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맛있는 샘물이 먼저 마르고, 높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
『묵자』의 ‘친사편’에 실려 있는 글로, “단 샘이 먼저 마르고, 높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 신령스러운 거북이 먼저 불에 지져지고, 신령스러운 뱀이 먼저 햇볕에 말려진다. (중략) 그러므로 크게 성한 것은 지키기 어렵다고 한다”의 일부예요. 옛날에는 거북의 배딱지에 구멍을 파 그곳을 지진 후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을 쳤어요. 강속구를 잘 던지는 투수가 강속구를 많이 던지면 선수 생명이 짧아지는 건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6일자
1. 우리말로는 ‘기업경기실사지수’다. 기업이 실제로 느끼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많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로 해석되는 이것은? (1)BSI (2)PER (3)EBITDA (4)ABS 2.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모바일 결제, 송금, 개인 자산관리, 크라우드 펀딩 등 금융 서비스 관련 기술을 뜻하는 이 신조어는? (1)재테크 (2)모테크 (3)...
-
스도쿠 여행
(310) 스도쿠 여행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309회 스도쿠여행 정답: ⓐ-4 ⓑ-7 ⓒ-2 ⓓ-1 ⓔ-5 ⓕ-6 ⓖ-6 ⓗ-7 ⓘ-9 ★ 308회 당첨자: 김건희 신윤아 최지수
-
경제 기타
경영진 이전투구…KB금융의 불협화음…政·官피아에 망가지는 한국 금융산업
◆ KB금융 사태와 모럴 해저드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의 갈등이 불거진 가운데 금융당국이 연내 금융지주 회장의 ‘황제 경영’을 금지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처럼 금융지주의 완전 자회사이면 소속 사외이사를 없애는 한편, 금융지주 회장의 책임을 명문화해 문제 발생시 확실히 문책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런 내용의 금융사 지배구조 개선안을 내달 발표한다. - 5월22일 연합뉴스 KB금융 사태의 원인 최근 잇달아 ...
-
경제 기타
미국에서 사교육보다 공교육이 잘되는 이유 등
미국에서 사교육보다 공교육이 잘되는 이유 초등, 중학, 고교 공교육보다 학원이나 과외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사교육 열풍이 있은 지도 오래다. ‘사교육이 좋아서’라기보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기에 돈을 더 보태서라도 좋은 교육을 받고 싶다는 생각이 이러한 현상을 초래했다. 필자가 생활하고 있는 미국뿐만 아니라 많은 선진국에서는 보통 학생은 물론 최상위권 학생들도 사교육을 잘 받지 않는다. 예체능 학원을 제외하고는...
-
경제 기타
청소년 경제교육이 시급한 이유 등
청소년 경제교육이 시급한 이유 유교사회가 지배해 온 우리나라는 돈을 밝히는 것이 금기시되었던 나라다. 돈을 밝히는 것은 천박한 행동이며, 손가락질 받는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대 사회가 자본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면서 자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고, 금융이 원인이 된 사회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얼마 전에 일어난 카드회사 개인정보 유출, 신용 불량제 문제, 10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 등도 기초적인 ...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아폴로니우스의 타원 ‘두 점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곡선을 타원이라고 하고 이 두 점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교과서에 쓰여진 타원의 정의다. 이 정의는 무척 딱딱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정의를 만족하는 도형의 모양이 좀처럼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원뿔을 모선보다 작은 기울기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으로 타원을 정의한...
-
경제 기타
(14) 조선 전기의 국가재정…전세, 공물, 군역, 상납의 네트워크
국가재정이 튼튼한 나라가 망하기는 어렵다. 특히 고려왕조는 재정이 피폐해져서 멸망했다고 하여도 지나치지 않다. 멸망 직전에 과전법(1391)에 의해 재정의 근본이 되는 토지제도에 대한 개혁이 단행되었으며, 과전법 개혁을 추진한 세력이 조선왕조의 건국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 조선 전기의 재정제도는 고려왕조의 재정제도와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었다(9회 참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다종다양한 재화와 노동력을 수취하여 사용하는 현물재정이었으며,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