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모바일한경에서 월스트리트저널을 만나보세요 !
한국 최고 경제신문인 한국경제신문이 세계 최고 경제신문인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디지털 세상에서 하나가 됐습니다. 이제 한국경제신문의 전자판 신문인 모바일한경에서 한국경제신문과 WSJ를 함께 읽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WSJ가 전하는 생생한 글로벌 경제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고생들은 WSJ의 깊이 있는 해설기사와 칼럼 등을 통해 글로벌한 시각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영어 실...
-
경제 기타
여행자들이 매긴 치안수준 세계 1위는 한국!
이 그래픽(한국경제신문 비타민 5월26일자)은 ‘여행자들이 매긴 각국의 치안수준’을 보여준다. 치안수준은 범죄지수와 안전지수를 집계한다. 이 자료는 세계 생활수준을 비교하는 사이트인 넘비오(NUMBEO· www.numbeo.com )에 실렸다. 넘비오는 사이트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대상 국가는 117개였다. 문항별로 마이너스 2점에서 플러스 2점까지 매기는 방법을 사용했다. 안전지수는 100...
-
경제 기타
"한국 드라마·예능 프로 보지 마라"
중국 당국이 한국 드라마, 예능뿐 아니라 한국 연예인의 광고 출연까지 금지하는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을 내렸다는 현지 언론들의 보도가 나왔습니다. 지난 7월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부분적으로 전개됐던 한한령 움직임은 전면 금지령으로 점차 강화되는 양상입니다. 일부 드라마와 예능에서 한국 연예인들 출연 부분을 삭제한 채 방영하기도 일쑤였죠. 여기에 지난 16일 국방부가 성주 골프장과 남양주 군 보유지를 교환...
-
커버스토리
단순 복제약에서 신약 같은 바이오시밀러로…
한국의 제약·바이오산업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국내 시장만을 공략하던 제약사들은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복제약(제네릭) 개발에 머물렀던 것에서 신약 연구개발(R&D)에 대대적인 투자에 나섰다. 급격하게 성장하는 세계 제약·바이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포석이다. 바이오시밀러 시장 선도 바이오시밀러(항체의약품 복제약)는 한국이 강점을 보이고 있는 분야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알테오젠 등은 ...
-
경제 기타
"정치 실패로 경제적 자유가 최대 위기 맞았다"
◆ 정치 실패와 경제 위기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등으로 인한 대내외 혼돈을 극복할 해법을 찾기 위해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이 집결했다. 이들은 포퓰리즘(대중인기영합주의) 물결 속에 위기에 몰린 ‘경제적 자유’를 복원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17 몽펠르랭 소사이어티(MPS) 서울총회’ 조직위원회 주최로 지난 23일 서울...
-
교양 기타
(44)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금서가 된 ‘위험한 소설’ 소설의 힘은 얼마나 될까.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주인공 베르테르가 권총 자살한 장면을 2000여명이 모방하고 베르테르가 즐겨 입었던 노란색 조끼와 푸른색 연미복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했을 정도라면 ‘아주 세다’고 말해도 될 듯하다. 1774년에 출간된 이 ‘위험한 소설’은 한때 금서 목록에 오르기도 했으나 18세기 전 유럽을 뒤흔들며 베르테르 신드...
-
(19) 새로 부각되는 가성비 경영
2016년의 여러 트렌드 중 경영학 분야 최고 트렌드라고 하면 많은 전문가가 공통적으로 꼽는 것이 있다. 바로 ‘가성비(價性比)’다. 가성비는 ‘가격 대비 성능’의 준말로, 영어로는 ‘cost-effectiveness’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지급한 가격에 비해 제품 성능이 소비자에게 얼마나 큰 효용을 주는지를 따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가성비는 왜 중요한가....
-
경제 기타
과도한 자영업자 비중 이대로 괜찮을까요?
한국의 자영업자는 과도하게 많은 편인가, 아니면 적당하거나 감내할 만한 수준인가. 경제 규모나 사회적 상황에 비해 자영업자 숫자가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비임금근로자의 고용구조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2016년 11월17일)에 따르면 한국의 비임금근로자 비율(2014년 기준)은 26.8%로, 정상 수준(18.3%)에 비해 과도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경제발전 정도, 실업률...