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91> 머리에 비녀를 꽂은 사내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필부필부(匹夫匹婦): 평범한 남녀 - 부창부수(夫唱婦隨)"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 사이의 그런 도리.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망부석(望夫石):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그대로 죽어 화석이 되었다는 전설적인 돌. 또는 아내가 그 위에 서서 남편을 기다렸다는 돌. -사대부(士大夫): 1. 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길이의 비밀을 아시나요? 외국 영화나 소설 등을 보면 가끔 길이나 거리의 감이 안 와 답답할 때가 있다. '16마일 남았다' '키가 4피트5인치다' '200해리를 더 가야 육지가 나온다' 등등. 비단 이런 답답함은 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 고전소설 등에도 나타난다. '비단 여섯 자만 주시오' '세 치 혀를 잘 놀려라' '한양 천리' '백척간두' 등등. 이쯤 되면 이런 단어들 때문에라도 그때그때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 학습 길잡이 기타

    Smart한 논술의 법칙 <52> 참신한 사례보다 참신한 설명이 더 중요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3월 모의고사는 모두 잘 봤는지 모르겠습니다. 기대했던 것보다 성적이 잘 나왔다고 방심해서도 안 될 것이며, 기대했던 것보다 성적이 잘 나오지 않았다고 해서 너무 우울해하지 말고 자신에게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를 냉정하게 분석하고 대비책을 찾는 시간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3월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를 가늠해보고 긴 계획을 수립해서 수능에 대처해야 하겠습니다. 아직도 변화된 입시 때문에 혼란해 하는 학생들이...

  • 학습 길잡이 기타

    <138> 논술 기본 유형- (1) 공통점 찾기

    점점 연재 PDF를 신청하시는 분들이 늘고 있네요. 이제 개학을 하면서 서서히 고 3에 대한 느낌이 조금씩 오나 봅니다. 연재만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교재를 신청해 보셔도 되겠네요. 봄기운이 완연한 만큼, 우리도 이제 올 한 해의 계획을 짜고, 차근차근 대비를 해나가야 겠지요! 지난 시간까지는 기본적인 요약방식에 대해 살펴보았지요. 우리가 현재 어디까지 왔는지를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물론 중급 이후에도 고급, 심화 과정이 있습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188> 수열의 귀납적 정의 / 피보나치 수열

    최준원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진학 길잡이 기타

    (8) 올해 수능, 정시는 물론 수시에서도 영향력 커져

    수시 및 정시 수능 우선 선발 및 100% 전형 확대 올해 대학 수학능력시험은 11월7일(목) 치러질 예정이다. 수능시험은 정시에서 대입 합격의 당락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수시 모집에서도 최저학력 기준으로 적용해 최종 불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고3 및 재수생을 포함한 수험생들은 정시는 물론 수시 기간에도 수능시험에 대한 시간 안배를 적절히 배분하고 지속적으로 꾸준히 대비해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올해부터 선택형 수능이 실시되...

  • 학습 길잡이 기타

    <90> 그릇에 담긴 피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혈기지용(血氣之勇): 혈기에 찬 기운으로 불끈 일어나는 용맹. - 유혈성천(流血成川): 흐르는 피가 내를 이룬다는 뜻으로, 전쟁터에 사상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혈육(血肉): 1.피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부모, 자식, 형제 따위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빈혈(貧血): 혈액 속의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이 정상값 이하로 감소한 상태. ▶'血'은 그릇 위에...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생활속 닮음과 수학의 닮음 “와~!! 진~~짜 똑같이 생겼다.” “워메, 어쩜 저리 닮았을까잉? 똑같네, 똑같아.” 가끔 우리는 부모님과 함께 걸어가는 가족의 생김새를 보면서 이 같은 감탄을 하곤 한다. 아마 이런 표현을 쓰게 되는 이유는 가족의 모습 속에서 크기는 다르지만 같은 모양의 어떤 닮은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리라. 이와 같이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닮음들을 만난다. 다만 일상에서의 닮음은 언뜻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