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입전략

    올 약대 정시선발 비중 43.8%, 서울권은 53% 달해…수시는 수능 최저요구, '3개영역 등급합 7 이내' 최다

    지난해 대학입시는 ‘약대 돌풍’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약대를 둘러싼 이슈가 많았다. 지난해 수시 성균관대 약학 논술전형은 666.4 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이처럼 약대 자체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약대가 자연계 최상위권 입시 판도에 끼치는 영향도 주요 관심사다. 약대가 자연계 최상위권 입시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올해도 약대의 인기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3학년도 약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그래프로 표현되는 함수!…그 또한 국어 능력이다

    i라는 문항이 제시되었을 때 … i문항에 응답하는 경향(Γi)은 피험자의 능력(θ)에 따라 정규 분포로 그려지게 될 것이고, 문항의 난이도가 i일 때 Γi가 이보다 높으면 문항의 답을 맞히게 될 것이다. 즉 <그림1>과 같이 θ가 -1.3, 0, 1.5일 때 각각의 정규 분포가 그려진다면 i보다 위에 있는 면적이 문항의 답을 맞힐 확률이 되어, θ가 -1.3인 집단의 ...

  • 커버스토리

    "경제 살리자"…돈 푸는 지구촌, 한국 1년새 413조…미국 14년간 1경 늘었죠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돈이 얼마나 풀렸는지 알아보고 싶군요. 통화량 변화를 보면 여러 가지 경제 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알 수 있어요. ‘M2’라는 기준으로 통화량을 봅시다. M2는 현금과 요구불 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여기까지가 M1),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양도성예금증서 등을 포함해서 통화량을 재는 방식입니다. 단기간에 현금화해서 쓸 수 있는 돈의 총량이죠.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7년 M2는 2471...

  • 커버스토리

    돈 마구 찍어낸 베네수엘라의 초인플레…1만원 치킨이 1년새 650만원 된 셈이죠

    화폐와 부(富)를 혼동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부자가 된다는 것은 화폐를 많이 획득하는 것이다”라는 생각은 가장 흔하고 가장 오래된 오류입니다. 화폐와 부는 통상적으로 모든 면에서 동의어로 간주되긴 합니다. 그러나 경제학적으로 이 말은 늘 참이 아닙니다. 돈이 많은데 거지인 경우가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답니다. 어떤 경우일까요? #사례1: 베네수엘라 남아메리카에 있는 나라 베네수엘라는 이 나라의 돈 볼리바르를 많이 ...

  • 숫자로 읽는 세상

    코로나 확진 급감…영국, 2년여 만에 방역규제 폐지

    영국이 확진자 자가격리와 무료검사 등 모든 방역 규정을 없애고 완전한 ‘위드 코로나’에 들어간다.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 2년여 만이다. 영국 정부는 앞으로 법적 규제가 아닌, 개인의 책임과 자유를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할 방침이다. 21일(현지시간) 가디언에 따르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24일부터 영국에서 자가격리를 포함한 모든 방역 규제를 폐지한다고 밝혔다. 이에 맞춰 저소득층 대상 자가격리 지원금 500파운드...

  • 생글기자

    소비자 관점에서 생각해 봐야 할 우유 가격체계 개편

    우유 가격 체계 개편을 놓고 정부와 낙농업계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가격 체계 개편의 핵심은 원유 가격 연동제(생산비 연동제)를 용도별 차등 가격제로 바꾸는 것이다. 흰우유는 L당 1100원, 가공유는 L당 800원에 정부가 구매하되 가공유에 대해서는 정부가 L당 200원의 보조금을 지원해 L당 600원에 우유 업체에 공급한다는 내용이다.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가공유 제품 가격을 낮춰 보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방안에 대해...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0년을 앞서간 한용운의 '가갸날' 詩

    가갸날에 對하야 - 한용운 “아아 가갸날 참되고 어질고 아름다워요 ‘축일(祝日)’ ‘제일(祭日)’ ‘데-’ ‘씨슨’ 이 위에 가갸날이 났어요. 가갸날 (중략) ‘데-’보다 읽기 좋고 ‘씨슨’보다 알기 쉬워요 (중략)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계집 사내도 가르쳐줄 수 있어요.” 지난 2...

  • 테샛 공부합시다

    밀턴 프리드먼은 공짜의 유혹을 경계했죠

    햇살이 무더운 여름, 개미는 땀을 뻘뻘 흘리며 열심히 식량을 나르고 있었습니다. 반면 베짱이는 나무 그늘에서 쉬며 노래를 흥얼거렸죠. 베짱이는 개미가 열심히 일하는 모습에 핀잔을 줬습니다. 좋은 날씨에 여름이라 먹을 것이 주변에 넘쳐났기 때문이죠. 굳이 땀 흘려 일하지 않아도 배부르게 생활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개미는 아랑곳하지 않고 열심히 식량을 모아 두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겨울이 왔고, 주변에 먹을 것이 하나도 없었죠. 베짱이는 개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