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224> 연속함수와 정적분 (2)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진학 길잡이 기타

    정시모집 서울대 및 교육대 대학별 고사 실시

    ▷ 2014학년도 대입 정시준비 (5) 교육대 1단계 통과자 수능성적 비슷 2014학년도 정시 원서 접수는 지난달 24일 모두 마감되었다. 정시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이 수능 100% 또는 학생부 성적과 수능 성적을 일괄 합산하여 총점순으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하지만 서울대와 교육대는 1단계에서 일정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논술 또는 면접고사 등 대학별고사를 실시한다. 반영 비율은 수능성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준비를 소홀히...

  • 경제 기타

    근로시간 단축 옳을까요

    정부와 새누리당이 2013년 국회통과를 목표로 추진했던 근로시간 단축안이 일단 무산됐다. 하지만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현행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이자는 방안을 둘러싼 논란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 여당이 일자리 창출 방안의 하나로 제시한 근로시간 단축은 현행 주당 68시간(주중 40시간+연장 12시간+휴일 16시간)인 근로시간을 2016년부터 52시간(주중 40시간+연장 12시간)으로 줄이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줄일 ...

  • 역사 기타

    경제적 합리성의 한계, 안개 속 최선이 안개 밖 최악으로

    영화로 쓰는 경제학원론 미스트 -이성적 판단의 오류 “탕, 탕, 탕, 탕.” 1m 앞도 보이지 않는 짙은 안개 속에 왜건 승용차 한 대가 서 있었다. 안개가 소리마저 삼켜버린 듯한 지독한 정적을 깨고 네 번의 총성이 울렸다. 잠시 후 한 남자가 운전석 문을 열고 밖으로 나왔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생존자였다. 시간을 잠시 앞으로 돌려보자.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안개는 이세계(異世界)에서 온 괴물로 가득 차 있었다. 설상가상 자동차 연료...

  • 경제 기타

    "번영 누리려면 기존제도 보존해야…복지는 부자의 의무"

    (48) 보수주의의 원조 에드먼드 버크 '바꿔, 바꿔, 모두 바꿔!' 이상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래된 관습, 전통 생활방식, 법률, 헌법 등 기존의 모든 사회제도를 갈아치우고 백지에 그림을 그리듯 사회를 새로 구성해야 한다는 게 18세기 말 프랑스혁명의 이념이었다. 유럽 대륙은 물론 영국 지식인들도 그제야 인류가 과거의 질곡에서 벗어나 번영을 기약하는 새로운 세상이 도래한다는 부푼 기대로 혁명 대열을 열렬히 환영했다. 그러나 유토피아...

  • 경제 기타

    (12) '마음'을 얻는 사람들, 브랜드 매니저

    웰빙열풍이 한창이던 2005년, 두부시장에는 엄청난 지각변동이 시작되고 있었다. 풀무원이 장악하고 있던 포장두부 시장에 막강한 경쟁자가 등장한 것이다. 상대는 바로 식품대기업 'CJ 제일제당'이었다. 프리미엄 이미지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풀무원은 다양한 경쟁자들의 도전을 받아 왔지만 두부시장에서 적수가 될 만한 기업은 없었다. 하지만 CJ의 출현은 달랐다. 실제로 CJ가 두부시장에 진출한다는 소식 자체만으로 풀무원의 주식은 3개월 만에 약 4...

  • 경제 기타

    줄타기하는 옛 소련 국가들…러·유럽 "내 품으로 오라"

    1991년 12월 소련이 붕괴돼 15개 공화국으로 나뉘어진 지 어느덧 22년이 흘렀다. 최근 들어 동구 국가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러시아와 서유럽 중심인 유럽연합(EU)의 힘겨루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러시아는 '유라시아(유럽과 아시아의 합성어)'란 개념을 들고 나와 옛 소련권 맹주 자리를 되찾겠다는 야망을 드러냈고, EU는 유럽의 '정신적 범위'를 옛 소련 지역까지 확장하려 힘을 쏟고 있다. 양측의 무기는 '경제 협력'이다. # 러시아·EU '...

  • 커버스토리

    자원 강소국 'S·M·S' 뜨고…선진국이 경제회복 이끈다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남수단, 잠비아, 시에라리온과 아시아의 몽골 부탄 마카오 등이 올해 세계 경제의 '다크호스'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또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이 세계 경제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됐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한국에서 한국경제신문이 독점 발간한 '2014 세계경제 대전망'을 통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2014년 세계 12대 고속성장 국가는 아프리카와 아시아가 사이좋게 나눠 가질 전망”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