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헌재의 낙태 허용 결정, 낙태 남용 방지대책이 필요하다

    낙태에 대해 우리 사회에는 그동안 첨예한 찬반 논란이 있어 왔다. 낙태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태아는 수정되는 시점부터 존엄한 인간이며 낙태는 자신을 방어할 능력이 없는 존재인 태아의 기본생명권을 부정하는 것으로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행위”라고 강조한다. 찬성하는 측은 “낙태를 금지하는 것은 임신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고 태아의 생명 보호라는 공익에 대해서만 절대적인 우위를 부여하고 있다&rdqu...

  • 생글기자

    선생님, 배움의 즐거움을 깨우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쪽’에서 나온 물감이 오히려 원래의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인 청출어람(靑出於藍)은 스승에게 배운 제자의 실력이나 학문이 스승을 능가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청출어람은 교육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이 느끼는 보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고사성어가 아닐까 싶다. 올 5월 15일은 제38회 ‘스승의 날’이었다. 스승의 날은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해 교원의 사기와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0일 <633>

    1. 올초 400만원 수준이던 ‘이것’의 국내 시세가 최근 두 배 이상 급등했다.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의 대표 격인 이것은? ①리밸런싱 ②하드포크 ③제로페이 ④비트코인 2. 물가 상승, 경제 규모 확대 등으로 가격을 표시하는 숫자의 자릿수가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해 단행되는 조치는? ①리모델링 ②리디노미네이션 ③리쇼어링 ④리커플링 3. 100을 넘으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나쁘게 보는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14>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생글기자

    '우리들의 영웅'이 일그러지지 않기를

    한류(韓流)는 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에서 일기 시작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을 일컫는다. 1996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된 것이 시초격이다. 2년쯤 뒤에는 한국 가요가 알려지면서 한국의 대중문화는 중국 대만 일본 등을 중심으로 아시아에 빠르게 전파됐다. 2000년대 들어 이른바 K팝은 한국 음악을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 널리 알렸다. 조직적인 율동과 화려한 퍼포먼스는 세계인을 매혹시켰고, 아시아 변방의 작은 분단국가 대한민국은 이...

  • 생글기자

    우리사회에서 확산되는 '아동혐오'를 경계하며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장난을 좋아했던 나는 형을 크게 다치게 한 적이 있다. 형이 간지럼을 태우자 나는 주먹을 크게 휘둘러 실수로 얼굴을 때렸다. 안경을 썼던 형의 얼굴에는 오랫동안 남을 상처가 생겼고, 입술은 터져 있었다. 장난을 곁에서 지켜보고 있던 부모님에게 형은 웃으면서 괜찮다고 말했고, 나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전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나는 형의 얼굴을 볼 때마다 죄책감에 시달렸고, 항상 미안했다. 형의 상처는 최근에서야 다 아물었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13일 <632>

    1. 다음 중 경기가 안 좋아지거나 침체된 상황과 거리가 가장 먼 단어를 하나 고르면? ① 스태그플레이션 ② R의 공포 ③ 더블 딥 ④ 골디락스 2. 대만 총통 선거 출마를 선언한 궈타이밍 훙하이그룹 회장이 보유한 업체로, 아이폰을 제조하는 생산기지로 유명한 이곳은? ① 디디추싱 ② 폭스콘 ③ 알리바바 ④ 더우인 3. 법률이나 정책에서 허용되는 것들만 나열한 뒤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 경직된 규제 방식을 뜻하...

  • 생글기자

    중·고생의 다양한 체험학습은 더 늘어나야

    수학능력시험이 끝나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떠났을 10대 마지막 추억 여행이 어른들의 안전불감증으로 다시 한번 눈물로 얼룩지고 말았다. 강릉 펜션 사고 후 유은혜 교육부 장관은 각 학교에 개인체험학습 운영현황 조사를 지시했다. 교사에게 강릉 펜션사고의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지만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봤을 때 각 학교에서는 개인체험학습에 대해서 이전보다 더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지시다. 수능 후 고3 교실이 통제불능이라는 문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