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양 기타
몸과 마음의 식스팩 키운 '리코더 소년' 성장기
리코더를 지키느라 생긴 든든한 식스팩 여자들은 셀룰라이트가 보이지 않는 매끈한 복부, 남자들은 왕(王)자가 선명하게 보이는 복근을 갖고 싶어 한다. 성장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성장호르몬은 청소년기가 지나면 더 이상 몸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이후 조금만 방심하면 여기저기에 지방이 쌓이면서 염려까지 몰아친다. 그 과정에서 몸과 마음의 식스팩을 마련해야 세상살이가 편해진다는 걸 깨닫게 된다. 청소년소설 《식스팩》은 따뜻한...
-
숫자로 읽는 세상
인플레에도 지갑 연 미국인들…소매판매 7개월 만에 최고치
31년 만에 최대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는 와중에도 미국인들이 소비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최대 쇼핑기간인 블랙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까지 ‘소비 특수’가 이어질 전망이다. 16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10월 소매 판매가 전월(9월)보다 1.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7개월 만에 최고치로 시장 추정치를 웃돌았다. 미국 소매 판매는 지난 8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
-
숫자로 읽는 세상
무주택 가구 900만 넘었다…지난해 전체 가구의 43.9%
지난해 무주택 가구가 사상 처음으로 90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에 살고 있는 가구 가운데 절반 이상은 무주택 가구였다. 1~2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가격 급등에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내 집 마련의 어려움이 커진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지난 16일 발표한 ‘2020년 주택 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을 기준으로 국내 무주택 가구는 총 919만7000가구로 집계됐...
-
경제 기타
수능 수험생 여러분 수고 많았습니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 18일 전국 86개 시험지구 1300여 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치러졌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코로나19 여파 속에서 치러진 이번 수능은 지난해보다 1만6387명 증가한 50만9821명이 응시했다. 서울 종로구 경복고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전자 '직급 폐지' 파격…30대도 성과내면 임원
삼성전자가 일반 직원의 직급 구분을 없애기로 했다. 연공서열을 따지지 않고 성과로 직원을 평가하겠다는 의미다. 능력 있는 인재에게 많은 보상과 빠른 임원 승진 기회가 돌아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사원협의회와 성과관리 개편 방안을 논의했다. 공식 발표에 앞서 제도의 변화 방향을 설명하고 협의회의 의견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이달 말께 인사개편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가장 큰 ...
-
커버스토리
한 나라가 모든 것 생산 못해…공급망 붕괴는 지구촌 손해
“어떠한 독려나 제한 없이 두 나라 간에 자연스럽게, 순리대로 이뤄지는 무역은 두 나라 모두에 이익이 된다.”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1723~1790)는 1776년 펴낸 《국부론》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서로 싸우지 않고 무역하는 나라들은 서로에게 손해가 아니라 이익을 준다는 의미입니다. 스미스가 중상주의(수출을 많이 해서 금과 은을 모으고 수입을 금지해서 금과 은이 유출되는 것을 막아야 ...
-
과학과 놀자
물 속에는 물 분자 H2O와 ○○도 있다
물은 다양한 지구 시스템(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을 거치면서 액체, 기체, 고체와 같은 상의 변화를 겪으며 순환한다. 이 과정에서 물 속에는 다양한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물과 함께 물 속 물질 순환이 연관되어 있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물질 지구에 존재하는 물 속에는 물 분자(H2O)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물 속에 있는 물질을 크게 입자성 물질과 용존성 물질로 구분할 수...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역사상 국제무역 가장 활발했던 고려…인삼·청자 찾아 마팔국·아라비아서 오기도
시대와 백성들이 선택한 고려는 출발부터 다양한 종류의 산업과 무역이 발달한 국제적인 사회였다. 고려는 통일을 성취하기 전인 924년에도 7월에는 상선이, 10월에는 사신선이 황해를 건너가 산둥반도 북부의 등주(펑라이)에서 후당과 무역을 벌였다. 정국이 안정된 11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송나라는 운하도시인 동경(카이펑)을 수도로 삼고, 상업과 무역을 추진했다. 거란을 의식하고 고려의 편의를 위해 국가항구를 산둥반도의 남단인 판교진(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