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글기자
교육의 진정한 의미를 되돌아 보자
입시 공정성을 고려한 정시 확대와 2025년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외국어고, 국제고,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 발표는 현재 대한민국 학생과 학부모 사이에서 가장 큰 이슈다. 정책 당국은 이런 교육정책 변화가 대학 입시를 보다 공정하게 하고 대한민국의 지나친 교육열과 학생 간의 경쟁 심리를 완화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정시 확대 제도와 특목고,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이 정말 대한민국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인 혁신으로 다가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25일 (654)
1. 모디노믹스, 뉴델리, 루피에서 공통적으로 연상되는 나라는? ①싱가포르 ②인도 ③멕시코 ④남아프리카공화국 2. 한국 원화와 직거래 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통화 환율을 계산할 때 달러화를 기준 삼아 간접적으로 계산한 환율을 뜻하는 말은? ①재정환율 ②고정환율 ③변동환율 ④실효환율 3. 부동산과 관련된 세금은 크게 ‘거래세’와 ‘보유세’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부동산 거래세로 볼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535)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생글기자
자사고·특목고 폐지는 교육평등을 위한 정책이 아니다
교육부가 2025년부터 전국에 있는 총 79개의 자사고·외고·국제고를 일괄 폐지하고, 전국 단위 전형 49개의 일반고를 지역 모집으로 전환한다. 교육부 장관은 고교 진학부터 대학 입시까지의 불공정성을 없애기 위해 복잡한 고교체계를 단순히 바꾸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러나 자사고·특목고 폐지는 고등교육을 하향 평준화시킨다. 자사고 및 특목고는 우수한 인재를 육성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립됐다. ...
-
생글기자
수학과 과학, 이제는 재미있게 공부하자
“수학이랑 과학이 어떻게 재미있을 수가 있지?” 교과 과정의 수학이나 과학을 학습하면서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말이다. 재미있고 즐거운 과정이라고 부르기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과 과학을 어떻게 재미있게 할 수 있을까? 지난 10월 25일, 이러한 질문에 해결책을 제시해 줄 신일 무한상상 수학 과학 체험전이 열렸다. 대전 신일여자고등학교에서 주최한 본 행사는 문제 풀이에 지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과 과학에 관련한 흥미...
-
생글기자
한국과 수교 30년, 폴란드의 역사를 되새겨보자
11월 11일은 어떤 날일까? 많은 사람들은 빼빼로데이, 가래떡데이, 농업인의 날을 떠올릴 것이다. 앞에 ‘역사적으로’라는 말을 넣어 보자. 새롭게 넣어 보면 제1차 세계대전 종전기념일, 폴란드 독립기념일이다. 이날은 바이마르공화국이 연합국과 베르사유 조약을 맺어 전쟁이 종결된 날이다. 이로 인해 민족자결주의로 패전국 3국(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식민지였던 폴란드가 독립했다. 폴란드는 한국인들이 보기에는 낯선 나라...
-
생글기자
AI 시대에 더 요구되는 과학자의 윤리의식
과학자에게 윤리의식은 어느 정도 필요할까? 인공지능(AI)의 장점을 이용한 기발한 상품들이 본격적인 시장 출시를 예고하면서 과학자의 윤리에 대한 논쟁이 화두가 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KT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4개 지능 영역에서 20여 개 AI 원천기술을 공개하며 통신사를 뛰어넘어 AI 전문기업으로서의 변신을 선언했다. 4개 지능 영역은 △감성·언어 지능 △영상·행동 지능 △분석·판단 지능 △예측&mid...
-
생글기자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적 자세가 필요하다
‘한국 교육방식 특징: 학생=언어능력과 계산 능력, 각종 과학 분야, 예술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며 기본 3개 국어에 역사를 꿰뚫고 있어야 하고 이 모든 걸 잘하면서도 체육까지 완벽해야 한다.’ 한 SNS의 학생 관련 페이지에 올라온 짧은 글이다. 학생들은 공부를 비롯한 예체능 등 모든 게 완벽해야 한다는 고정관념, 강박관념에 몰아넣은 한국의 교육방식을 풍자한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배운다.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