선은 다른 전선에 비해 오랫동안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주로 남북 방향으로 이동해 위아래로 긴 형태인 우리나라를 지날 때 전국에 비를 뿌리게 된다. 다만, 정체전선도 몇 달에 걸쳐 한 지역에 머물지는 않는다. 장마전선은 2~3주간 비를 뿌리고 나면 이동한다.장마전선이 지나간 뒤에는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벌써 7월 중순이다. 이내 찾아올 선선한 가을을 기다리며 여름방학을 알차게 보내자.김송현 생글기자(신반포중 3학년)

  • 경제·금융 상식 퀴즈

    7월 15일 (854)

    1. 증시에서 거래가 얼마나 활발한지 보여주는 지표다. 일정 기간의 거래량을 상장주식 수로 나눈 값은?① 주가수익비율 ② 주가순자산비율 ③ 자기자본이익률 ④ 상장주식회전율2. 이 나라 총선에서 14년 만에 노동당이 보수당을 이기고 정권교체를 이뤘다. 수도는 런던, 화폐는 파운드를 쓰는 이곳은?① 프랑스 ② 영국③ 이탈리아 ④ 스웨덴3. 경기 동향 지표인 ‘구매관리자지수’와 기업 인수합병(M&A) 이후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 작업인 ‘인수 후 통합’의 공통 약어는?① CPA ② CPI ③ PCE ④ PMI4.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의 압도적 점유율을 바탕으로 미국 증시 시가총액 ‘빅 3’로 성장한 기업은?① 브로드컴 ② 세일즈포스③ 엔비디아 ④ 테슬라5. 시멘트의 주재료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가격이 급등락해 국내 건설 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준 원자재는?① 유연탄 ② 철광석 ③ 리튬 ④ 니켈6. 올 들어 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 목적은 무엇일까?① 리쇼어링 촉진 ② 국내 증시 활성화③ 보편적 증세 ④ 세수 증대7. 현대자동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공장이 이 나라에서 지난 3일 가동을 시작했다. 세계 1위 니켈 생산국인 이곳은?① 인도네시아 ② 인도③ 멕시코 ④ 아르헨티나8. 기업에 안정적 수익을 가져다주는 ‘현금 창출원’을 가리키는 말은?① 오픈소스 ② 카르텔③ 정크본드 ④ 캐시카우▶정답 : 1 ④  2 ② 3 ④ 4 ③ 5 ① 6 ② 7 ① 8 ④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외딴섬에 초대된 열 명의 손님, 한 명씩 사라진다

    더위를 쫓는 여러 방법 가운데 하나로 ‘추리소설 읽기’도 빠지지 않는다. 영국 작가 애거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공포와 함께 과연 누가 악마일까, 추리하느라 더위를 느낄 겨를이 없다. 이 소설은 다양한 기록을 갖고 있다. 1939년 출간 이래 1억 부 이상 팔리면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미스터리 소설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세계 3대 추리소설 중 하나이자, 여러 차례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된 최고의 미스터리로 꼽힌다. 작가 자신이 뽑은 ‘제일 좋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추리소설의 여왕’으로 불리는 애거사 크리스티는 장편 66권, 단편집 20권을 남겼는데 대부분이 수작이라는 점에서 놀라움을 안겨준다. 실제적인 캐릭터로 충격적 결말을 만드는 데 능란한 천재여서 가능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이다.<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는 만난 적 없는 오웬이라는 사람으로부터 각기 다른 직업인 10명이 병점섬으로 초대받으면서 일어나는 10건의 살인사건이 주를 이룬다. 잘 아는 사람으로부터 연락받거나, 거절할 수 없는 묘한 제안으로 인해 사람들은 이상함을 느끼면서도 병점섬의 현대식 별장에 도착한다. 벽에 걸린, 열 꼬마 병정이 차례로 사라지는 내용의 시를 읽으면서도 다들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들키지 않은 살인사건10명이 다 모였을 때 ‘아무런 경고도 없이 폐부를 찌르는 비인간적인 목소리’가 축음기에서 울려 퍼진다.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죄목으로 기소된 죄인들입니다”로 시작해 한 사람 한 사람의 죄를 지적한다. 어떤 사람을 죽였거나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10개의 죄가 낭독된 후 “법정에 선 피고 여러

  • 경제 기타

    1% 부자에 매기는 종부세…세입자에게도 전가된다

    “나도 종합부동산세 내고 싶다.”종부세가 이슈가 될 때마다 여기저기에서 나오는 소리다. 2023년분 종부세 납부 대상자는 49만5193명. 대한민국 상위 1% 수준의 부동산 보유자가 내는 세금이니, 그 세금 나도 내고 싶다는 얘기가 나올 만도 하다. 그런데 훨씬 많은 사람이 알게 모르게 종부세를 내고 있다. 종부세를 납부하고 싶다는 사람 중에 이미 종부세를 낸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어떻게 된 걸까.아이스크림에 세금을 매기면?일찌감치 시작된 폭염에 아이스크림 판매가 늘어났을 것이다. 정부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아이스크림에 세금을 매기기로 했다고 치자. 아이스크림을 사 먹는 소비자보다 아이스크림을 팔아 돈을 번 기업이 세금을 내도록 하는 게 아무래도 좋을 것이다.아이스크림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가격은 2000원이고, 정부는 기업이 아이스크림 한 개를 판매할 때마다 세금 500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가정하자. 이제 아이스크림의 공급 곡선은 위쪽으로 500원만큼 이동한다. 즉 아이스크림 공급이 감소한다.공급이 줄었으니 가격은 오른다. 세금 부과 후 아이스크림의 새로운 균형가격은 2300원이 됐다. 여기서 50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한다. 이제 기업이 아이스크림 한 개를 팔아서 버는 돈은 1800원으로 줄었다.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아이스크림 한 개에 500원을 세금으로 냈는데 기업이 버는 돈은 200원밖에 줄지 않았다. 그럼 나머지 300원은? 이 300원은 소비자가 부담했다. 2000원이던 아이스크림 가격이 세금 부과 후 2300원으로 올랐으니 소비자도 세금으로 300원을 낸 셈이다. 정부가 기업에 매긴 세금 500원 중 200원만 기업이 내고 300원은 소비자에게 전가된 것이다. 이렇게 세금이

  • 중앙은행 무용론 왜 나오나

    제856호 생글생글 커버스토리 주제는 ‘중앙은행 무용론’이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하와 관련해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여 혼란을 주고 있다. Fed가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혼란만 초래하면서 중앙은행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무엇이며 중앙은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정리했다. 시사 이슈 찬반 토론에선 서울 광화문광장 국기 게양대 설치에 대한 찬반 주장을 살펴봤다. 대입 전략 코너에선 6월 모의고사를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