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대대로 전해져 온 '한민족 삶의 지침' 단군신화…인본주의·생명주의 품은 가치 높은 유산이죠

    수천 년의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집단이 자기 사상이나 고유종교가 희미한 이유는 무엇일까. 심지어는 생활문화에서 전통의 흔적이 잘 안 보이는 현상은 어찌 된 일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자의식이 부족하고, 창조보다 모방을 선호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면 자유의지가 약해지고, 남에게 습관적으로 구속당하는 것이 역사인데 말이다. 문화가 풍성하고 뛰어나려면 적극적인 교류와 능동적인 수용이 필요하다. 특히 21세기는 시공의 한계가 희미해지고, 하나...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생산기술

    [문제] 기업의 생산기술이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이라고 하자. 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이 기업의 생산기술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다. ②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을 두 배로 늘려도 산출량은 변하지 않는다. ③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을 두 배로 늘리면 산출량도 두 배로 늘어난다. ④ 고정요소의 투입을 두 배로 늘리면 산출량은 변하지 않는다. ⑤ 고정요소의 투입을 두 배로 늘리면 산출량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해설] 기업...

  • 과학과 놀자

    코로나 닿으면 빨간줄…진단키트에 금 나노입자 쓰죠

    코로나바이러스 항원 검사에 사용되는 자가진단키트는 양성이면 붉은색 선이 두 줄로 나타나고, 음성이면 붉은색 선이 한 줄로 나타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또 항균·항바이러스 마스크는 나노미터(㎚·1㎚=10억분의 1m) 두께의 구리가 섬유에 코팅돼 있어 바이러스나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킴으로써 개인 방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올림픽 메달이 연상되는 금, 은, 동(구리)은 주기율표에서 11족에 속한...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628)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죽은 공간에 새 생명을" 정리정돈 전문가

    "공간을 정리하면 마음까지 깨끗해지죠" '비움의 미학'을 실천하는 박소현 오늘의 집정리 대표 “공간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일이라 사명감 없이는 하기 어려운 직업입니다.” 박소현 정리정돈 전문가(오늘의집정리 대표·42)는 자신의 직업을 공간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정리정돈 전문가는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시작해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전파된 직업이다. 2...

  • 과학과 놀자

    자연을 흉내낸 과학 기술, '자연 모사'의 세계

    과천과학관과 함께 하는 과학 이야기 (6) 자연계의 모든 생물은 자연 선택과 먹이 사슬이라는 생존 경쟁 속에서 적응과 진화를 거치며 각자 환경에 맞는 특수한 기능을 발달시켰다. 인간이 사용하는 기술 중에는 생물체의 독특한 기능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 많다. 이런 것을 ‘자연 모사 기술’이라고 한다.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가이자 과학자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하늘을 나는 새를 관찰해 공기 역학의 원리를 터득하고 ...

  • 커버스토리

    한·미 자유무역협정 10년…FTA에 번영의 길 있어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이 발효된 지 10년이 됐습니다. 2012년 3월 15일 두 나라는 6년간의 협상을 모두 끝내고 ‘자유무역’을 시작했습니다. 독자 여러분이 유치원생 혹은 초등학생이었을 때 발효됐군요. 한·미 FTA가 논의될 당시 우리나라 여론은 찬반으로 갈라졌습니다. 미국과 같은 큰 나라와 FTA를 맺으면 경제 주권을 빼앗긴다는 반대론과 미국과 같은...

  • 숫자로 읽는 세상

    20대 기업 평균 연봉 1억 넘어…1년새 15% 증가, 1.7억 카카오 연봉 1위…시총 1위 삼성전자 1.4억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상위 20위 기업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이 15.0%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인상률로 역대 최대 수준이라는 평가다. 이들 기업의 평균 연봉도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 물가 상승이라는 외부 요인 외에 대기업이 직원들의 불만을 달래고,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임금 인상폭을 키웠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지난 22일 한국경제신문이 시총 상위 20위 기업이 이달 들어 공시한 2021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