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스무 마리 동물 속에 인간의 모습이 담겨 있다
《넌 동물이야, 비스코비츠!》는 매우 독특한 소설이다. 모두 스무 종류의 동물이 등장하는 짧은 소설 모음인데, 주인공 이름은 동일하게 ‘비스코비츠’다. 잘생겼거나 용감한 수컷 비스코비츠가 좋아하는 상대의 이름은 리우바, ‘꿈결처럼 아름답고, 하품처럼 달콤하고, 베개처럼 부드러워’ 매우 매혹적이다. 그리고 친구 페트로빅, 주코빅, 로페즈가 수시로 등장해 다양한 상황을 만든다. 돼지, 사자, 앵무새 같이...
-
과학과 놀자
아삭한 채소를 개발한 한국 대표 농학자 우장춘
국립중앙과학관과 함께하는 과학 이야기 (12)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음식 김치는 배추와 무 등 신선한 채소가 있어야 제맛을 낼 수 있다.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배추와 무의 식감이 김치 맛을 더해 준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배추와 무가 원래부터 그렇게 아삭아삭했던 것은 아니다. 그런 배추와 무를 개발해 보급한 사람은 한국을 대표하는 농학자 우장춘(1898~1959)이다. 우장춘 이전에 과학자들은 생물 종의 탄생을 진화론으로 설명했다. 19세기 ...
-
커버스토리
경제 예측은 왜 틀릴까?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 국가 경제를 관리 조정하는 기획재정부는 2019년 말 ‘2020년 경제성장률 예측치’를 발표했어요. 한은과 KDI는 “경제가 전년에 비해 2.3% 성장할 것”이라고 했고, 기재부는 “2.6%는 될 것”이라고 낙관했었죠. 그런데 말입니다~. 2020년이 열리자마자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졌습니다. 그해 경제성장...
-
경제 기타
커지는 반려동물 산업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스토리에서 반려동물 산업에 대해 다뤘습니다. 댕댕이, 냥집사, 펫팸족, 펫티켓, 펫로스 증후군…. 반려동물 수만큼 신조어도 다양합니다. 이런 단어는 모두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새로운 수요에 따라 생겨난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 대해 알아보고 그 이면에 동물권, 유기동물 문제에 대해서도 이야기했습니다. 또 세...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일본군 파죽지세에 한양서 임금 탈출하며 '아비규환'…핍박받던 농민·노비 등 의병으로 궐기 전국서 유격전
의병(義兵) 의승(義僧) 의기(義妓) 의곡(義穀). 이런 선조들을 생각하면 희망의 불씨가 피어오르고 생기가 돈다. 우리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이 강해지고 자랑스러움을 느낀다. 하지만 사실은 비상시국이었고, 정부와 군대의 무능과 부재 현상을 알리는 안타까운 증거들이기도 하다. 의병들의 활동과 전적 1592년 4월 13일 17시경 ‘임진왜란’ 또는 ‘임진조국전쟁’이 발발했다. 일본군은 상륙 후 두 번의 ...
-
숫자로 읽는 세상
뿌리산업 비전문인력 비자 쿼터 6000명 늘려
정부가 8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확정한 제조업 등 구인난 해소 방안은 외국인력을 산업현장에 신속히 공급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비자 발급을 늘리고, 입국 속도도 높이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소기업 등 산업 일선에서 ‘현장의 요구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이날 뿌리산업 등 제조업과 농축산업의 비전문인력(E-9) 비자 쿼터를 6600명 늘리기로 하면서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 속도를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불법 파업에도 손해배상 제한하는 '노란봉투법', 타당한가
기업 활동에 피해를 준 노동조합에 대한 손해배상과 가압류 소송을 제한하는 법안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등이 추진 중인 일명 ‘노란봉투법’이다. 이 법안대로라면 기업의 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는 데다 불법 파업에 대한 면죄부가 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노조 파업권에 대한 가장 현실적 견제 장치가 파업 시 불법 행위에 대한 민·형사상 책임 규명으로, 통상 명백한 파업 손해 발생 시 사측이 ...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삼성전자 1975년 상장 후 3000배 올랐지만 예외적 사례…우량주 고르는 안목·산업 변화에 따라 투자 대상 바꿔야
우리 부모님은 왜 20년 전 삼성전자에 투자하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나요? 삼성전자는 1975년 상장한 뒤 3000배 넘게 올랐습니다. 그때 삼성전자를 사뒀다면 엄청난 부자가 됐을 것이라 생각하니, 우량주에 장기투자를 하는 게 투자의 핵심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20년 전, 우리는 어떤 주식을 골랐을까 과거로 돌아가봅시다. 1980년 100으로 시작한 코스피지수가 1000선을 처음으로 돌파한 건 1989년이었습니다. 당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